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 혁 ]
유교에서는 교육이 차지하는 비중과 역할이 매우 컸던 만큼 이를 위한 교육제도 역시 일찍부터 발달하였다. 이같은 사실은 이미 기원전 5세기 무렵에 중국 곡부(曲阜)에서 세계 최초의 사립학교가 바로 공부자에 의하여 설립되었으며, 이를 거쳐 나간 제자가 무려 삼천 명에 달했다는 것을 미루어서도 알 수 있다.
이같은 현상은 우리 나라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우리 나라의 역사 속에서 최초로 나타난 공식적인 국립대학 교육기관은 372년에 세워진 고구려의 태학(太學)이다. 이곳에서 경전(經典) 읽기를 비롯하여 활쏘기 등의 교육이 이루어졌다는 기록을 미루어 볼 때 육예(六藝)를 기본 내용으로 하는 전통적인 유교 교육이 진행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고구려뿐 아니라 백제(百濟)에서도 오경박사(五經博士)의 제도가 있어 학생들에게 유교 경전을 가르쳤고, 신라에서도 역시 782년에 국학(國學)을 세워 「논어」와 「효경(孝經)」을 필수 과목으로 하는 유교 교육을 실시하였다. 특히 이 무렵을 전후(前後)해서는 백제의 유학자들이 일본에까지 건너가 유교를 전파하였던 것으로 미루어 유교 교육이 이미 체계가 잘 갖춰지고 매우 성행(盛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어 고려시대(高麗時代)에 들어와서는 992년에 국립대학에 해당하는 국자감(國子監)이 설립되어 더욱 세분화되고 발달한 교육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이곳에서는 유교의 주요 경전들을 단계별로 나누어 배우고 신라에서와 마찬가지로 「논어」와 「효경」을 필수과목으로 하여 총 8년 반에 걸쳐 교육과정을 마치도록 하였다. 또한 예종 14년(1119년)에는 국자감 내에 우리 나라 최초의 장학기구라 할 수 있는 양현고(養賢庫)를 설치하여 인재양성을 위한 재정적 뒷받침을 하였다.
[ 국립대학으로서의 성균관 ]
국자감에서는 경전교육과 더불어 고려 초기부터 공부자묘(孔夫子廟)가 세워져 유교의 창시자인 공부자를 추모하고 그 위대한 업적을 기리기 위한 여러 가지 의식이 행하여졌다.
이같은 의식은 오늘날까지도 계승되어 해마다 봄과 가을 두 차례에 성균관을 비롯한 전국 향교에서 일제히 공부자에 대한 제사 의식인 ‘석전(釋奠)’을 지내고 있다.
국자감은 유학을 가르치고 국가의 인재를 양성하는 국립대학으로서 확고히 자리잡게 되었다. 국자감은 그 후 국학(國學) 또는 성균감(成均監) 등으로 그 명칭이 여러 차례 바뀌어오다가 공민왕(恭愍王) 11년(1356년)에 이르러 ‘성균관(成均館)’으로 정해진 이후 오늘날까지 변함없이 이어지고 있다.
[ 성균관의 규모 ]
고려 때까지 성균관은 당시의 수도였던 개성에 자리잡고 있었다. 그러나 조선이 건국된 후 태조(太祖)가 수도를 한양으로 옮김에 따라 1398년에 지금의 서울 명륜동으로 옮겨 세워졌다.
태조 당시 성균관은 명륜당(明倫堂)과 대성전(大成殿) 그리고 동재(東齋)와 서재(西齋) 및 성균관의 관리를 맡아보던 오늘날의 학교 서무실 기능을 지닌 정록청(正錄廳) 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명륜당은 학생들에게 유학을 강의하던 강당으로서 시대에 따라 차이는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이곳에서는 약 200명 정도의 학생들이 공부하였으며, 국가에서 과거시험을 보는 장소로도 사용하였다. 그리고 대성전은 공부자를 비롯하여 그의 제자와 후대 유학자 21인과 우리 나라의 대유학자 18인의 위패를 모셔 놓은 문묘(文廟)이다. 또 동·서재는 기숙사로서 모두 28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성균관의 규모는 날로 확장되어 성종(成宗) 때에 향관청(享官廳)과 존경각(尊經閣)이 세워진 것을 비롯, 비천당(丕闡堂)과 육일각(六一閣) 등이 차례로 설치됨으로써 우리 나라를 대표하는 유교의 최고 교육기관으로서의 체계를 완전히 갖추게 되었다.
향관청은 대성전에서 석전을 지낼 때에 쓰이는 갖가지 도구(道具)와 의복(衣服) 등을 보관하던 장소였으며, 존경각은 경전을 비롯한 많은 책을 보관하던 도서관으로서 우리 나라 대학 도서관의 시초라 할 수 있다. 또한 비천당은 명륜당과 더불어 과거시험을 보기 위한 장소로서 설치되었으며, 육일각은 활과 화살 등을 보관하던 곳으로서 육예(六藝) 가운데 한 과목인 사(射) 즉 활쏘기를 하면서 학생들로 하여금 국방의 중요성을 잊지 않게 하는 동시에 몸과 마음을 수양할 수 있도록 권장하는 뜻에서 설치되었다.
[ 성균관의 주요 교육 내용 ]
성균관에서 공부하던 학생들은 유생(儒生)으로 불렸으며, 이들의 생활은 엄격하고도 질서있는 것이었다. 유생들의 하루 일과는 매일 새벽에 일어나 경전을 읽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였으며, 특히 유교를 공부하는 학생으로서의 명예를 소중히 여겼다.
책을 읽을 때에는 그 뜻을 명확하게 이해하여 그 속에 들어있는 깊은 뜻을 깨달을 때까지 끊임없이 반복하였다. 그들은 일상생활 속에서도 윤리도덕을 철저히 지키며 교수에게는 깍듯이 예의를 갖추는 등 국가의 장래를 맡아 나갈 인재로서 소홀함이 없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였다.
성균관에서 유생들이 수업을 받았던 주요 과목은 사서와 오경이었다. 처음 입학한 학생에 대해서는 「대학」부터 배워 단계적으로 다음 과목으로 넘어갈 수 있도록 하였으며, 아홉 과목을 모두 마치는 데 필요한 기본 독서 기간은 약 3년 반이었다.
유생들에게는 매월 말에 그 동안 공부한 것에 대한 성과를 시험보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국가에까지 보고되는 등 매우 엄격하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일제 강점기의 탄압 ]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국립대학으로서 유교 뿐만 아니라 국가의 장래를 이끌어갈 인재의 양성, 풍속의 교화 등으로 유교 이념에 입각한 이상사회 건설에 굳건한 토대가 되었던 성균관과 향교는 일제의 침략으로 엄청난 탄압을 받게 되었다. 1910년 무력으로 한국을 합병한 일제는 우리의 국가이념을 부정하고 민족성을 말살하기 위하여 합방 직후 성균관을 폐지하고 교육기관으로서의 자격을 박탈하였던 것이다.
성균관을 폐지한 일제는 민족 교육이 아닌 식민지 교육을 위하여 경성제국대학을 국립대학으로 설립하였다. 이같은 강압정책에 따라 성균관은 국립대학으로서의 면모를 잃고 경전을 교육하는 사설 전문학원으로 전락하고 말았으며, 이에 따라 유교 역시 크게 침체되었다. 그러나 해방과 더불어 그 동안의 침체에서 벗어나 성균관을 재건하고 유교를 다시 부흥시키기 위한 움직임이 전국 유림들을 중심으로 활발히 전개되기 시작하였다.
성균관이 지니고 있었던 교육기관으로서의 기능을 되살리기 위하여 해방 직후인 1946년에 유림들의 뜻을 모아 성균관대학이 설립되었다. 비록 국립대학으로서의 위치를 되찾지는 못하였으나 유교이념에 의한 대학이 다시 우리 나라에 세워질 수 있게 된 것은 매우 뜻깊은 일이 아닐 수 없다.
성균관대학의 설립과 더불어 성균관 안에 유림조직으로서 유도회총본부가 설치되고, 각 지방에도 유도회 지부가 결성되어 향교를 중심으로 새로운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일제에 의해 저질러졌던 민족이념으로서의 유교에 대한 철저한 탄압의 상처를 빠른 시간 안에 완전히 회복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뒤따랐던 것 또한 사실이다.
하지만 전국 유림들의 유교 진흥에 대한 흔들리지 않는 신념과 꾸준한 노력 속에 청년유도회와 여성유도회가 잇따라 결성되고 자체 언론기구로서 유교신문사가 건립되는 등 체제가 크게 정비되었다. 또한 최근 들어 성균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어린이 예절학교’를 비롯, 선비학당과 한림원 및 전국 각 향교에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청소년인성교육 현장교실’ 등을 개설하는 등 사회교화 및 교육기관으로서의 본래의 기능과 모습을 점차 되찾아 가고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한 사회의 인식도 매우 높아져 많은 관심과 참여가 뒤따르고 있음은 유교의 부흥과 민족문화의 확립을 위해 대단히 다행스런 일이라 하겠다.
□ 성균관의 역사(歷史)
- 우리 나라 국립대학의 시초는 고구려 소수림왕 2년(372)에 태학(太學)이 설립된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 다음으로 신라 신문왕 2년(682) 6월에 국학(國學)을 설립하고, 고려 태조 13년(930)에는 왕이 서경(西京)에 행차하여 학교를 설치하고 육부(六部)의 생도들을 가르쳤다.
- 이후 성종 11년(992) 12월에 국자감(國子監)을 설립하고, 충렬왕 30년(1304) 6월에 국자감(國子監)을 성균관(成均館)으로 개명(改名)하였으며, 공민왕(恭愍王) 16년(1367) 12월에는 숭문관(崇文館) 옛 터에 성균관을 창건하였다. 이렇게 보면, 우리 나라 국립대학교육의 역사는 약 1,600여 년이 넘는다.
- 고려 말기까지 개성에 있던 성균관이 현재의 서울시 종로구 명륜동(明倫洞)[옛 이름은 숭교방(崇敎坊)]에 자리잡게 된 것은 조선왕조가 건국되고 수도를 한양으로 천도한 이후 태조 7년(1398)이었으며, 성균관 설립과 동시에 전국에는 360개 향교가 설치되었다. 이로부터 중앙과 지방의 교육체계가 확립되었으며, 조선왕조 전 시대를 걸쳐 유교교육의 구심점으로서 그 역할을 담당하였다.
- 한편, 성균관은 정종 2년(1400)에 소실(燒失)되었으나, 태종 7년(1407)에 중건(重建)하고 묘정비(廟庭碑)를 세웠다. 또한,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壬辰倭亂)으로 소실된 것을 선조 34년(1601)에 대성전 및 명륜당과 부속건물을 연차적으로 중건(重建)·보수(補修)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 그 후 몇 차례의 중·보수를 거친 후 1910년 일제의 강압에 의해 국립대학과 민족교육의 맥이 끊어졌으며, 명칭도 경학원(經學院)으로 바뀌었다. 이때 일제는 1924년 식민지 교육을 위하여 경성제국대학(京城帝國大學)을 설립하였다. 이후 성균관은 명륜학원(明倫學院), 명륜전문학교(明倫專門學校)로 불리다가 1945년 광복과 더불어 성균관으로 환원되고, 1946년 9월 25일 유림의 성금으로 성균관대학교가 설립되어 민족교육의 맥을 계승하게 되었다.
- 성균관은 태학(太學)으로도 불리었으며, 중국 주(周)나라 때 제후의 도읍에 설치한 학교기관의 명칭인 반궁(泮宮)으로 지칭되기도 하였다. 성균관 일원을 문묘(文廟)라고 하는데, 주요 건물로는 대성전(大成殿)과 명륜당(明倫堂)이 있고, 부속 건물로 동무(東)와 서무(西), 동재(東齋)와 서재(西齋), 존경각(尊經閣), 육일각(六一閣) 등이 있다.
- 성균관에는 최고 책임자로 정3품직인 대사성(大司成)을 두었으며, 그 아래에 좨주(祭酒)·악정(樂正)·직강(直講)·박사(博士)·학정(學正)·학록(學錄)·학유(學諭) 등의 관직을 두었다. 조선시대의 교육제도는 과거제도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초시인 생원시(生員試)와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한 유생(儒生)에게 우선적으로 성균관에 입학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성균관 유생의 정원은 개국 초에는 150명이었으나, 세종 11년(1429)에 200명으로 정착되었다.
-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한 유생을 상재생(上齋生)이라 하였고, 소정의 선발 시험인 승보(升補)나 음서(蔭敍)에 의해 입학한 유생들을 하재생(下齋生)이라 하였다. 성균관 유생은 기숙사인 동재와 서재에서 생활하였으며, 출석 점수인 원점(圓點)을 300점 이상 취득해야만이 대과(大科) 초시(初試)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주었다. 유생의 생활은 엄격한 규칙에 의해서 이루어졌으며, 자치 활동기구인 재회(齋會)가 있었다.
- 유생은 성균관에서 기숙사생활을 하는 동안 국가로부터 학전(學田)과 외거노비(外居奴婢) 등의 편의를 제공받았으며, 교육 경비로 쓰이는 전곡(錢穀)의 출납은 장학기구인 양현고(養賢庫)에서 담당하였다. 유생은 또한 당대의 학문·정치현실에도 매우 민감하여 문묘종사(文廟從祀)나 정부의 불교숭상 움직임에 대해 집단 상소를 올렸으며, 그들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권당(捲堂 : 식사거부) 또는 공관(空館 : 성균관 퇴거)이라는 실력행사를 하기도 하였다.
- 현재 성균관은 성균관대학교와 분리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전국 234개의 향교와 더불어 유교사상과 전통문화 계승·발전의 산실로서 그 맥을 잇고 있다. 특히, 매년 전국적으로 실시되는 <청소년 인성교육>을 비롯한 각종 사회봉사 활동, 예절상담을 통한 생활의례 보급, 전통문화 계승을 위한 출판사업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 성균관의 건축물
1. 연혁
태조는 한양 천도 후 태조 4년(1395)에 문묘의 창건을 명하였으며, 태조 6년에 착공하여 이듬해인 태조 7년(1398)에 대성전이 완성되었다. 정종 2년(1402)에 화재로 소실되어 태종 7년(1407)에 재건되었으나,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어 선조 35년(1602)에 중건(重建)하였다.
2. 형태와 양식
대성전은 남향으로 모두 20간(間)이며, 남북으로는 4개, 동서로는 5개의 기둥이 있으며, 앞에는 당(堂)이 있고, 뒤에는 실(室)이 있다.
대성전은 높은 장대석기단을 쌓고 주좌(柱座)를 쇠시리한 다듬은 돌 초석을 놓고 두리기둥을 세워 공포(拱包)를 짠 다포(多包)양식이다. 정면 5간(間) 측면 4간(間)의 겹처마, 팔작기와지붕의 단층구조이다.
공포는 외2출목 내2출목으로 초제공, 이제공은 모두 강직한 앙서로 되어 있고, 그 위에 놓이는 첨차(첨遮)는 삼분두형으로 되어 있다.
내부의 출첨들은 초제공과 이제공의 끝은 교두형이지만 삼제공 끝은 역시 삼분두형을 이루고 있는 조선 중기의 전형적인 다포식(多包式) 건축이다.
현재 대성전(大成殿)의 현판(懸板)은 석봉(石峯) 한호(韓濩 : 1543∼1605)의 친필(親筆)이다.
3. 기능
대성전은 문묘(文廟)의 정전(正殿)으로서 공부자(孔夫子)의 위패를 모시는 전각이다. 공부자의 위패를 중앙 정위(正位)로 하여 4성(聖)과 공부자의 제자 10철(哲), 송조육현(宋朝六賢), 우리나라 18현(賢)의 위패가 동서로 위차봉안(位次奉安)되어 있으며, 대성전(大成殿)과 동무(東무)·서무(西무)는 공자를 비롯한 유가 성현들의 위패(位牌)를 모셔놓고 1년에 2회 정기적으로 석전(釋奠)을 지낸다. 이 건물과 공간을 통칭해 문묘(文廟)라 한다.
현재, 전국의 모든 향교(鄕校)에도 문묘를 갖추고 있으며, 석전을 모시고 있다. 그 가운데 성균관의 문묘는 국가의 대표 문묘로서 건축양식과 위패 등, 규모와 격식이 가장 웅장하다.
대성전에서는 매월 음력 초하루와 보름 오전 10시에 분향례(焚香禮)을 하고 있으며, 매년 봄과 가을 두 차례[음력 2월·8월]에 걸쳐 대규모의 제례(祭禮)를 거행하는데, 이것을 석전(釋奠)이라고 한다. 석전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한국에만 원형이 보존되어 있으며, 현재 <중요 무형문화재 85호>로 지정되어 있다.
4. 변천 및 현황
문묘에 모신 위패는 성균관 재생들의 건의에 따라 시대별로 변해왔다. 조선후기에 이르러 문묘에 모신 위패를 보면 다음과 같다. 대성전에 공자와 안자(顔子)·증자(曾子)·자사자(子思子)·맹자(孟子) 등의 4성(聖)과 10대(大) 제자, 중국 송나라의 대표적 성리학자 6명 등 21위가 모셔졌으며, 동·서무에 우리나라의 18위와 중국의 유학자 94위를 합해서 모두 112위를 모셨다.
문묘 전체로 보면 133위가 되었다. 그러나 일제의 강점기가 끝나고, 1946년 전국 유림의 대표로서 성균관을 재건하고 성균관대학교를 설립한 심산(心山) 김창숙(金昌淑)선생은 1949년 문묘 배향(配享) 성현에 대한 대대적인 조정작업을 추진하였다.
그리하여 동·서무에 있던 우리나라의 18현(賢)의 위패는 모두 대성전으로 모시고, 중국의 위패는 모두 태운 뒤 땅에 묻었다. 이리하여 현재 성균관 문묘에는 본래 대성전에 있던 21位와 우리나라의 18位를 포함해서 모두 39位가 봉안(奉安)되어 있다.
성균관은 옛 성현(聖賢)들에 대한 배향(配享)공간과 교육공간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데, 대성전은 배향공간에 속한다. 대성전은 공부자를 비롯하여 공부자의 제자, 후대의 성현들, 그리고 우리나라의 훌륭한 학자들의 위패를 모셔놓은 곳으로 성균관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대성전은 성균관을 비롯하여 전국 234개 향교(鄕校)에 모두 설치되어 있으나, 성균관 내의 대성전이 현재 남아있는 것으로는 가장 완비되고 규모가 가장 큰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찾아가는 길
- 성균관 홈에서 퍼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