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가탄신일에 북한산 칠대사찰(진관사ㆍ승가사ㆍ문수사ㆍ중흥사ㆍ노적사ㆍ국녕사ㆍ백화사) 순례산행' 코스
구파발역→이말산(진관근린공원)→진관사 입구→진관사 일주문→진관사 탐방→진관사계곡→비봉→승가사 갈림길→승가사 일주문
→승가사 탐방→승가사계곡→구기삼거리→구기계곡→문수사 탐방→대남문→대성암계곡?→보국사지→행궁지→산영루→북한산성계곡
→중흥사 탐방→노적사 탐방→노적교→중성문→시구문→국녕사 탐방→가사당암문→백화사계곡→백화사 탐방→백화사 정류장→연신내역
'석가탄신일에 북한산 칠대사찰(진관사ㆍ승가사ㆍ문수사ㆍ중흥사ㆍ노적사ㆍ국녕사ㆍ백화사) 순례산행'을 위해 길을 나선다.
석가탄신일인 4월초파일에 의미 있는 산행을 하고자 '지리산 칠암자 순례'를 나서려고 했으나
여러 사정상 '북한산 칠대사찰'을 순례하는 산행을 구상하고...
좋은 님들과 함께 구파발역에서 이말산을 넘어서 진관사부터 '북한산 칠대사찰 순례'를 나선다.
올들어 가장 더웠다는 날에 '북한산 칠대사찰 순례'하며, 각 사찰만의 인연을 되뇌여 보기도 하고...
구파발역에서 이말산 들머리를 08시 03분에 들어서서 '북한산 칠대사찰 순례'를 모두 마치고
백화사입구 버스정류장에 도착한 시각이 17시 44분이다.
약 9시간 40분이 소요되었다.
"우리 다시 만날 때까지 아무도 슬프지 않기"
'부처님 오신 날에 '인연'을 생각하다!
하늘에서 내리는 눈송이 하나 조차 정확히 떨어져야 할 곳에 떨어진다고 한다.
이처럼 인연은 한 치의 오차도 없어 나타나야 할 가장 정확한 이 순간에 내 앞에 나타난 것이다.
부모와의 인연, 부부의 인연, 직장의 인연, 사제의 인연, 친구의 인연 등
지금 내 삶의 환경들은 나에게 주어진 내 인연이다.
그런데 그 인연에 내 잣대를 가지고 온갖 좋고 싫은 분별을 일으킨다.
좋은 인연을 만나면 애착하여 더 잡으려고 애를 쓰고, 싫은 인연을 만나면 애써 버리려고 한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런 인연의 흐름이 늘 나의 어리석은 분별로 인해 껄끄러웠다.
'억지로 인연을 만들지 말라. 만날 사람은 다 만나게 된다’
어느 인연하나 소중하지 않은 것이 없지만 애착이나 집착 없이 받아들이고, 얽매이지 않아야겠다.
▼ 10시 46분 - 승가사 일주문에서...
승가사僧伽寺
울특별시 종로구 구기동 북한산에 있는 절.
시대 고대/삼국
건립시기 756년(경덕왕 연간)
성격 절, 사찰
유형 유적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구기동 산 1
분야 종교·철학/불교
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 본사인 조계사(曹溪寺)의 말사이다.
756년(경덕왕 15)에 수태(秀台)가 창건하여 당나라 고종 때 장안 천복사(薦福寺)에서
대중을 교화하면서 생불(生佛)로 지칭되었던 승가(僧伽)를 사모하는 뜻에서 승가사라 하였다.
그 뒤 1024년(현종 15)에 지광(智光)과 성언(成彦)이 중창하였고,
1090년(선종 7)에는 구산사(龜山寺)의 주지였던 영현(領賢)이 중수하였으며,
1099년(숙종 4)에는 대각국사(大覺國師)의천(義天)이
왕과 왕비를 모시고 참배하면서 불상을 개금(改金)하고 불당을 중수하였다.
1422년(세종 4)에 왕이 7종을 통합하여 선교양종(禪敎兩宗)을 통합할 때는 선종에 속하였으며,
그 뒤 여러 차례의 중건·중수를 거쳐 고종 때 민비와 엄상궁의 시주를 얻어 일신, 중건하였다.
1941년에 도공(道空)이 다시 중수하였으나, 6·25전쟁 당시 소실되었으며,
1957년에 비구니 도명(道明)이 중창하여 대웅전과 영산전(靈山殿)·약사전(藥師殿) 등의 당우를 갖추었다.
그 뒤를 이어 비구니 상륜(相侖)이 불사(佛事)를 계속하여
현재는 산신각(山神閣)·향로각(香爐閣)·동정각(動靜閣)·범종각(梵鐘閣)·대방(大房)·요사채 등의
당우들이 좁고 가파른 지형을 이용하여 알맞게 배열되어 있다.
비록 규모는 작으나 창건 이후 여러 왕들이 행차하여 기도하였고,
조선 초기의 고승 함허(涵虛)가 수도했던 곳으로도 유명하다.
조선 후기에는 성월(城月)이 이절에서 배출되어 팔도도승통(八道都僧統)의 직책을 맡아
쇠잔하던 불교를 크게 진작하는 등 불교사상 중요한 위치를 점하는 사찰이다.
또한 예로부터 기도처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절의 유물로는 보물 제1000호로 지정된 석조승가대사상이 있으며,
서북방 100m 지점에는 보물 제215호로 지정된 거대한 마애석가여래좌상이 부각되어 있다.
이 마애불과 약사전에 모신 약사여래의 영험, 그리고 약수의 효험 등은 이 절을 기도처로서 유명하게 만들었다.
절의 뒤편 비봉에는 진흥왕순수비(眞興王巡狩碑)가 있었는데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졌고,
그 자리에는 유지비(遺址碑)가 세워져 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12시 28분 - 문수사 대웅전에서...
문수사文殊寺
서울특별시 종로구 구기동 삼각산(三角山)에 있는 절.
시대 고려
건립시기 1109년
성격 절, 사찰
유형 유적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구기동 2
분야 종교·철학/불교
서울 종로구 구기동 삼각산에 있는 절.
1109년(예종 4) 탄연이 창건하여 여러 차례의 중수를 거듭해오다 6·25 때 소실되었다.
현재의 절은 1957년 신수가 중건하였다.
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 본사인 조계사의 말사이다.
1109년(예종 4)탄연(坦然)이 창건하였고,
1451년(문종 1)연창공주(延昌公主)가 중창하였으며,
그 뒤 여러 차례의 중수를 거듭해오다 6·25전쟁 때 소실되었다.
현재의 절은 1957년신수(信洙)가 중건하였으며, 1985년혜정(慧淨)이 삼성각을 중수하였다.
당우로는 대웅전·응진전(應眞殿)·산신각·요사채 등이 있다.
이 절은 원래 오백나한(五百羅漢)을 모신 기도처로서 유명하다.
이승만(李承晩) 대통령의 어머니가 이 절의 나한에게 치성을 드려 그
를 낳았으므로 이승만이 이 절을 찾아와서 현판을 쓴 일도 있다.
대웅전에 봉안된 문수보살상은 명성황후(明成皇后)가,
석가모니불은 영친왕의 비인 이방자(李方子)가 봉안한 것이다.
북한산내의 여러 사찰 중 전망이 제일 좋은 곳에 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14시 03분 - 중흥사 대웅전에서...
중흥사 重興寺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북한산에 있었던 절.
시대 고려
성격 절, 사찰
유형 유적
소재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분야 종교·철학/불교
창건연대는 미상이나 고려 말기의 고승 보우(普愚)가 중수하였다.
이 절이 대찰(大刹)의 면모를 갖춘 것은 1713년(숙종 39)에 북한산성을 축성한 뒤이다. 축
성 당시 30여 칸에 불과한 사찰이었으나, 성이 완성된 뒤 증축하여 136칸을 만들었다.
성내에는 성문과 수문(水門), 장대(將臺)와 창고 등을 지키기 위한 승군(僧軍)이 주둔하였다.
이 절은 승군이 주둔하였던 북한산성 안의 용암사(龍巖寺)·보국사(輔國寺)·보광사(普光寺)·부왕사(扶旺寺)·
원각사(圓覺寺)·국녕사(國寧寺)·상운사(祥雲寺)·서암사(西巖寺)·태고사(太古寺)·진국사(鎭國寺) 등을 관장하였다.
왕실에서는 8도의 사찰에 영을 내려 1년에 6차례에 걸쳐 번갈아 의승(義僧)을 뽑아 올리게 하여 11개 사찰에 주둔시켰다.
승군의 정원은 360명으로 11개 사찰에는 각각 수승(首僧) 1인과 승장(僧將) 1인을 두었으며,
이들을 총지휘하는 본부로 승영(僧營)을 설치하고 승대장(僧大將) 1인을 임명하여 팔도도총섭(八道都摠攝)을 겸임하게 하였다.
이 절은 승대장이 머물렀던 북한산성의 승영이었다.
그리고 이들 승병들의 주둔에 필요한 물품과 군기물(軍器物)을 저장하기 위한 승창(僧倉)을 이 절을 비롯한 여러 사찰에 두었다.
승영 당시에는 대웅전을 중심으로 앞쪽에는 누각인 만세루(萬歲樓)와 나한전(羅漢殿)을 두었고,
동쪽에는 산신당(山神堂)이 있었다고 하며, 대웅전 안에는 삼존불상이 봉안되어 있었다.
그러나 1915년에 홍수로 무너진 뒤 중건되지 못하였고, 현재에는 주춧돌과 축대만 남아 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14시 45분 - 노적사에서...
노적사(露積寺)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331번지(대서문길 311-35)에 소재한 대한 불교조계종 사찰.
조선시대 숙종 때(1711) 팔도도총섭이었던 성능(聖能) 스님이 창건한 노적사는
서울의 제일명산 북한산의 중심 노적봉 아래에 자리하고 있는 명승고찰이다.
북한산성의 축성과 수비에 크게 기여한 성능스님이 집필한 옛문헌 '북한지'의 기록을 보면
창건 당시엔 진국사(鎭國寺)라 불렀는데, 완전히 소실(연대미상)되어 빈 터만 남게 된 것을,
이를 애석히 여기던 중 서기 1960년 무위스님을 비롯한 창암 유흥억거사, 박금륜행보살, 김진공성보살, 유인순보살 등
여러 불자님들이 불심으로 정성을 모아 사찰을 중건하고 '노적사(露積寺)' 라 하였다.
1977년 노적사 주지로 부임한 종후(宗厚) 스님이 불사를 일으켜 적멸보궁, 부처님진신사리탑, 대웅전,
미륵전, 약사전, 삼성각, 나한전, 용궁전, 종각, 동인당, 요사채 등 오늘날의 노적사로 중흥시켰다.
웅장하고 신령한 노적봉 아래의 노적사는 천혜의 자연속에 자리한 기도영험이 뛰어난 지상선경(地上仙境)의 사찰이다.
2001년 1월에 전통사찰로 등록된 노적사는 대원력의 수행도량, 화엄신중 기도도량, 나한성중 기도도량,
평화통일 기도도량, 청정법신불 기도도량으로서 부처님의 대자대비를 실천하는 빛이 가득한, 무한대광명의 부처님 도량이다.」
-북한산 노적사 안내서-
☞ 여기서 '석가탄신일에 북한산 칠대사찰(진관사ㆍ승가사ㆍ문수사ㆍ중흥사ㆍ노적사ㆍ국녕사ㆍ백화사) 순례산행' - 2부를 마치고...
-▥☞ 2부[승가사 탐방→승가사계곡→구기삼거리→문수사 탐방→대남문→행궁지→산영루→중흥사 탐방→노적사 탐방]는 여기를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