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행·등산사진후기☞/♤ 안산·인왕산·북악산·남산

[20080309]서울성곽(북악산)과 도심(청와대,삼청동,인사동) 봄나들이 - 1부

by 맥가이버 Macgyver 2008. 3. 9.

 

23573
  

 2008년 3월 09일(일) 서울성곽(북악산 구간)과 도심(청와대,삼청동,가회동,인사동) 봄나들이를 다녀오다.

혜화역-대명거리-성균관대 정문-문묘-성균관대 후문-와룡공원-말바위 쉼터-숙정문-촛대바위 쉼터

-곡장-청풍암문-청운대(293m)-1.21사태 소나무-북악산 정상(백악마루:342m)-북악 쉼터-돌고래 쉼터

-창의문 쉼터-창의문-청계천 발원지-故최규식경감 동상-무궁화동산-청와대-효자동 사랑방-청와대 앞길

-춘추관 앞-국무총리공관 앞-삼청동-베트남대사관 앞-북촌한옥마을-헌법재판소-안국역-인사동-쌈지길

   

오늘은 가벼운 봄나들이로 혜화역에서 성균관대학을 거쳐 와룡공원에서 서울성곽의 북악산 구간을 탐방하고,

창의문에서 청와대를 거쳐 삼청동 국무총리공관 앞을 지나 베트남대사관 옆을 지나 북촌한옥마을을 둘러보고,

헌법재판소에 들렀다가 안국역을 지나 인사동 거리로 가서 쌈지길을 구경하고 나서 종로2가에서 여정을 마치고...

 

☞ 자세한 이야기는 맥가이버 블로그 사진으로 대신한다.

 

 

 

 [ 연  혁 ]

 

유교에서는 교육이 차지하는 비중과 역할이 매우 컸던 만큼 이를 위한 교육제도 역시 일찍부터 발달하였다. 이같은 사실은 이미 기원전 5세기 무렵에 중국 곡부(曲阜)에서 세계 최초의 사립학교가 바로 공부자에 의하여 설립되었으며, 이를 거쳐 나간 제자가 무려 삼천 명에 달했다는 것을 미루어서도 알 수 있다.

이같은 현상은 우리 나라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우리 나라의 역사 속에서 최초로 나타난 공식적인 국립대학 교육기관은 372년에 세워진 고구려의 태학(太學)이다. 이곳에서 경전(經典) 읽기를 비롯하여 활쏘기 등의 교육이 이루어졌다는 기록을 미루어 볼 때 육예(六藝)를 기본 내용으로 하는 전통적인 유교 교육이 진행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고구려뿐 아니라 백제(百濟)에서도 오경박사(五經博士)의 제도가 있어 학생들에게 유교 경전을 가르쳤고, 신라에서도 역시 782년에 국학(國學)을 세워 「논어」와 「효경(孝經)」을 필수 과목으로 하는 유교 교육을 실시하였다. 특히 이 무렵을 전후(前後)해서는 백제의 유학자들이 일본에까지 건너가 유교를 전파하였던 것으로 미루어 유교 교육이 이미 체계가 잘 갖춰지고 매우 성행(盛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어 고려시대(高麗時代)에 들어와서는 992년에 국립대학에 해당하는 국자감(國子監)이 설립되어 더욱 세분화되고 발달한 교육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이곳에서는 유교의 주요 경전들을 단계별로 나누어 배우고 신라에서와 마찬가지로 「논어」와 「효경」을 필수과목으로 하여 총 8년 반에 걸쳐 교육과정을 마치도록 하였다. 또한 예종 14년(1119년)에는 국자감 내에 우리 나라 최초의 장학기구라 할 수 있는 양현고(養賢庫)를 설치하여 인재양성을 위한 재정적 뒷받침을 하였다.
 
 [ 국립대학으로서의 성균관 ]

국자감에서는 경전교육과 더불어 고려 초기부터 공부자묘(孔夫子廟)가 세워져 유교의 창시자인 공부자를 추모하고 그 위대한 업적을 기리기 위한 여러 가지 의식이 행하여졌다.
이같은 의식은 오늘날까지도 계승되어 해마다 봄과 가을 두 차례에 성균관을 비롯한 전국 향교에서 일제히 공부자에 대한 제사 의식인 ‘석전(釋奠)’을 지내고 있다.

국자감은 유학을 가르치고 국가의 인재를 양성하는 국립대학으로서 확고히 자리잡게 되었다. 국자감은 그 후 국학(國學) 또는 성균감(成均監) 등으로 그 명칭이 여러 차례 바뀌어오다가 공민왕(恭愍王) 11년(1356년)에 이르러 ‘성균관(成均館)’으로 정해진 이후 오늘날까지 변함없이 이어지고 있다.
 
 [ 성균관의 규모 ]

고려 때까지 성균관은 당시의 수도였던 개성에 자리잡고 있었다. 그러나 조선이 건국된 후 태조(太祖)가 수도를 한양으로 옮김에 따라 1398년에 지금의 서울 명륜동으로 옮겨 세워졌다.
태조 당시 성균관은 명륜당(明倫堂)과 대성전(大成殿) 그리고 동재(東齋)와 서재(西齋) 및 성균관의 관리를 맡아보던 오늘날의 학교 서무실 기능을 지닌 정록청(正錄廳) 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명륜당은 학생들에게 유학을 강의하던 강당으로서 시대에 따라 차이는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이곳에서는 약 200명 정도의 학생들이 공부하였으며, 국가에서 과거시험을 보는 장소로도 사용하였다. 그리고 대성전은 공부자를 비롯하여 그의 제자와 후대 유학자 21인과 우리 나라의 대유학자 18인의 위패를 모셔 놓은 문묘(文廟)이다. 또 동·서재는 기숙사로서 모두 28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성균관의 규모는 날로 확장되어 성종(成宗) 때에 향관청(享官廳)과 존경각(尊經閣)이 세워진 것을 비롯, 비천당(丕闡堂)과 육일각(六一閣) 등이 차례로 설치됨으로써 우리 나라를 대표하는 유교의 최고 교육기관으로서의 체계를 완전히 갖추게 되었다.

향관청은 대성전에서 석전을 지낼 때에 쓰이는 갖가지 도구(道具)와 의복(衣服) 등을 보관하던 장소였으며, 존경각은 경전을 비롯한 많은 책을 보관하던 도서관으로서 우리 나라 대학 도서관의 시초라 할 수 있다. 또한 비천당은 명륜당과 더불어 과거시험을 보기 위한 장소로서 설치되었으며, 육일각은 활과 화살 등을 보관하던 곳으로서 육예(六藝) 가운데 한 과목인 사(射) 즉 활쏘기를 하면서 학생들로 하여금 국방의 중요성을 잊지 않게 하는 동시에 몸과 마음을 수양할 수 있도록 권장하는 뜻에서 설치되었다.
 
 [ 성균관의 주요 교육 내용 ]

성균관에서 공부하던 학생들은 유생(儒生)으로 불렸으며, 이들의 생활은 엄격하고도 질서있는 것이었다. 유생들의 하루 일과는 매일 새벽에 일어나 경전을 읽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였으며, 특히 유교를 공부하는 학생으로서의 명예를 소중히 여겼다.
책을 읽을 때에는 그 뜻을 명확하게 이해하여 그 속에 들어있는 깊은 뜻을 깨달을 때까지 끊임없이 반복하였다. 그들은 일상생활 속에서도 윤리도덕을 철저히 지키며 교수에게는 깍듯이 예의를 갖추는 등 국가의 장래를 맡아 나갈 인재로서 소홀함이 없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였다.

성균관에서 유생들이 수업을 받았던 주요 과목은 사서와 오경이었다. 처음 입학한 학생에 대해서는 「대학」부터 배워 단계적으로 다음 과목으로 넘어갈 수 있도록 하였으며, 아홉 과목을 모두 마치는 데 필요한 기본 독서 기간은 약 3년 반이었다.
유생들에게는 매월 말에 그 동안 공부한 것에 대한 성과를 시험보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국가에까지 보고되는 등 매우 엄격하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일제 강점기의 탄압 ]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국립대학으로서 유교 뿐만 아니라 국가의 장래를 이끌어갈 인재의 양성, 풍속의 교화 등으로 유교 이념에 입각한 이상사회 건설에 굳건한 토대가 되었던 성균관과 향교는 일제의 침략으로 엄청난 탄압을 받게 되었다. 1910년 무력으로 한국을 합병한 일제는 우리의 국가이념을 부정하고 민족성을 말살하기 위하여 합방 직후 성균관을 폐지하고 교육기관으로서의 자격을 박탈하였던 것이다.

성균관을 폐지한 일제는 민족 교육이 아닌 식민지 교육을 위하여 경성제국대학을 국립대학으로 설립하였다. 이같은 강압정책에 따라 성균관은 국립대학으로서의 면모를 잃고 경전을 교육하는 사설 전문학원으로 전락하고 말았으며, 이에 따라 유교 역시 크게 침체되었다. 그러나 해방과 더불어 그 동안의 침체에서 벗어나 성균관을 재건하고 유교를 다시 부흥시키기 위한 움직임이 전국 유림들을 중심으로 활발히 전개되기 시작하였다.
 
성균관이 지니고 있었던 교육기관으로서의 기능을 되살리기 위하여 해방 직후인 1946년에 유림들의 뜻을 모아 성균관대학이 설립되었다. 비록 국립대학으로서의 위치를 되찾지는 못하였으나 유교이념에 의한 대학이 다시 우리 나라에 세워질 수 있게 된 것은 매우 뜻깊은 일이 아닐 수 없다.

성균관대학의 설립과 더불어 성균관 안에 유림조직으로서 유도회총본부가 설치되고, 각 지방에도 유도회 지부가 결성되어 향교를 중심으로 새로운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일제에 의해 저질러졌던 민족이념으로서의 유교에 대한 철저한 탄압의 상처를 빠른 시간 안에 완전히 회복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뒤따랐던 것 또한 사실이다.

하지만 전국 유림들의 유교 진흥에 대한 흔들리지 않는 신념과 꾸준한 노력 속에 청년유도회와 여성유도회가 잇따라 결성되고 자체 언론기구로서 유교신문사가 건립되는 등 체제가 크게 정비되었다. 또한 최근 들어 성균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어린이 예절학교’를 비롯, 선비학당과 한림원 및 전국 각 향교에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청소년인성교육 현장교실’ 등을 개설하는 등 사회교화 및 교육기관으로서의 본래의 기능과 모습을 점차 되찾아 가고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한 사회의 인식도 매우 높아져 많은 관심과 참여가 뒤따르고 있음은 유교의 부흥과 민족문화의 확립을 위해 대단히 다행스런 일이라 하겠다.
 
 
 

□ 성균관의 역사(歷史)

  1. 우리 나라 국립대학의 시초는 고구려 소수림왕 2년(372)에 태학(太學)이 설립된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 다음으로 신라 신문왕 2년(682) 6월에 국학(國學)을 설립하고, 고려 태조 13년(930)에는 왕이 서경(西京)에 행차하여 학교를 설치하고 육부(六部)의 생도들을 가르쳤다.

  2. 이후 성종 11년(992) 12월에 국자감(國子監)을 설립하고, 충렬왕 30년(1304) 6월에 국자감(國子監)을 성균관(成均館)으로 개명(改名)하였으며, 공민왕(恭愍王) 16년(1367) 12월에는 숭문관(崇文館) 옛 터에 성균관을 창건하였다. 이렇게 보면, 우리 나라 국립대학교육의 역사는 약 1,600여 년이 넘는다.

  3. 고려 말기까지 개성에 있던 성균관이 현재의 서울시 종로구 명륜동(明倫洞)[옛 이름은 숭교방(崇敎坊)]에 자리잡게 된 것은 조선왕조가 건국되고 수도를 한양으로 천도한 이후 태조 7년(1398)이었으며, 성균관 설립과 동시에 전국에는 360개 향교가 설치되었다. 이로부터 중앙과 지방의 교육체계가 확립되었으며, 조선왕조 전 시대를 걸쳐 유교교육의 구심점으로서 그 역할을 담당하였다.

  4. 한편, 성균관은 정종 2년(1400)에 소실(燒失)되었으나, 태종 7년(1407)에 중건(重建)하고 묘정비(廟庭碑)를 세웠다. 또한,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壬辰倭亂)으로 소실된 것을 선조 34년(1601)에 대성전 및 명륜당과 부속건물을 연차적으로 중건(重建)·보수(補修)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5. 그 후 몇 차례의 중·보수를 거친 후 1910년 일제의 강압에 의해 국립대학과 민족교육의 맥이 끊어졌으며, 명칭도 경학원(經學院)으로 바뀌었다. 이때 일제는 1924년 식민지 교육을 위하여 경성제국대학(京城帝國大學)을 설립하였다. 이후 성균관은 명륜학원(明倫學院), 명륜전문학교(明倫專門學校)로 불리다가 1945년 광복과 더불어 성균관으로 환원되고, 1946년 9월 25일 유림의 성금으로 성균관대학교가 설립되어 민족교육의 맥을 계승하게 되었다.

  6. 성균관은 태학(太學)으로도 불리었으며, 중국 주(周)나라 때 제후의 도읍에 설치한 학교기관의 명칭인 반궁(泮宮)으로 지칭되기도 하였다. 성균관 일원을 문묘(文廟)라고 하는데, 주요 건물로는 대성전(大成殿)과 명륜당(明倫堂)이 있고, 부속 건물로 동무(東)와 서무(西), 동재(東齋)와 서재(西齋), 존경각(尊經閣), 육일각(六一閣) 등이 있다.

  7. 성균관에는 최고 책임자로 정3품직인 대사성(大司成)을 두었으며, 그 아래에 좨주(祭酒)·악정(樂正)·직강(直講)·박사(博士)·학정(學正)·학록(學錄)·학유(學諭) 등의 관직을 두었다. 조선시대의 교육제도는 과거제도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초시인 생원시(生員試)와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한 유생(儒生)에게 우선적으로 성균관에 입학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성균관 유생의 정원은 개국 초에는 150명이었으나, 세종 11년(1429)에 200명으로 정착되었다.

  8.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한 유생을 상재생(上齋生)이라 하였고, 소정의 선발 시험인 승보(升補)나 음서(蔭敍)에 의해 입학한 유생들을 하재생(下齋生)이라 하였다. 성균관 유생은 기숙사인 동재와 서재에서 생활하였으며, 출석 점수인 원점(圓點)을 300점 이상 취득해야만이 대과(大科) 초시(初試)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주었다. 유생의 생활은 엄격한 규칙에 의해서 이루어졌으며, 자치 활동기구인 재회(齋會)가 있었다.

  9. 유생은 성균관에서 기숙사생활을 하는 동안 국가로부터 학전(學田)과 외거노비(外居奴婢) 등의 편의를 제공받았으며, 교육 경비로 쓰이는 전곡(錢穀)의 출납은 장학기구인 양현고(養賢庫)에서 담당하였다. 유생은 또한 당대의 학문·정치현실에도 매우 민감하여 문묘종사(文廟從祀)나 정부의 불교숭상 움직임에 대해 집단 상소를 올렸으며, 그들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권당(捲堂 : 식사거부) 또는 공관(空館 : 성균관 퇴거)이라는 실력행사를 하기도 하였다.

  10. 현재 성균관은 성균관대학교와 분리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전국 234개의 향교와 더불어 유교사상과 전통문화 계승·발전의 산실로서 그 맥을 잇고 있다. 특히, 매년 전국적으로 실시되는 <청소년 인성교육>을 비롯한 각종 사회봉사 활동, 예절상담을 통한 생활의례 보급, 전통문화 계승을 위한 출판사업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 성균관의 건축물

 

 

 

1. 연혁

태조는 한양 천도 후 태조 4년(1395)에 문묘의 창건을 명하였으며, 태조 6년에 착공하여 이듬해인 태조 7년(1398)에 대성전이 완성되었다. 정종 2년(1402)에 화재로 소실되어 태종 7년(1407)에 재건되었으나,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어 선조 35년(1602)에 중건(重建)하였다.

 

2. 형태와 양식

대성전은 남향으로 모두 20간(間)이며, 남북으로는 4개, 동서로는 5개의 기둥이 있으며, 앞에는 당(堂)이 있고, 뒤에는 실(室)이 있다.

대성전은 높은 장대석기단을 쌓고 주좌(柱座)를 쇠시리한 다듬은 돌 초석을 놓고 두리기둥을 세워 공포(拱包)를 짠 다포(多包)양식이다. 정면 5간(間) 측면 4간(間)의 겹처마, 팔작기와지붕의 단층구조이다.

공포는 외2출목 내2출목으로 초제공, 이제공은 모두 강직한 앙서로 되어 있고, 그 위에 놓이는 첨차(첨遮)는 삼분두형으로 되어 있다.

내부의 출첨들은 초제공과 이제공의 끝은 교두형이지만 삼제공 끝은 역시 삼분두형을 이루고 있는 조선 중기의 전형적인 다포식(多包式) 건축이다.

현재 대성전(大成殿)의 현판(懸板)은 석봉(石峯) 한호(韓濩 : 1543∼1605)의 친필(親筆)이다.

 

3. 기능

대성전은 문묘(文廟)의 정전(正殿)으로서 공부자(孔夫子)의 위패를 모시는 전각이다. 공부자의 위패를 중앙 정위(正位)로 하여 4성(聖)과 공부자의 제자 10철(哲), 송조육현(宋朝六賢), 우리나라 18현(賢)의 위패가 동서로 위차봉안(位次奉安)되어 있으며, 대성전(大成殿)과 동무(東무)·서무(西무)는 공자를 비롯한 유가 성현들의 위패(位牌)를 모셔놓고 1년에 2회 정기적으로 석전(釋奠)을 지낸다. 이 건물과 공간을 통칭해 문묘(文廟)라 한다.

현재, 전국의 모든 향교(鄕校)에도 문묘를 갖추고 있으며, 석전을 모시고 있다. 그 가운데 성균관의 문묘는 국가의 대표 문묘로서 건축양식과 위패 등, 규모와 격식이 가장 웅장하다.

대성전에서는 매월 음력 초하루와 보름 오전 10시에 분향례(焚香禮)을 하고 있으며, 매년 봄과 가을 두 차례[음력 2월·8월]에 걸쳐 대규모의 제례(祭禮)를 거행하는데, 이것을 석전(釋奠)이라고 한다. 석전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한국에만 원형이 보존되어 있으며, 현재 <중요 무형문화재 85호>로 지정되어 있다.

 

4. 변천 및 현황

문묘에 모신 위패는 성균관 재생들의 건의에 따라 시대별로 변해왔다. 조선후기에 이르러 문묘에 모신 위패를 보면 다음과 같다. 대성전에 공자와 안자(顔子)·증자(曾子)·자사자(子思子)·맹자(孟子) 등의 4성(聖)과 10대(大) 제자, 중국 송나라의 대표적 성리학자 6명 등 21위가 모셔졌으며, 동·서무에 우리나라의 18위와 중국의 유학자 94위를 합해서 모두 112위를 모셨다.

 

문묘 전체로 보면 133위가 되었다. 그러나 일제의 강점기가 끝나고, 1946년 전국 유림의 대표로서 성균관을 재건하고 성균관대학교를 설립한 심산(心山) 김창숙(金昌淑)선생은 1949년 문묘 배향(配享) 성현에 대한 대대적인 조정작업을 추진하였다.

그리하여 동·서무에 있던 우리나라의 18현(賢)의 위패는 모두 대성전으로 모시고, 중국의 위패는 모두 태운 뒤 땅에 묻었다. 이리하여 현재 성균관 문묘에는 본래 대성전에 있던 21位와 우리나라의 18位를 포함해서 모두 39位가 봉안(奉安)되어 있다.

성균관은 옛 성현(聖賢)들에 대한 배향(配享)공간과 교육공간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데, 대성전은 배향공간에 속한다. 대성전은 공부자를 비롯하여 공부자의 제자, 후대의 성현들, 그리고 우리나라의 훌륭한 학자들의 위패를 모셔놓은 곳으로 성균관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대성전은 성균관을 비롯하여 전국 234개 향교(鄕校)에 모두 설치되어 있으나, 성균관 내의 대성전이 현재 남아있는 것으로는 가장 완비되고 규모가 가장 큰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 연혁

태조 7년(1398)에 대성전과 함께 건립되었고,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선조 39년(1606)에 중건(重建)하였다.

 

2. 형태와 양식

대성전 뒤에 있는 강당으로서 중앙에 강당, 좌우에 협실(夾室)을 두었는데, 강당은 정면 3간(間) 측면 3간(間)이고, 좌우 협실은 각각 정면 3간반(間半) 측면 2간(間)이다.

장대석 쌓기의 기단을 쌓고 기단 전면에 월대(月臺)를 돌출시키고, 월대 앞에 석계(石階)를 놓았다. 기단 위에 다듬은 돌초석을 놓고 두리기둥을 세워 이익공(二翼工)으로 결구(結構)하였다. 가구는 오량(五樑)으로 전후 평주에 대들보를 걸고 동자주 없이 운두가 높은 중도리를 양 측벽에 선 2개의 고주와 대량 위에 걸치고, 종보를 이들 앞 뒤 중도리에 걸었다. 종보에는 파련대공을 놓아 종도리를 받치고 있다. 겹처마, 맞배지붕을 이루고 있으며, 내부 바닥은 모두 우물마루이고 천장은 연등천장으로 되어 있다.

명륜당 양측 동익헌(東翼軒)과 서익헌(西翼軒) 두 협실은 명륜당 벽으로부터 정면 2간반(間半)과 측면 2간(間)은 대청이고, 나머지 정면 1간(間) 측면 2간(間)은 온돌방이다. 이들 두 협실은 장대석 쌓기의 기단 위에 다듬은돌 초석을 놓고 두리기둥을 세워 초익공으로 결구하였다. 지붕은 겹처마로 명륜당 쪽은 맞배지붕이나 두 끝단에는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한편, 지방의 향교에는 대부분 명륜당이 대성전 앞에 위치하고 있으나, 성균관은 명륜당이 대성전의 뒤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것을 전묘후학(前廟後學)이라고 한다. 현재, 전묘후학의 형태를 갖추고 있는 대표적인 향교는 성균관 이외에 전주향교·나주향교·경주향교 등이다.

현재 명륜당의 현판은 앞·뒤로 두 개가 있는데, 앞에 있는 현판은 1606년 명(明)나라 사신(使臣)으로 온 학사(學士) 주지번(朱之蕃)의 글씨이고, 뒤 벽위에 있는 것은 주자(朱子)의 글씨를 집자(集字)한 것이다.

 

3. 기능

명륜당은 성균관의 교육기능을 수행하던 강학(講學) 장소로서 대성전과 마찬가지로 성균관을 비롯하여 전국 향교에 설치되어 있다. 이곳은 진사(進士) 혹은 생원(生員) 중에서 200명을 한도로 엄정하게 선발하여 오늘날의 기숙사에 해당하는 동·서재(東·西齋)에 기숙하게 하고, 유교 경전을 중심으로 선비정신과 인격을 연마하여 국가발전을 위한 지도자의 덕목들을 익히는 장소로 사용되었다.

당시에는 매일 새벽에 북이 울리면 동·서재에 기숙하는 학생들은 명륜당 아래에 늘어서서 한 번 읍(揖)한 뒤 당(堂)에 올라 유교경전을 중심으로 강학을 하였다. 이 밖에도 명륜당은 유생(儒生)들의 시독(試讀)과 소과(小科)·대과(大科)를 행하는 과거장(科擧場)으로도 활용되었다.

한편, 명륜당 뜰에는 천연기념물 59호로 지정된 유교의 상징목(象徵木)인 은행나무가 있어 운치를 더해주고 있다.

 

4. 변천 및 현황

명륜당은 태조 7년(1398)에 건립되었으나, 선조 25년(1592)에 왜란(倭亂)으로 소실되었다가 선조 39년(1606)에 중건(重建)하였다.

한편 영조(英祖) 36년(1760)에 임금이 알성(謁聖)하려고 할 때, 호조(戶曹)가 명륜당이 기울고 퇴락하였음을 보고하여 선혜청사(宣惠廳舍)를 건축하고 남은 자재로 보수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 연혁

현종(顯宗) 5년(1664)에 민정중(閔鼎重)의 건의로 건립되었으며, 남은 재목으로는 서쪽과 남쪽의 일양재(一兩齋)와 벽입재(闢入齋)를 세웠다. 6·25사변 때 소실되었다가 1988년에 중건되었다.

한편, 비천당은 과거시험의 응시자가 많으면 제1 과장(科場)인 명륜당과 함께 제2 과장(科場)으로서 활용되기도 하였는데, 명륜전문학교 설립 후에는 주로 교실과 도서실로 사용되어 오다가 성균관대학이 설립된 이후에 교실 혹은 도서실 등으로 사용되어왔다.

비천당은 니원(尼院 : 즉, 僧房)을 헐어 낸 목재로 건립하였으며, 주자(朱子)가 말한 "큰 도를 밝힌다.[丕闡大猷]"라는 말에서 그 명칭이 정해지게 되었다.

 

                                          

 

-. 연혁

석전 때에 희생(犧牲)을 준비하던 곳으로서 성종 3년(1472)에 대사성(大司成) 이극기(李克基) 등의 요청에 의하여 대성전 서쪽에 동향, 6간(間) 규모로 건립되었다.

 

                                          

 

-. 연혁

문묘(文廟)를 관리하던 남자 종(從)들이 거처하던 곳으로서 대성전의 서쪽 담장 밖에 남향, 4간(間)규모로 건립되었다. 태조 7년(1398)에 대성전과 동시에 건립되었으나, 선조 25년(1592)에 왜란(倭亂)으로 소실되었다가 선조 34년(1601)에 중건되었다.

 

                                          

 

-. 연혁

태조 7년(1398)에 대성전과 동시에 건립되었으며, 춘추석전(春秋釋奠) 및 분향일(焚香日)에 사용되는 제기를 보관하던 장소로서 대성전 서쪽에 북향, 6간(間)규모로 건립되었다.

 

                                          

 

-. 연혁

태조 7년(1398)에 대성전과 동시에 지어진 문으로서 대성전의 남쪽입구에 남향으로 지은 3간(間)의 문이다. 돌아가신 성현들의 넋이 출입하는 세 개의 문이라고 하여 신삼문이라고 한다.

 

                                          

 

-. 연혁

대성전 앞 뜰에 있는 비각(碑閣)으로서 태종 9년(1409)에 문묘를 복건(復建)한 뒤 변계량(卞季良)에게 문묘의 연혁을 기록하게 하고, 각석(刻石)하여 세웠다.

비각은 중종 6년(1511)에 서향 1간(間)으로 건립되었으나,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 그러나 인조 4년(1626)에 변계량이 썼던 문장을 다시 각석하고, 이정구(李廷龜)에게 명(命)하여 비음(碑陰)을 기록하게 하고, 이를 이홍주(李弘胄)가 쓰고 김상용(金尙容)이 전서(篆書)하여 비각을 복원하였다.

 

                                          

 

-. 연혁

영조 18년(1742)에 당쟁의 폐단을 막기 위하여 영조친필[어필(御筆)]로 성균관 유생들에게 내린 글을 새긴 비(碑)로서 일명 어서비각(御書碑閣)이라고도 하며, 성균관 입구에 북향 1간(間) 규모로 건립되었다. 비문의 내용은 "두루 화합하고 편당을 짓지 않는 것은 군자의 공평한 마음(公心)이고, 편당만 짓고 두루 화합하지 못하는 것은 소인의 사사로운 마음(私意)이다.(周而不比乃君子之公心 比而不周寔小人之私意)"라고 되어 있다.

 

                                          

 

-. 연혁

태조의 한양 천도 이후 태조 7년(1398)에 대성전과 동시에 창건되었으나,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01년에 중건(重建)되었다.

대성전의 좌·우측에 있으며, 동무는 서향, 서무는 동향이다. 각각 11간(間)으로서 맞배지붕 양식이다.
동·서무에는 본래 공문제자(孔門弟子) 69위(位)와 중국의 한(漢)·당(唐)·송(宋)·원(元)의 제현(諸賢) 및 우리나라의 18현(賢) 등 112위(位)를 동·서로 봉안하였다.

그러나 1949년 전국 유림대회(儒林大會)의 결정으로 당시 성균관과 각 향교의 동·서무에 봉안되어 있던 우리나라 18현의 위패는 대성전에 종향(從享)하고, 그 밖의 중국 94현의 위패는 매안(埋安 : 위패를 태워서 땅에 묻음)하여 현재 동·서무는 비어 있다.

 

                                          


 

 

-. 연혁

군왕이 석전(釋奠) 등에 참석할 때 출입하는 문으로서 동무 북쪽에 동향으로 지은 3간(間)의 문이다. 평상시에는 사용하지 않고, 군왕이 행차할 때만 쓴다고 해서 일명 어삼문(御三門)이라고도 한다.

 

                                          

 

1. 연혁

대성전 및 명륜당과 함께 태조 7년(1398)에 건립되었으나, 이후 선조 25년(1592)에 왜란(倭亂)으로 소실되었다가 선조 39년(1606)에 중건되었다.

 

2. 형태와 양식

동·서재는 명륜당 동서로 있는 장방형의 건물로서 2간(間)이 한 방으로 되어 있는데, 동·서재를 합하면 총 28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재의 첫째 방은 약방이고, 그 다음은 우제일방·장의방·진사칸·하일방·하종방의 순서로 되어 있고, 끝 방을 하재라고 하였다. 그리고 서재의 첫째방은 서일방이고, 그 이하는 동재의 순서와 같다.

3. 기능

유생들은 매일 새벽에 북소리가 한 번 나면 일어나고, 날이 밝기 시작하여 북소리가 두 번 나면 의관을 갖추고 단정하게 앉아서 책을 읽으며, 북소리가 세 번 나면 식당에서 동서로 마주앉아 식사를 했다. 한편, 유생들이 식당에서 함께 식사하는 점수를 원점(圓點)이라 하는데, 아침·저녁을 합하여 1점으로 계산하였으며, 이것은 일종의 출석 점수로서 300점을 취득하여야만 과거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후대로 내려오면서 잘 시행되지는 않았다.

유생들의 글씨는 해서(楷書)를 원칙으로 하고, 성현을 숭상하지 않는 언동을 하거나 조정을 비방하면 처벌 대상이 되었다. 상론(商論)·재뢰(財賂)·주색(酒色) 등을 말하는 것과, 바둑이나 장기 두는 것도 금지되었으며, 오륜(五倫)을 범하여 이름을 더럽혀서도 안되며, 윗사람을 능욕하거나 사치하여도 안되고 교수에게 예의를 갖추지 않아도 처벌을 받았다.

상재생(上齋生 : 생원이나 진사로서 성균관에 입학한 사람)은 하재를 방문하지 못하며, 하재생(下齋生 : 사학생도(四學生徒)와 같이 유학(幼學)으로서 성균관에 입학한 사람)에게 과실이 있으면, 식손(食損 : 식사에 참여하지 못하게 함.)과 출재(黜齋 : 재에서 퇴거시키는 것으로 퇴학과 같음.)가 있어서 규율은 엄격한 편이었다.

유생들은 매월 초 1일 관대(冠帶)를 갖추고 문묘에 나아가 4배례(拜禮)를 행하였으며, 자치기구인 재회(齋會)를 통해서 대내·외적인 문제들을 해결하였다. 특히, 조정의 부당한 처사나 정책에 대해서는 유소(儒疏)나 권당(捲堂) 등으로 맞섰다. 유소는 왕에게 직접 상소를 올려 문제해결을 모색하는 방법이고, 이것으로 주장이 관철되지 않으면 일종의 동맹 휴학이라고 할 수 있는 권당으로 맞섰다. 조선시대 권당의 횟수는 중종때 1회, 명종 때 4회, 광해군 때 2회, 인조때 2회, 효종 때 1회, 현종 때 2회, 숙종 때 16회, 경종 때 2회, 영조 때 18회, 정조 때 16회, 순조 때 14회, 헌종 때 4회, 철종 때 5회가 있었다.
한편 유생들의 교과목은 일정한 독서기간을 정하고 있는데, 『대학』은 1개월, 『중용』은 2개월, 『논어』·『맹자』는 각 4개월, 『시경』·『서경』·『춘추』는 각 6개월, 『주역』·『예기』는 각 7개월로 하였다. 한편 성균관에 기숙하는 유생들의 제반 경비는 양현고(養賢庫) 소속 토지 1,000결의 지세(地稅)로 충당하였는데, 지세는 흉년이 들면 반감 또는 전감하는 때가 많았다.

4. 변천 및 현황

성균관은 고종 32년(1895)에 성균관 관제(管制) 칙령 제136호 반포로 인하여 문묘제사를 담당하는 기관으로 축소되고, 교육은 경학과(經學科)에서 전담하게 되었다. 따라서 고종은 교육기회의 균등을 통해 반상(班常)의 구별 없이 인재를 육성해야 한다는 시대적 요구로 인하여 ‘문명(文明)한 진보(進步)에 주의(注意)함을 요지(要旨)로 함.’을 반포하였다. 

1910년 한·일 합병 이후 일제는 성균관과 향교의 재산을 분리하고 교육을 일체 중지시켜 국립대학과 민족교육의 맥을 끊었고, 명칭도 경학원(經學院)으로 바꾸었으며, 그 대신 식민지 교육을 위하여 경성제국대학(京城帝國大學)을 1924년에 설립하였다. 당시 전국의 유림(儒林)이 주권을 지키려는 운동의 일환으로 의병(義兵)과 파리장서사건(巴里長書事件) 등을 일으키고, 전국적으로 통문(通文)을 돌려 성균관의 교육 기관으로서의 기능 회복을 선도하자 일제는 그 회유책으로 1930년 명륜학원(明倫學院)의 설립을 허가하였다. 1939년에는 명륜전문학원으로, 1942년 명륜전문학교로 명칭이 바뀌었지만, 안타깝게도 진실한 유학교육과 문화계승 및 창달을 이루지 못하고 일본의 변질된 황도유학(皇道儒學)을 강요받게 되었다. 이에 따라, 교과과정에 있어서도 국민도덕·일어·일본사·교련 등을 넣어서 일제에 영합하는 교육으로 변모하게 되었으며, 그것마저 1943년에 폐교되고 청년연성소(靑年鍊成所)로 바뀌게 됨으로써 정통유학의 맥은 차츰 그 명맥을 유지하기조차 힘들게 되었다.

한편, 일제에 의해 말살되었던 유일한 국립대학의 전통을 되살리는 운동이 8·15광복과 더불어 일어났는데, 1945년에는 명륜전문학교로 문을 열었다가 미군정 시대에 명칭을 성균관으로 변경하였고, 1946년 9월 25일에는 드디어 성균관대학이 정식으로 설립되었으며, 1953년에는 종합대학인 성균관대학교로 발전하게 되었다. 초대 학장 및 총장에는 정통유림으로서 일제에 대항하였고, 해방 후에는 반독재 투쟁에 앞장섰던 심산(心山) 김창숙(金昌淑 : 1879∼1962) 선생이 취임하였다.

현재는 1960년부터 성균관대학교 유학·동양학부 학생 중에서 우수한 학생들을 장학생으로 선발하여 동·서재에 기숙하게 하여 양현재생으로서 유학(儒學)의 맥을 계승하게 하고 있다.

 

                                          

 

-. 연혁

태조 7년(1398)에 명륜당과 함께 건립되었으며, 동·서재에 기숙하던 유생들의 전용식당으로서 명륜당 동쪽에 남향, 33간(間) 규모(주방(廚房) 10간, 기명고(器皿庫) 1간, 창고 1간, 문 1간 포함.)로 이루어져 있다.

식사 때에는 배번 북을 쳐서 식사시간을 알렸으며[격고고식(擊鼓告食)], 유생들은 의관을 갖추고[구건복회합(具巾服會合)] 서로 인사를 나눈 뒤[상읍이후(相揖以後)] 이곳에서 식사를 하였다.

 

                                          


 

 

-. 연혁

명륜당 북쪽에 있는 존경각은 성종 6년(1475)에 한명회(韓明澮)의 건의로 건립되었으며, 성종은 1만 여권의 책을 하사하였다. 이후 중종 9년(1514)에 소실되어 복원한 뒤로 왜란(倭亂) 때 다시 소실된 것을 인조 4년(1626)에 중건하고, 영조 48년(1772)에 개수(改修)하였다.

기본 장서는 사서오경·제자백가 등 각종 역사서와 성리학 중심의 유가(儒家)서적 위주였으며, 불교·도가와 기타 잡류의 도서와 기술 서적은 소장하지 않았다. 장서의 분량은 존경각 건립 초기에는 수만 권에 달했으나, 잇단 전란(戰亂)과 재정의 부족 등으로 인해 점차 줄어들었다.

고종 32년(1895)에 성균관 학제변경으로 경학과가 설치됨에 따라 존경각은 근대 교육기관의 도서관으로 계승되었으나, 경성제국대학(현 서울대학교)의 설립과 동시에 대부분의 도서가 강제로 옮겨지고, 나머지만이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으로 옮겨지게 되었다.

존경각은 우리나라 대학 도서관의 효시(嚆矢)로서 조선시대 말기까지 약 400여년 동안 유일한 대학도서관으로서의 기능을 담당했다.

 

                                          

 

-. 연혁

영조 19년(1743)에 명륜당 북쪽에 건립되었으며, 성균관 내에 있는 활과 화살, 대사례(大射禮)에 사용하는 각종기구를 보관하였다.

고대 유교에서는 문(文)과 무(武)를 동시에 숭상하였기 때문에 육례(六藝 : (예)禮·(악)樂·(사)射·(어)御·(서)書·(수)數) 중에 하나인 활쏘기[射]를 선비들의 기본소양으로 생각했다. 따라서 육일각이란 명칭도 육례 중에 하나라는 뜻으로 정해진 것이다. 명륜당 뒤에 육일각을 둔 것은 태학생들에게 글공부와 함께 체력단련의 중요성을 일깨워주기 위한 것으로, 태학생들에게 활쏘기를 권장하기 위한 수단이었다.

 

                                          

 

 

-. 연혁

명륜당 동쪽에 남향, 8간(間)으로 이루어진 건물로서, 태조 7년(1398)에 명륜당과 함께 건립되었으나 이후 선조 25년(1592)에 소실되었다가 인조 4년(1626)에 중건되었다.

정록청이란, 성균관 관리의 관직인 학정(學正)과 학록(學錄)의 끝 글자(字)를 따서 지은 이름으로서 성균관 관원의 사무실이었다. 정록청 설립 초기에는 각종 과거 응시자들의 예비 심사를 하기도 하고, 시정(時政)을 뽑아 적어서 보관하는 등 중대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임진왜란 이후에는 이러한 기능은 폐지되고 관내의 서무만을 전담하는 기구로 축소되었다.

 

                                          

 

 

-. 연혁

문묘 제사 때에 제관(祭官)들이 재계(齋戒)하고 향축(香祝)을 보관하던 곳으로서 성현(成俔)의 건의로 성종 4년(1473)에 명륜당 북동쪽에 남향, 10간(間) 규모로 건립되었다. 이후 왜란(倭亂)으로 소실되었다가 효종 4년(1653)에 중건되었다.

중앙에는 제사에 쓰이는 향축(香祝)을 보관하고 좌우에는 헌관방(獻官房)이 있다. 한편, 향관청의 좌우에는 감찰(監察) 집사(執事)들이 사용하던 동·서향 6간(間)으로 건조된 동월랑(東月廊)과 서월랑(西月廊)이 있다.

 

                                          

 

 

-. 연혁

석전(釋奠)·알성시 시학(視學) 등이 있을 때에는 군왕이 친히 성균관에 방문하였는데, 이 때 군왕이 타고 온 가마[輦]를 놓아두던 곳이다.

 

                                          

 

-. 연혁

명륜당 앞 정원에 있는 두 그루의 은행나무는 공부자가 제자들을 가르쳤던 행단(杏亶)을 상징하는 나무로서, 중종 14년(1519)에 대사성(大司成) 윤탁(尹倬)이 심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찾아가는 길

 

- 성균관 홈에서 퍼옴 -

 

 서울성곽 서울城郭
지정번호
:
사적 제10호
지정연월일
:
1963년 1월 21일
  시 대
:
조선 태조 5년(1396)
  규모·양식
:
467,922.6㎡(둘레 약 18km)
  재 료
:
석조
  소 유 자
:
국유
  소 재 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누상동 산 1-3 외

 

서울성곽은 서울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조선시대의 도성(都城)이다.

태조는 한양 천도 후 일차적으로 궁궐과 종묘를 먼저 지은 다음 태조 4년(1395) 9월 도성축조도감(都城築造都監)을 설치하고 정도전(鄭道傳)에게 명하여 성터를 살피게 하였다.

정도전은 백악(白岳)·인왕(仁王)·목멱(木覓)·낙산(駱山)에 올라 실측하여 네 산을 연결하는 5만 9,500척의 성터를 결정하였다.


이듬해 정월부터 전국에 걸쳐 무려 11만 8,000여명이 동원되어 600척을 한 단위씩으로, 축성구역을 97지구로 나누어 정하였다.

구역마다 천자문의 글자를 표시하여 백악 동쪽에서부터 천(天)자로 시작하여 낙산·남산·인왕산을 거쳐 백악 서쪽에 이르러 조(弔)자까지 구획하여 공사를 하였다.

공사는 구역마다 책임자를 두어 책임진 부분에 해당하는 성벽에 관직과 축성한 고을의 이름을 새겨넣어 책임을 분명하게 하도록 하였는데, 지금도 그 흔적이 남아 있다.

 

높고 험한 산에는 15척 높이의 돌로 쌓게 하였는데, 돌로 쌓은 성벽의 길이는 1만 9,200척이었다.

평지는 아래 부분이 25척, 윗 부분이 18척 되는 너비로 높이 25척의 규모로 흙을 쌓았는데, 그 성벽의 길이는 4만 3,000척이었다.

동대문 부근 청계천에 있는 수구(水口)에는 구름다리를 쌓고 그 좌우에는 돌로 성을 축조하였다. 홍예의 높이는 16척, 석성 등을 포함한 길이는 1,050척이었다.


이해 가을에도 8만명의 정부(丁夫)를 동원하여 흙으로 쌓은 부분을 돌로 고치고, 4대문과 4소문을 완성하였다.

4대문이란 동쪽의 흥인문(興仁門), 서쪽의 돈의문(敦義門), 남쪽의 숭례문(崇禮門), 북쪽의 숙청문(肅淸門)을 말하고, 4소문이란 동북의 홍화문(弘化門), 동남의 광희문(光熙門), 서북의 창의문(彰義門), 서남의 소덕문(昭德門)을 가르킨다.

이 가운데 흥인문에만 옹성(甕城)을 쌓았다.

 

대략의 공사는 이렇게 끝났지만 숭례문은 1396년에, 흥인지문의 옹성은 이듬해 4월에야 완성되었다
세종 4년(1422)에 이 성을 대대적으로 수축하여 흙으로 쌓은 부분을 모두 돌로 바꾸면서 더 높게 쌓고, 석재를 약 2 : 1 길이 비율의 장방형으로 많이 다듬어 쌓았다. 또한 여장(女墻)도 쌓았고 수문도 2개 더 만들었다.

 

전국에서 약 32만 2, 000명의 인부가 동원된 이때의 개축으로 도성은 둘레 8만 9,610척, 높이 40척 2촌, 여장 4,664첩(堞), 치성(雉城) 6군데로 되었으며, 곡성(曲城) 1군데, 성랑(城廊) 15군데를 갖추게 되었다. 그 뒤 1426년 수성금화도감(修城禁火都監)을 두고 관리를 전담케 하였다.

 

임진왜란이 끝난 후 광해군 때 수축이 있었고, 숙종(肅宗) 30년(1704) 3월부터 약 5년간에 걸쳐 3군영(三軍營)에 분담하여 둘레 9, 975보, 성첩(城堞) 7, 081개로 만드는 대대적인 수축을 하였다. 또한, 영조 19년(1743)에도 부분적인 보수를 하였고, 성첩도 회분(灰粉)으로 단장하였으며, 고종 6년(1869) 동대문의 개축이 있었다.


이처럼 서울성곽은 태조 때 처음 축조되어 세종 때 개축되고 숙종 때의 수축이 있었는데, 세 차례의 축조는 축조 방법과 돌의 모양이 각기 달라, 세 시기의 성벽이 쉽게 구분된다.

 

즉 태조 때의 것은 1척 정도의 다듬지 않은 네모꼴의 작은 돌을 불규칙하게 쌓았으나 벽면은 수직이다.

세종 때는 2×3척의 긴 네모꼴의 다듬은 돌을 아래 부분은 비교적 큰돌로, 윗 부분은 작은 돌로 쌓았으며, 성벽의 중앙부가 밖으로 약간 튀어나왔으나, 철과 석회를 사용하여 축성 기술이 향상되었음을 보여준다.

숙종 때의 것은 가로와 세로가 2척 규모의 정방형 돌을 정연하게 쌓아 간격도 일정하고 벽면도 수직이다.

 

이러한 축조술의 변화는 조선시대 축성술의 전반적인 변화와 관계된 것으로, 지방의 읍성(邑城)과 산성(山城)에도 적용되어진 모범이었다.

1915년 일제는 근대 도시로의 발전을 방해한다고 하여 성문과 성벽을 무너뜨렸고, 그 결과 현재 삼청동·장충동 일대의 성벽과 숭례문·흥인지문·숙청문ㆍ창의문ㆍ광희문 등이 전체 또는 일부 남게 되었다.

 

광복 후 1963년에 인왕산 방면과 북악산의 돌로 된 성벽을 보수하였으며, 1972년과 1976년에 부분 보수와 개축을 하였다. 이후 혜화문이 복원되고 숙청문ㆍ광희문의 문루가 복원되는 등 계속적인 복원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 서울시청 홈에서 퍼옴 -

▲▼ 서울성곽 개념도

 

 

 

☞ 1부를 시작하며...

 

 ▼ 4호선 혜화역 4번 출입구

 

  ▼ 대명거리를 지나...

 

 

 

 

 ▼ 성균관대앞 4거리에서...

 

 ▼ 성균관대 방향으로...

 

 ▼ 성균관대 정문 앞에서...

 

 ▼ 성균관대 정문

 

 ▼ 정문 좌측에 '탕평비각'이...

 

 

 

 

 ▼ 성균관 문묘는 공사中...

 

 

 

 

 

 ▼ 대성전으로 들어가는 정문인 신삼문 앞에는...

 

 ▼ 저기 마치 사람처럼 자고 있는 개... 

 

 ▼ 보물 141호인 서울 문묘의 대성전

 

 ▼ 은행나무

 

 

 

 ▼ 넓은 아스팔트광장 끝에 있는 저 건물은...

 

 ▼ 비천당(丕闡堂)- 비천당은 대과및 소과 시험때의 시험장이었다고...뒤 현대식 건물은 성균관 600주년 기념관

 

 

 ▼ 성균관 600주년 기념관에서 산자연님

 

 ▼ 금잔디광장

 

 

 

 ▼ 성대 후문으로...

 

 ▼ 마을버스 노선

 

 ▼ 오늘 여정을 함께 하시는 산자연님

 

 ▼ 성대 후문에 있는 마을버스 주차장

 

 

 ▼ 성대 후문

 

 

 ▼ 말바위 쉼터 가는 길

 

 

 ▼ 성북동으로 가는 산복터널

 

 ▼ 서울성곽이 보이고...

 

 

 ▼ 서울성곽

 

 

 

 

  

 

 ▼ 말바위 쉼터로...

 

 

 ▼ 서울성곽을 따라...

 

 

 

 

 

 ▼ 서울성곽 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만는 목재테크

 

 

 ▼ 팔각정과 삼청각

 

 ▼ 서울성곽과 중간에 숙정문이...

 

 ▼ 청운대와 북악산 정상(백악마루)

 

 

 ▼ 말바위 쉼터를 향해...

 

 

 

 ▼ 말바위 쉼터

 

 ▼ 북악산 서울성곽 탐방 출입신청서 작성을 하러...

 

 

 ▼ 신청서를 작성하여...

 

 ▼ 패찰을 받아...

 

 ▼ 목에 걸고...

 

☞ 이것으로 1부를 마치고...

 

 

 

 2008년 3월 09일 (일) 

'서울성곽(북악산 구간)과 도심(청와대,삼청동,가회동,인사동) 봄나들이'를 다녀오다

 

-▥☞ 1부[혜화역-성균관대-문묘-와룡공원-말바위 쉼터정문]를 보시려면 여기를 누르세요.☜▥-


-▥☞ 2부[말바위 쉼터-숙정문-청운대-북악산 정상-창의문 쉼터-창의문]를 보시려면 여기를 누르세요.☜▥-


-▥☞ 3부[창의문-무궁화동산-청와대-삼청동-북촌한옥마을-인사동-쌈지길]를 보시려면 여기를 누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