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곳에 가고싶다☞/♤ 지리산 트레일

[지리산 산마을 이야기] (10) 전남 구례군 구례읍 다무락마을

by 맥가이버 Macgyver 2008. 6. 7.

[지리산 산마을 이야기] (10) 전남 구례군 구례읍 다무락마을

서울신문 | 기사입력 2007.12.13 03:40 | 최종수정 2007.12.13 04:40


[서울신문]섬진강 물줄기에 힘을 싣는 곳은 전남 곡성군 오곡면 압록리인데 그 길을 가만히 거스르면 보성 일림산 용추폭포까지 가 닿는다.126㎞를 내달린 보성강은 '섬진강 제1지류'의 의무를 다한 채 압록에서 삶을 마감하고 보성강이란 이름표를 떼어 놓는다. 풍만한 기운이 2.5㎞쯤 더 흐르다 머뭇머뭇 멈춘 곳이 유곡나루, 다무락마을은 이 유곡나루와 구례 천왕봉(695m) 사이에 오붓하게 앉았다.

행정구역상 전남 구례군에 속한 다무락은 보성강을 안은 곡성 압록, 전라선 철로로 그어진 순천시 황전면과 각각 이웃해 있다. 따라서 다무락마을로 가는 길은 어디서든 섬진강을 따라야 하며, 그 강과 나란히 이어진 기찻길을 마주해야 한다. 곡성과 구례와 순천의 혈기를 한데 모은 유곡나루에 서면 서울과 여수를 오가는 무궁화호의 가쁜 숨소리가 들린다.

이곳에 마을이 만들어진 시기를 정확히 알 순 없지만 달성 서씨와 조씨가 터를 잡아 정착한 후 여러 씨족들이 모여 취락을 형성했다고 알려져 있다. 마을이 만들어졌을 당시 농경지 조성을 위한 개간 도중 '유엽'이라는 동철이 나왔다 하여 '유'자를 따서 '상유' '중유' '하유'로 각 마을을 호칭했다.'다무락'은 담장을 뜻하는 전라도 사투리로 가장 위쪽에 자리한 상유와 그림처럼 어울리는 애칭이다.

마을에는 현재 300여명의 주민들이 거주 중인데 지리산 주변의 여타 마을과는 달리 객지에서 들어온 사람이 거의 없고 비어 있는 집도 찾아보기 힘들다. 다랑이 논에 의지하며 살아오던 마을은 10여 년 전 급격히 변모하기 시작했다. 좁은 논바닥에 배, 감, 차, 밤, 매실 등을 심어 국내에선 단위면적당 과수 재배 면적이 가장 많은 과일천국이 된 것.

섬진강 옆 도로를 기준으로 했을 때 하유는 1㎞ 안쪽, 하유∼중유는 1.9㎞, 중유∼상유가 2.3㎞로 사이좋게 나뉜다. 약 65가구가 모여 사는 중유는 다무락마을 중에서도 과수 재배단지가 집중 밀집된 지역. 계산천을 곁에 둔 터라 물을 구하는 일도 그리 어렵지 않다. 다무락 매실은 광양 청매실과는 품종이 다르다. 그야말로 토종 매실. 크기가 잘아 모양새는 덜하지만 향은 청매실보다 뛰어나다.

봄부터 가을까지 중유를 중심으로 한 다무락마을 주민들은 과실을 돌보는 손길로 바쁘다.3월 매화를 신호탄 삼아 배꽃, 감꽃, 밤꽃이 연이어 꽃봉오리를 터뜨린다. 초여름엔 조막만 한 매실이 제일 먼저 수확의 즐거움을 선사한다. 가을이면 밤과 배와 단감을 따느라 더 바쁜데, 주민들의 정성이 더해진 다무락표 과실은 여느 곳과 견주어도 손색이 없을 만큼 달고 맛나다. 하유(도로변)의 폐교된 계산분교에는 황토 천연염색으로 유명한 ㈜황기모아가 있다. 문의 061-783-5515

글 황소영 월간 마운틴기자(www.emountain.co.kr)
■가는길

전남 구례까지는 서울 서초동 남부터미널과 용산역을 이용한다. 부산 사상시외버스터미널에도 하동을 거쳐 구례까지 가는 버스가 있다. 승용차를 이용할 경우 호남고속도로 곡성IC, 대전~통영간 고속도로 장수IC,88고속도로 지리산IC 등에서 남원으로 간 다음 17번 국도를 타고 압록(예성교를 건너 구례 방향)을 거쳐 다무락마을까지 갈 수 있다. 남해고속도로는 하동IC를 경유한다.

"맛있는 정보! 신선한 뉴스!"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