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7일(화)
서울둘레길 17 북한산 은평코스ㆍ18 북한산 종로코스ㆍ19 북한산 성북코스 이어 걷기(구파발역에서 화계역까지)를 다녀오다
'서울둘레길 17 북한산 은평코스ㆍ18 북한산 종로코스ㆍ19 북한산 성북코스 이어 걷기(구파발역에서 화계역까지)' 코스
구파발역 2번 출입구→서울둘레길 17코스(북한산 은평코스)→옥방아다리→구파발천 따라→구파발교→진관교→하늬버들잎다리→우물골근린공원→분수대→새버들잎다리→만남의다리→반딧불다리→메뚜기다리→인공폭포→폭포동교→밥할머니교→북한산둘레길 구름정원길 구간→선림사→선림사앞→선림공원지킴터 앞→폭포동고개→육각정→청송아파트→주 은혜교회 팀수양관→수리마을 수리공원→연은정→정진사입구→정진사→정진공원지킴터→대호아파트 갈림길→하늘전망대→(대한불교)불광사→북한산둘레길 옛성길구간 아치→북한산생태공원→서울둘레길 18코스(북한산 종로코스)→북한산풀잎소공원→북한산생태공원 시계탑→장미공원 음수대 쉼터→은평둘레길 분기점→우수조망명소(헬기장)→오탁번쉼터→전망바위→탕춘대성 암문→꽈배기소나무→북한산둘레길 평창마을길구간 아치→불심원→예반 시티빌라→구기터널 앞→삼성출판박물관→삼보월드빌→전심사 앞→전심사→주한 코트디부아르 대사관저→보각사 위→청련사→혜광사→→한국여자신학대학원/한국여성크리스찬크럽→평창동 보현산신각→평창동 허공기도터→동덕교육문화원→더피아노→평창공원지킴터 앞→녹지제3초소(평창천)→감람산기도원→평창5교→선원사 앞→연화정사→서울둘레길 19코스(북한산 성북코스)→형제봉 입구→북한산둘레길 명상길구간 아치→마지막화장실→나무미륵대불 바위→구복암 입구→북한산 형제봉 입구분기점→북악산갈림길→북악공원지킴터 갈림길→왕녕사 입구→마지막화장실→쉼터→선행암→삼은대(三恩坮)→형제봉 갈림길→전망대→청수사→북한산둘레길 솔샘길구간 아치→정릉주차장→북한산국립공원 생태문화센터→대진여객→청수목욕탕→정릉 중앙하이츠아파트→북한산자락길(정릉동) 만남의 장→솔샘마당→정릉초등학교→성북생태체험관→북한산자연학습장→사색의숲→솔샘발원지→바람소리숲→생태연못→북한산유아숲체험원→미양배드민턴장→북한산둘레길 흰구름길구간 아치→경천사→빨래골공원지킴터→구름전망대→화계사→화계사일주문→화계중학교→유현초등학교→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한신대교차로→(우이신설선) 화계역
오늘은
'서울둘레길 17 북한산 은평코스ㆍ18 북한산 종로코스ㆍ19 북한산 성북코스 이어 걷기(구파발역에서 화계역까지)'를 위해 길을 나선다.
▼ 서울둘레길 18코스(북한산 종로코스) 시점에서...
평창동 보현산신각 平倉洞 普賢山神閣
요약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각산 보현봉에 있는 맞배지붕 형태의 산신각.
내용
1973년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현, 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산신을 모시는 일종의 산신당이다.
원래 근처에 여산신각과 부군당 신목(神木)이 있어서 이 남산신각과 함께 평창동 동민들의 동제의 대상이었으나, 여산신각은 소실되었다.
부군당 건물도 없고 부군당 신목이 서울특별시 지정보호수 제65호로 되어 있다.
이 산신각 위에는 조선시대 천제단(天祭壇) 터가 있고, 밑에는 조선시대 양곡보관소였던 평창 터가 있다.
당의 역사는 확실하지 않다.
다만 산신각 제단 위에 있는 종에 정유년(丁酉年)이라 새겨져 있고, 여산신각의 여산신도에 1923년에 그렸다는 기록이 있을 뿐이다.
그러나 이 정유년이 1957년인지 아니면 1897년이나 또는 더 그 이전인지는 알 수 없다.
현재 남아 있는 산신각은 목조 맞배지붕(기호노인상) 형태의 한옥으로, 정면과 측면이 모두 1칸인 조그마한 규모이다.
내부 정면에 기호노인상(騎虎老人像 : 지붕의 양 옆면이 막 잘려진 지붕)의 산신도(가로 97㎝, 세로 108㎝)가 걸려 있다.
여산신각도 1평 정도 넓이의 한와(韓瓦) 목조건물이었고, 안에는 여산신도가 걸려 있었으나 1974년경에 모두 소실되었다.
이 여산신도에는 1923년의 작품임과 아울러 화가의 이름까지 밝힌 기록(大正十二年癸亥 八月二十四日 山神奉安于大同出草 畫師 金禮安堂 堂奎)이 있었다.
이들 남산신각과 여산신각, 부군당 신목에는 매년 음력 3월 1일에 마을의 노인들이 추렴을 하여 마을의 안녕을 비는 유교식 제사를 지내고 제물을 집집마다 분배하여왔다.
이것은 지연적 단합을 다짐하는 동제의 한 형태이며, 특히 산세가 험한 지리성을 그대로 잘 반영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산신개념으로 표상된 산악숭배의 전통과 동제의 전통이 결합된 양상을 보여주는 것이다.
아울러 여산신각과 여산신도는 산신을 여신으로 여긴 매우 오래된 고형관념(古型觀念)을 구상화하여 보여주는 귀중한 민속자료이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여기서 '서울둘레길 17 북한산 은평코스ㆍ18 북한산 종로코스ㆍ19 북한산 성북코스 이어 걷기(구파발역에서 화계역까지) - 2부'를 마치고...
'서울둘레길 17 북한산 은평코스ㆍ18 북한산 종로코스ㆍ19 북한산 성북코스 이어 걷기(구파발역에서 화계역까지)'를 다녀오다
▣ 1부[구파발역 2번 출입구→서울둘레길 17코스(북한산 은평코스)→옥방아다리→구파발천 따라→구파발교→진관교→하늬버들잎다리→우물골근린공원→분수대→새버들잎다리→만남의다리→반딧불다리→메뚜기다리→인공폭포→폭포동교→밥할머니교→북한산둘레길 구름정원길 구간→선림사→선림사앞→선림공원지킴터 앞→폭포동고개→육각정→청송아파트→주 은혜교회 팀수양관→수리마을 수리공원→연은정→정진사입구→정진사→정진공원지킴터→대호아파트 갈림길→하늘전망대→(대한불교)불광사→북한산둘레길 옛성길구간 아치→북한산생태공원→서울둘레길 18코스(북한산 종로코스)]는
https://macgyver-dct.tistory.com/16165033 ☜클릭
▣ 2부[북한산생태공원→서울둘레길 18코스(북한산 종로코스)→북한산풀잎소공원→북한산생태공원 시계탑→장미공원 음수대 쉼터→은평둘레길 분기점→우수조망명소(헬기장)→오탁번쉼터→전망바위→탕춘대성 암문→꽈배기소나무→북한산둘레길 평창마을길구간 아치→불심원→예반 시티빌라→구기터널 앞→삼성출판박물관→삼보월드빌→전심사 앞→전심사→주한 코트디부아르 대사관저→보각사 위→청련사→혜광사→→한국여자신학대학원/한국여성크리스찬크럽→평창동 보현산신각]는
https://macgyver-dct.tistory.com/16165034 ☜클릭
▣ 3부[평창동 보현산신각→평창동 허공기도터→동덕교육문화원→더피아노→평창공원지킴터 앞→녹지제3초소(평창천)→감람산기도원→평창5교→선원사 앞→연화정사→서울둘레길 19코스(북한산 성북코스)→형제봉 입구→북한산둘레길 명상길구간 아치→마지막화장실→나무미륵대불 바위→구복암 입구→북한산 형제봉 입구분기점→북악산갈림길→북악공원지킴터 갈림길→왕녕사 입구→마지막화장실→쉼터→선행암→삼은대(三恩坮)→형제봉 갈림길→전망대→청수사→북한산둘레길 솔샘길구간 아치→정릉주차장→북한산국립공원 생태문화센터]는
https://macgyver-dct.tistory.com/16165035 ☜클릭
▣ 4부[북한산국립공원 생태문화센터→대진여객→청수목욕탕→정릉 중앙하이츠아파트→북한산자락길(정릉동) 만남의 장→솔샘마당→정릉초등학교→성북생태체험관→북한산자연학습장→사색의숲→솔샘발원지→바람소리숲→생태연못→북한산유아숲체험원→미양배드민턴장→북한산둘레길 흰구름길구간 아치→경천사→빨래골공원지킴터→구름전망대→화계사→화계사일주문→화계중학교→유현초등학교→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한신대교차로→(우이신설선) 화계역]는
https://macgyver-dct.tistory.com/16165036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