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행·등산사진후기☞/♤ 경기도의 기타산

[20160924]안성 서운산(청룡사-은석암-정상-마애불-석남사-정상-탕흉대-포도박물관) 산행 & 서운산둘레길걷기 - 1부

by 맥가이버 Macgyver 2016. 9. 24.

 

31625

 

2016년 09월 24일(토)

 

 '안성 서운산 산행(청룡사-은석암-정상-마애불-석남사-정상-탕흉대-포도박물관) & 서운산둘레길 걷기'를 다녀오다.

 

 

 

 

 안성 서운산 산행(청룡사-은석암-정상-마애불-석남사-정상-탕흉대-포도박물관) & 서운산둘레길 걷기' 이야기
 

 맥가이버의 '안성 서운산 산행(청룡사-은석암-정상-마애불-석남사-정상-탕흉대-포도박물관) & 서운산둘레길 걷기' 코스

 

 

청룡저수지 주차장→청룡사 사적비→청룡사→은적암→전망정자헬기장서운산 정상→안부→마애석불→석남사→야생화꽃길→절개지

→삼거리 쉼터→능선안부(478고지)→서운산 정상→헬기장→전망정자→542봉탕흉대→비둘기재→인처골(무상사)갈림길포도박물관

서운산둘레길(포도박물관방아동호수→잣나무길→서림원→만리만골→운모석농원캠핑장→카페 풍경)→차량이동청룡저수지 주차장

 ▲ 안성 서운산 등산 코스도

▲ 서운산둘레길 3코스ㆍ4코스 미완의 답사 코스도

 

오늘은 '안성 서운산 산행(청룡사-은석암-정상-마애불-석남사-정상-탕흉대-포도박물관) & 서운산둘레길 걷기'를 나선다.


애초 안성 서운산을 '8자산행(청룡사-은적암-정상-석남사-정상-탕흉대-청룡사)'으로 계획하였으나 '서운산둘레길'을 추가하여,
'안성 서운산 8자산행'이 좀더 확대된 '포도박물관에서부터 '서운산둘레길'을 걷고 청룡사로 원점회귀하는 코스'로 그려보았다.

 

그런데 안성 서운산 산행의 '청룡사-은석암-서운산 정상-마애불-석남사-서운산 정상-탕흉대-포도박물관' 코스는 잘 진행하였으나...

포도박물관에서부터 이어지는 '서운산둘레길'은 이정표식인 리본만이 난무하지 어디를 얼마큼 진행하였는지를 알 수 없게 해놓았다.

그리고 좋은 길이 있는데 굳이 멧돼지 목욕탕 등 멧돼지가 이동하는 동물이동로?를 이용하여 둘레길을 돌려놓은 곳도 있었다.


'서운산둘레길'이 조성되었다는 보도를 지난 해 10월에 접하였는데...

길과 풍광이 꽤나 잘 되어있어 좋다고 했다.

근 1년이라는 시간이 지났으니 좀더 잘 다듬어져 있을 것을 예상하고 '서운산둘레길'에 대한 사전 준비를 충분히 하지 않고 길을 나섰는데,

서운산둘레길이 만들어졌으니 의레 이정목 등의 안내표식도 해놓았을 테고, 그러면 쉽게 길을 이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막상 '서운산둘레길'을 걷다보니 안내 리본만 난무하지

안내 이정목이 없어서 어디를 걷고 있고, 얼마큼 걸었고, 얼만큼 남았는 지를 분간할 수 없어 당황스러웠다.

게다가 걸었던 길 중에는 동물이동로(멧돼지길)를 이용한 길이 간혹 있는데 해가 질 무렵인지라 겁이 나기도 했다.


애초 마음에 두고 찾아가고자 했던 바우덕이묘와 청룡저수지를 거쳐 청룡사까지 이어 걷지 못하고

운모석농원캠핑장에서 국도 34호선 중 '성진로'로 내려서야 했다.


'안성 서운산 8자산행'을 하며 설레였던 마음은 '서운산둘레길'을 걸으며 서운함으로 변했다.

☞ 맥가이버의 '안성 서운산 산행(청룡사-은석암-정상-마애불-석남사-정상-탕흉대-포도박물관) & 서운산둘레길 걷기'

자세한 이야기는 맥가이버의 블로그 사진후기로 대신한다.
 

 

 
누군가가 '누우면 죽고, 걸으면 산다(臥死步生)'고 했다.
맥가이버는 '산 따라 강 따라 길 따라' 걷는 것을 죽고사는 차원이 아닌 즐기는 차원에서 걷는다.
즉, 좋은 길을 걷다가 새로운 환경이나 상황, 사람을 만나면서 알게 되고, 느끼고, 감동 받고, 깨닫는 것을 즐긴다.
 

 


'모든 만남은 걷고 있을 때 이루어진다'라는 말이 있는데,
길을 걷다보면 새로운 풍광을 보게 되고, 새로운 사람을 만나게 되고, 새로운 경험을 하고, 새로운 것을 알게 된다.
 

 

 
맥가이버가 '때론 함께, 때론 홀로' 산행이나 여행, 도보를 하면서 후기를 주로 사진으로 작성함은
인간의 만남이 또한 유한함을 알기에 어떤 연유로 비록 언젠가 헤어지더라도 추억 속에서 함께 하고자 함이고,
또 하나 이유가 있다면 걸으면서 보고 느낀 것을 글로 다 표현치 못하는 무능함에 있습니다.
그리고 한 가지를 더 든다면 누군가가 같은 길을 걷고자 할 때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입니다.
 
 
 
☞ '안안성 서운산 산행(청룡사-은석암-정상-마애불-석남사-정상-탕흉대-포도박물관) & 서운산둘레길 걷기- 1부를 시작하며...

 

 

00시 00분 - 청룡사 사적비/느티나무 앞에서...


청룡사 사적비


 

청룡사 사적비[靑龍寺事蹟碑]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청룡리 청룡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석비. 


지정종목 : 시도유형문화재
지정번호 : 경기유형문화재 제124호
지정일 : 1985년 06월 28일
시대 : 조선
종류/분류 : 석비
크기 : 높이 1.9m, 가로 0.73m, 세로 0.31m
소재지 :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청룡리 62-4

 

1985년 6월 28일 경기도유형문화재 제124호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인 1720년(경종 즉위)에 청룡사 중수를 기념하기 위하여 절 진입로에 세운 사적비이다.

크기는 높이 1.9m, 가로 0.73m, 세로 0.31m이다.

 

비는 큰 돌 하나로 조성되었는데 돌에는 용 비늘을 조각하였다.

비석의 왼쪽 위 개석(蓋石)은 이수 형태로 정면에 용두(龍頭)가 있고,

네 귀퉁이에도 여의주를 문 용두가 새겨져 있으며 귀퉁이의 용두에는 눈과 코가 조각되어 있다.

명문(銘文)은 비석의 앞면과 뒷면에 있다.

비문은 동현거사 안정나준(安定羅浚)이 지었고 글씨는 직산현감 황하민(黃夏民)이 썼으며, 사헌부 지평 김진상(金鎭商)이 전액(篆額)하였다.

 

청룡사는 원래 고려시대인 1265년(원종 6)에 명본국사(明本國師)가 대장암(大藏庵)이라고 이름하여 창건한 것을

1364년(공민왕 13)에 혜옹이 크게 중창하여 청룡사로 개칭하였다고 전해진다.

 

절 안에는 대웅전, 삼층석탑, 동종, 명부전, 관음전 등이 있으며

풍수지리설에 따르면 이 절의 위치가 청룡의 형상이라 하여 청룡사라 칭하였다고 한다.


[출처 : 두산백과]


서운산 둘레길 바닥 안내표식


으름

으름
으름덩굴과에 속하는 낙엽 덩굴성 만목(蔓木).


이명 : 목통(木通), 통초(通草), 임하부인(林下婦人)
분류 : 으름덩굴과 
성격 : 식물, 나무 
학명 : Akebia quinata DECNE


[내용]

한자명은 목통(木通)·통초(通草)·임하부인(林下婦人)이며, 그 열매를 연복자(燕覆子)라 한다.

학명은 Akebia quinata DECNE이다.

다섯 개의 소엽(小葉)이 긴 잎자루에 달려서 장상(掌狀)으로 퍼진다.

봄에 암자색의 꽃이 피고 긴 타원형의 장과(漿果)가 암자색으로 가을에 익는다.


우리나라 산지에 자생하며, 나무를 타고 잘 올라간다.

열매는 맛이 달고 식용이지만 씨가 많이 들어 있다.

생김새나 맛이 바나나와 비슷하여 ‘코리언 바나나’로 부르기도 한다.


어린 순은 나물로 이용하고 줄기는 바구니제조 원료로, 줄기와 뿌리는 약으로 쓰이는데,

특히 이뇨·진통의 효능이 있어 소변불리·수종·관절염·신경통에 치료제로 사용한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지역에 주로 분포한다.

소엽의 수가 여덟 개인 것을 여덟잎으름이라 하고, 안면도·속리산 및 장산곶에서 발견되고 있다.


잎과 열매의 모양이 특이해서 조경상의 가치가 인정되어 식재되고 있다.

자웅동주(雌雄同株)이나 결실을 돕기 위해서는 인공수분을 할 필요가 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서운산 등산 안내도


청룡사 청운교를 건너...


서운산 청룡사


 

청룡사[靑龍寺]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청룡리에 있는 고려시대 사찰. 


창건시기 : 고려시대
창건자 : 명본국사
소재지 : 경기 안성시 서운면 청룡리

1265년(고려 원종 6) 서운산 기슭에 명본국사(明本國師)가 창건한 절로,

창건 당시에는 대장암(大藏庵)이라 하였으나 1364년(공민왕 13) 나옹화상이 크게 중창하고 청룡사로 고쳐 불렀다.

 

청룡사라는 이름은 나옹화상이 불도를 일으킬 절터를 찾아다니다가 이곳에서 구름을 타고 내려오는 청룡을 보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절 안에는 대웅전(보물 824), 관음전, 관음청향각, 명부전 등이 있고, 대웅전 앞에는 명본국사가 세웠다는 삼층석탑 등이 보존되어 있다.

대웅전은 다포계의 팔작집으로 고려말 공민왕 때에 크게 중창하여 고려시대 건축의 원형을 보여 주는 귀중한 자료다.

법당 안에는 1674년(조선 현종 15)에 만든 5톤 청동종이 있고, 큰 괘불이 있어 대웅전 앞에 괘불을 걸 돌지주까지 마련해 놓았다.

불구불한 아름드리 나무를 껍질만 벗긴 채 본래의 나뭇결 그대로 살려 기둥으로 세웠다.

인평대군(麟平大君)의 원찰(願刹)이었다는 청룡사는 1900년대부터 등장한 남사당패의 근거지이기도 했다.

이들은 청룡사에서 겨울을 지낸 뒤 봄부터 가을까지 청룡사에서 준 신표를 들고 안성장터를 비롯해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연희를 팔며 생활했다.

지금도 건너편에는 남사당마을이 남아 있다.

 

주변에 서운산, 칠장산, 미리내성지, 고삼저수지, 안성장, 삼일운동기념탑, 죽주산성 등의 관광지가 있다.

 

[출처 : 두산백과]

 



청룡사 대웅전


 

안성 청룡사 대웅전[安城靑龍寺大雄殿]


시대 : 고려
성격 : 불전
건립시기·연도 : 1265년 (창건), 1364년 (중건)
규모(면적) : 정면 3칸, 측면 4칸
소재지 :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청룡길 140(청용리), 청룡사

소유자 : 청룡사
관리자 : 청룡사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824호
문화재 지정일 : 1985년 1월 8일

 

정의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청룡리청룡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전.

 

내용

보물 제824호. 정면 3칸, 측면 4칸의 겹처마 팔작지붕건물.

자연석으로 축조한 기단에 화강석 주초석을 놓아 그 위에 기둥으로 세우고 기둥 윗몸에 창방(昌枋)을 얹은 위에 또 평방(平枋)을 얹었다.

평방 뒤로 내외삼출목(內外三出目)의 포작 공포를 짜 올렸다.

전혀 가공하지 않은 원목 그대로의 괴목을 기둥으로 쓴 것이 매우 특이하다.

대량(大樑)을 낮게 걸고 종중량(宗中樑)에 종량(宗樑)까지 얹었다.

공포 위의 장여와 내목도리 사이에 넓은 간격이 생겼고, 그 간격에 토벽을 만들고 그림을 그려 넣었다.

어간(御間) 뒷벽에 의지하여 불단(佛檀)이 설비되어 있고, 그 위에 삼존불을 모셨으며, 위에는 닫집이 꾸며져 있다.

천장은 중앙에 우물천장을 꾸미고 양옆은 연등천장으로 되어 있다.

대웅전 안에는 1674년(현종 15)에 주조한 480㎏이나 되는 범종이 보존되어 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청룡사 삼층석탑
















이제 서운산으로...





갈림길에서 은적암 방향으로...








돌탑 쉼터








으름을 따서 내려오는 이가 있어서... 











그런데 은적암이...


은적암 앞에 있던 큰나무의 가지 하나가 부러져 은적암을 덮친 듯...








서운산 정상으로...






좌성사 갈림길









탕흉대 갈림길




전망정자



헬기장




금북정맥 엽돈재 갈림길







배티고개 갈림길





서운산 정상 데크


서운산은 정상석 대신 정상목이...


서운산[瑞雲山, Seounsan]

 

경기도 안성시의 남쪽에 위치한 산이다(고도:548m).

서운면과 금광면, 진천군에 걸쳐 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청룡산(靑龍山)은 군 남쪽에 있다.

서쪽 봉우리에 단(壇)이 있고, 단 아래에 세 우물이 있는데,

가뭄을 만나면 우물을 깨끗이 하고 비를 빌면 자못 영험이 있다."고 하여 관련 기록이 처음 등장한다.

 

청룡산은 서운산의 다른 이름이라고 할 수 있는데,

『신증동국여지승람』의 서운산 설명 내용이 청룡산의 그것과 정확히 일치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신증동국여지승람』의 불우 항목에는 청룡사(靑龍寺)와 석남사(石南寺)가 서운산에 있음을 기록하고 있는데

청룡사라는 명칭도 바로 청룡산 자락에 자리 잡은 것과 관련되는 듯하다.

인평대군(麟平大君)의 원찰(願刹)이었다는 청룡사는

산의 왼쪽 산자락에 자리 잡고 있는데 조선 시대 남사당패의 근거지로도 알려져 있다.

산의 오른쪽 기슭의 절이 바로 신라 시대 사찰로 알려진 석남사이다.

이렇듯 서운산에 기우제를 지내는 제단이나 사찰들이 있었다는 것은

사람들에게 그만큼 영험한 기운을 가진 산으로 인식되고 있었음을 말해주는 것인데

그러한 의미를 더욱 강화하기 위해 붙여진 지명이라고 추측된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기촌면 · 송죽면 · 덕곡면 · 입장면을 합쳐 서운면이라 칭한 것도 같은 연유인 것으로 짐작된다.


[출처 : 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 지명, 2008. 12., 국토지리정보원]

 





마애불상을 거쳐 석남사로 내려서기 위해...






배티고개 갈림길에서 석남사 방향으로...

















마애불상 가는 길...



석남사 마애여래입상


 

석남사 마애여래입상[石南寺磨崖如來立像]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상중리 석남사에 있는 고려시대 초기의 불상. 


지정종목 : 시도유형문화재
지정번호 : 경기유형문화재 제109호
지정일 : 1981년 07월 16일
시대 : 고려
종류/분류 : 마애불
크기 : 높이 4.5m, 너비 2.8m
소재지 :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상중리 산 22

 

1981년 7월 16일 경기도유형문화재 제109호로 지정되었다.

석남사에서 약 1km 떨어진 곳에 있는 높이 6m, 너비 8m의 거대한 자연 암벽에 양각된 여래입상이다.

불상의 크기는 높이 4.5m, 너비 2.8m이며 광배와 대좌를 모두 갖추고 있다.

3중으로 된 원형 두광과 타원형 신광을 조화시켜 키 모양의 독특한 광배를 이루며, 소발(素髮)의 머리에는 큼직한 육계가 있다.

원만한 얼굴에 눈, 코, 입 등은 작게 표현되었으며 이중턱과 목에 삼도가 있어 다소 비대해 보인다.

손은 체구에 비해 작은 편인데, 오른손은 가슴에 들어 외장(外掌)하고 왼손은 내장(內掌)하여 설법인(說法印)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법의(法衣)는 양쪽 어깨를 감싸고 배 부분까지 U자형을 이루며, 다리에 각각 비낀 U자형으로 표현하여 세련된 솜씨를 보여준다.

단엽의 앙련좌가 있으며 연판은 8개로 좌우에 2판, 밑으로 1판씩 있다.


[출처 : 두산백과]

 







 

☞ 여기서 '안성 서운산 산행(청룡사-은석암-정상-마애불-석남사-정상-탕흉대-포도박물관) & 서운산둘레길 걷기' - 1부를 마치고...

 

 

 

2016년 09월 24일(토)

 맥가이버의 '안성 서운산 산행(청룡사-은석암-정상-마애불-석남사-정상-탕흉대-포도박물관) & 서운산둘레길 걷기'를 다녀오다.
  
-▥☞ 1부[청룡저수지 주차장→청룡사 사적비→청룡사→은적암→전망정자→헬기장→서운산 정상→안부→마애석불]는 여기를 클릭.☜▥-
 
-▥☞ 2부[마애석불→석남사→야생화꽃길→서운산 정상→헬기장→전망정자→542봉→탕흉대→비둘기재→포도박물관]는 여기를 클릭.☜▥-
 
-▥☞ 3부[서운산둘레길(포도박물관→방아동호수→잣나무길→서림원→만리만골→운모석농원캠핑장→카페 풍경)]는 여기를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