본문 바로가기
▣인천·경기 도보후기☞/☆ 경기도의 기타길

[20120226]서울교외선(능의선) 철길따라 대곡역에서 의정부 가능역까지 30km를 걷다 - 3부

by 맥가이버 Macgyver 2012. 2. 26.

30725

 

 

 2012년 02월 26일(일)  

『서울교외선(능의선)』철길따라 대곡역에서 의정부 가능역까지 30km를 걷다.

 

 

누군가가 '누우면 죽고, 걸으면 산다(臥死步生)'고 했다.

맥가이버는 '산 따라 강 따라 길 따라' 걷는 것을 죽고사는 차원이 아닌 즐기는 차원에서 걷는다.

즉, 좋은 길을 걷다가 새로운 환경이나 상황, 사람을 만나면서 알게 되고, 느끼고, 감동 받고, 깨닫는 것을 즐긴다.

 

 

 맥가이버의『서울교외선(능의선)』철길따라 대곡역에서 의정부 가능역까지 30km 걷기' 코스

 

대곡역→대정역→원릉역→삼릉역→벽제역→일영역→장흥역→온릉역→송추역→신촌교차로→의정부 가능역

 

서울교외선(서울郊外線)

[능의선(陵議線)

 

경기 고양시 능곡동(陵谷洞)과 의정부시를 잇는 철도로 길이 31.9km이며
개통당시에는 능의선(陵議線)이라고 불렀다.

1961년 6월 30일 능곡∼가릉(佳陵) 간 26.5km가 1차로 개통되었고,
2년 후인 1963년 8월 20일 가릉∼의정부 간 5.4km가 준공됨으로서 전구간이 개통되었다.


열차 운행은 서울역을 출발점으로 하여 신촌 ·수색과 이 교외선을 경유,

의정부를 지나 성북 ·청량리 ·용산역을 거쳐 서부역으로 귀착하는 순환운행이었는데

용산∼성북 간에 수도권 전철이 운행되면서부터 운행 코스는 서울∼성북 간으로 줄어들었다.

 

구간내의 역사(驛舍)로는 보통역 1개소, 간이역 6개소이며, 1일 6회 왕복 운행했었지만,
2004년 4월 1일 이후로는 열차가 운행하지 않는다.


이 교외선이 거치는 원릉 ·벽제 ·일영 ·장흥 ·송추역 등은

자연경관이 뛰어난 유원지가 많은 곳들로 이용객들은 대부분 관광객이다.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맥가이버의『서울교외선(능의선)』철길따라 대곡역에서 의정부 가능역까지 30km 걷기' 이야기 
 

서울교외선(능의선) 철길따라 걷기

 

지난 2010년 5월 5일에 의정부 가능역에서 능곡역까지 '서울교외선' 철길을 따라 답사걷기를 한 적이 있다,

 

그때 대정역에서 만난 걷기를 좋아하는 님들과 인연이 되어...

 

오늘은 그 님들과서울교외선(능의선) 철길따라 걷기를 함께 하고자 역방향으로 '대곡역에서 가능역까지 30km 걷기'를 나선다.

 

『서울교외선(능의선)』철길따라 대곡역에서 의정부 가능역까지 30km를 걷다.

자세한 이야기는 맥가이버의 블로그 사진후기로 대신한다.

 

    

'모든 만남은 걷고 있을 때 이루어진다'라는 말이 있는데, 길을 걷다보면
새로운 풍광을 보게 되고, 새로운 사람을 만나게 되고,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되고, 새로운 것을 알게 된다.
  
맥가이버가 '때론 함께, 때론 홀로' 산행이나 여행, 도보를 하면서 후기를 주로 사진으로 작성함은
인간의 만남이 유한함을 알기에 어떤 연유로 비록 언젠가 헤어지더라도 추억 속에서 함께 하고자 함이고,
또 하나 이유가 있다면 걸으면서 보고 느낀 것을 글로 다 표현치 못하는 무능함에 있습니다.
그리고 한 가지를 더 든다면 누군가가 같은 길을 걷고자 할 때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입니다.
   
 

  

『서울교외선(능의선)』철길따라 대곡역에서 의정부 가능역까지 30km를 걷다. - 3부를 시작하며...

 

▼ 13시 29분 - 방객현터널을 통과하니...

 

▼ 북한산 정상부의 봉우리들이 우뚝...

 

 

 

 

 

 

 

▼ 13시 44분 - 서울교외선 13.6km지점을 통과...

 

 

 

 

 

▼ 13시 49분 - 서울교외선 14km지점을 통과...

 

 

 

▼ 좌측으로 난 길을 따라가면 남경수목원이 있다고...

 

 

 

 

 

▼ 그림자놀이

 

 

 

 

 

 

 

▼ 14시 09분 - 서울교외선 15km지점을 통과...

 

 

 

▼ 14시 12분 - 제궁현터널

 

 

 

 

 

 

 

 

 

▼ 14시 21분 - 서울교외선 16km지점을 통과...

 

 

▼ 14시 24분 - 페트자 장작구이 입구

 

 

 

 

 

 

▼ 14시 32분 - 서울교외선 16.7km지점에 있는 일영역

 

 

 

 일영역 [日迎驛, Iryeong Station]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에 있는 기차역이다. 
 
서울교외선에 있는 기차역으로 벽제역과 장흥역 사이에 있다.

1961년 7월 10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운전취급업무를 담당한다.

코레일(Korail) 서울본부 소속으로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상리 327에 있다.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철길에 앉아 / 정호승

 

철길에 앉아 그를 사랑한다고 말했다.
철길에 앉아 그와 결혼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때 멀리 기차 오는 소리가 들렸다.
그는 아무 말이 없었다.

기차는 점점 가까이 다가오고 있었다.
그는 아무 말이 없었다.

코스모스가 안타까운 얼굴로 나를 쳐다보고 있었다.
나는 그대로 앉아 있었다.

기차가 눈 안에 들어왔다.
지평선을 뚫고 성난 멧돼지처럼 씩씩거리며
기차는 곧 나를 덮칠 것 같았다.

나는 일어나지 않았다.
낮달이 놀란 얼굴을 하고
해바라기가 고개를 흔들며
빨리 일어나라고 소리치고 있었다.

나는 그대로 앉아 있었다.
이대로 죽어도 좋다 싶었다.

 

 

 

 

▼ 14시 46분 - 일영역에서 2.4km 거리에 있는 장흥역을 향해 출발...

 

 

 

 

 

 

 

 

 

▼ 14시 56분 - 가나조경 앞 건널목에서...

 

▼ 중한 약속이 생긴 님은 이곳에서 철길 걷기를 멈추고 서울로...  

 

 

▼ 14시 57분 - 나머지 님들은 의정부 가능역을 향해 서울교외선 철길걷기 계속...

 

 

 

 

 

 

 

 

 

 

 

 

 

▼ 15시 19분 - 서울교외선 19.1km지점에 있는 장흥역

 

 

장흥역 [長興驛, Jangheung Station]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에 있는 기차역이다.

 서울교외선에 있는 기차역으로 일영역과 온릉역 사이에 있다.

1965년 7월 21일 무배치간이역(역무원이 없는 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2004년 여객취급을 중단하였다.

코레일(Korail) 서울본부 소속으로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 97에 있다.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 15시 24분 - 장흥역에서 0.8km 거리에 있는 온릉역을 향해 출발...

 

▼ 15시 28분 - 일영천교를 건너...

 

 

▼ 15시 30분 - 일영터널

 

 

 

 

 

▼ 15시 34분 - 온릉역이 있었던 자리...

 

 

온릉역 [溫陵驛, Olleung Station]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에 있는 기차역이다.

서울교외선에 있는 기차역으로 장흥역과 송추역 사이에 있다.

1994년 8월 21일 영업을 시작하였다.

2004년 여객 취급을 중단하였다.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 산17에 있다.

인근에 온릉이 있다.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 15시 47분 -

 

 

 

 

 

▼ 15시 50분 - 지난 2010년 5월 5일의 기억이...

 

 

 

☞ 여기서『서울교외선(능의선)』철길따라 대곡역에서 의정부 가능역까지 30km를 걷다. - 3부를 마치고...

 

 

      

   

 2012년 02월 26일(일)  

『서울교외선(능의선)』철길따라 대곡역에서 의정부 가능역까지 30km를 걷다.

  

-▥☞ 1부[] 여기를 클릭.☜▥-

 

-▥☞ 2부[]는 여기를 클릭.☜▥-

 

-▥☞ 3부[] 여기를 클릭.☜▥-

 

-▥☞ 4부[]는 여기를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