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유적탐방후기☞/♣ 수원화성

[20080813]세계문화유산 '수원 화성(華城)'을 성곽따라 일주하다 - 2부

by 맥가이버 Macgyver 2008. 8. 13.

 

26816
 

 2008년 8월 13일(수) 세계문화유산 '수원 화성(華城)'을 성곽따라 일주하다.

   

 

수원 화성

 

종 목 사적  제3호
명 칭 화성(華城)
분 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곽
수량/면적 188,048㎡
지 정 일 1963.01.21
소 재 지 경기 수원시  장안구 연무동 190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수원시

 

☞ 일반 설명

 

화성은 서쪽으로는 팔달산을 끼고 동쪽으로는 낮은 구릉의 평지를 따라 쌓은 평산성이다.

 

정조는 그의 아버지 장헌세자에 대한 효심에서 화성으로 수도를 옮길 계획을 세우고, 정조 18년(1794)에 성을 쌓기 시작하여 2년 뒤인 1796년에 완성하였다.

 

실학자인 유형원과 정약용이 성을 설계하고, 거중기 등의 신기재를 이용하여 과학적이고 실용적으로 쌓았다.

 

성벽은 서쪽의 팔달산 정상에서 길게 이어져 내려와 산세를 살려가며 쌓았는데 크게 타원을 그리면서 도시 중심부를 감싸는 형태를 띠고 있다. 성안의 부속시설물로는 화성행궁, 중포사, 내포사, 사직단들이 있었으나, 현재에는 행궁의 일부인 낙남헌만 남아있다. 특히 다른 성곽에서 찾아볼 수 없는 창룡문·장안문·화서문·팔달문의 4대문을 비롯한 각종 방어시설들과 돌과 벽돌을 섞어서 쌓은 점이 화성의 특징이라 하겠다.

 

화성은 쌓은 후 약 200여년이 흐르는 동안 성곽과 시설물이 무너지기도 하고 특히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파손되었는데, 1975년부터 보수, 복원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효심에서 근본이 되어 당파정치 근절과 왕도정치의 실현 그리고 국방의 요새로 활용하기 위해 쌓은 화성은 과학적이고 합리적이며 실용적인 구조를 갖고 있어, 199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 전문 설명

 

원래의 수원은 지금보다 남쪽으로 약 8km 떨어진 화산< 華山 > 아래가 그 중심이었으나, 조선< 朝鮮 > 정조< 正祖 >가 동왕< 同王 > 13년(1789) 그의 생부< 生父 >인 장헌세자< 莊獻世子 >(속칭 사도세자< 思悼世子 >)의 원침< 園寢 >인 현륭원< 顯隆園 >(후에 융릉< 隆陵 >으로 추증함)을 양주< 楊州 > 배봉산< 拜峰山 >에서 현 위치인 수원의 화산으로 옮기면서, 그 아래에 있던 읍치< 邑治 >와 민가< 民家 >들을 수원 팔달산< 八達山 > 아래로 집단 이전시킴으로써 현재의 수원이 형성되었다.

 

정조< 正祖 >는 부왕< 父王 >인 장조< 莊祖 >에 대한 효심에서 화성천도< 華城遷都 >를 계획하고, 정조 18년(1794)에 축성공사< 築城工事 >를 시작, 2년 뒤인 1796년에 준공되었다. 이 화성은 실학자< 實學者 >로 불리는 유형원< 柳馨遠 >과 정약용< 丁若鏞 >의 성설< 城說 >을 설계의 기본 지침으로 삼아, 좌의정 채제공< 蔡濟恭 >이 성역< 城役 >을 주관하고 조심태< 趙心泰 > 등이 전력하여 이룩한 것으로 우리나라 성곽 중에서는 가장 과학적으로 구조물< 構造物 >을 치밀하게 배치하면서도 우아하고 장엄한 면모를 갖춘 것이다. 특히, 성곽의 축조에 석재< 石材 >와 전< 塼 >을 병용한 것 그리고 화살과 창검을 방어하는 구조뿐만이 아니라 총포< 銃砲 >를 방어하는 근대적 성곽 구조를 갖추고 있는 점, 또한 용재< 用材 >를 규격화하여 거중기< 擧重機 > 등의 기계장치를 활용한 점 등에서 우리나라 성곽사상 가장 특기할 일이다.

 

성곽의 전체 길이는 5.52km이며 거기에 동쪽으로 창룡문< 蒼龍門 >, 서쪽으로 화서문 < 華西門 >, 남쪽으로 팔달문 < 八達門 >, 북쪽으로 장안문< 長安門 > 등 4대문을 내고 암문< 暗門 > 4개, 수문< 水門 > 2개, 적대< 敵臺 > 4개, 공심돈< 空心墩 > 3개, 봉돈< 烽墩 > 1개, 포루< 砲樓 > 5개, 장대< 將臺 > 2개, 각루< 角樓 > 4개, 포루< 포樓 > 5개 등의 다양한 구조물을 규모있게 배치하였다. 그리고 팔달산 아래에는 행궁< 行宮 >을 지어 현륭원< 顯隆園 >에 행차하는 임금이 일시 머물 수 있게 제반 시설을 갖추었던 것이다. 그런데 약 200여 년이 지나는 동안 성곽이 퇴락하고 제반 구조물이 무너지기도 하였으며, 특히 6·25동란을 통해 문루< 門樓 >가 파손되었다가 1975년부터 3년간 복원< 復元 >하였다. 이때에는 이미 시가지가 성터 일부를 점하고 있어서 팔달문에서 동서남루까지의 450m 구간과 방대한 행궁은 시가지의 형편상 복원하지 못하였다.

 


수원 화성

 

 

수원화성은 조선왕조 제22대 정조대왕이 선왕인 영조의 둘째왕자로 세자에 책봉되었으나 당쟁에 휘말려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뒤주속에서 생을 마감한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침을 양주 배봉산에서 조선 최대의 명당인 수원의 화산으로 천봉하고 화산부근에 있던 읍치를 수원의 팔달산아래 지금의 위치로 옮기면서 축성되었다.

 

수원화성은 정조의 효심이 축성의 근본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당쟁에 의한 당파정치 근절과 강력한 왕도정치의 실현을 위한 원대한 정치적 포부가 담긴 정치구상의 중심지로 지어진 것이며 수도 남쪽의 국방요새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었다.

 

수원화성은 규장각 문신 정약용이 동서양의 기술서를 참고하여 만든 「성화주략(1793년)」을 지침서로 하여, 재상을 지낸 영중추부사 채제공의 총괄아래 조심태의 지휘로 1794년 1월에 착공에 들어가 1796년 9월에 완공하였다. 축성시에 거중기, 녹로 등 신기재를 특수하게 고안·사용하여 장대한 석재 등을 옮기며 쌓는데 이용하였다.

 

수원화성 축성과 함께 부속시설물로 화성행궁, 중포사, 내포사, 사직단 등 많은 시설물을 건립하였으나 전란으로 소멸되고 현재 화성행궁의 일부인 낙남헌만 남아있다.

 

수원화성은 축조이후 일제 강점기를 지나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성곽의 일부가 파손·손실되었으나 1975~1979년까지 축성직후 발간된 "화성성역의 궤"에 의거하여 대부분 축성 당시 모습대로 보수·복원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성의 둘레는 5,744m, 면적은 130ha로 동쪽지형은 평지를 이루고 서쪽은 팔달산에 걸쳐 있는 평산성의 형태로 성의 시설물은 문루 4, 수문 2, 공심돈 3, 장대 2, 노대 2, 포(鋪)루 5, 포(咆)루 5, 각루 4, 암문 5, 봉돈 1, 적대 4, 치성 9, 은구 2등 총 48개의 시설물로 일곽을 이루고 있으나 이 중 수해와 전란으로 7개 시설물(수문 1, 공심돈 1, 암문 1, 적대 2, 은구 2)이 소멸되고 4개 시설물이 현존하고 있다.

 

수원화성은 축성시의 성곽이 거의 원형대로 보존되어 있을 뿐 아니라, 북수문(화홍문)을 통해 흐르던 수원천이 현재에도 그대로 흐르고 있고, 팔달문과 장안문, 화성행궁과 창룡문을 잇는 가로망이 현재에도 도시 내부 가로망 구성의 주요 골격을 유지하고 있는 등 200년전 성의 골격이 그대로 현존하고 있다.

 

축성의 동기가 군사적 목적보다는 정치·경제적 측면과 부모에 대한 효심으로 성곽자체가 "효"사상이라는 동양의 철학을 담고 있어 문화적 가치외에 정신적, 철학적 가치를 가지는 성으로 이와 관련된 문화재가 잘 보존되어 있다.

 

성곽의 전돌, 건조물의 기와 등이 독특한 방법으로 제작되어 있어 현재의 기술로 이를 재현하기 어려워 보수시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계속 연구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수원화성은 중국, 일본 등지에서 찾아볼 수 없는 평산성의 형태로 군사적 방어기능과 상업적 기능을 함께 보유하고 있으며 시설의 기능이 가장 과학적이고 합리적이며, 실용적인 구조로 되어 있는 동양 성곽의 백미라 할 수 있다.

 

성벽은 외측만 쌓아올리고 내측은 자연지세를 이용해 흙을 돋우어 메우는 외축내탁의 축성술로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성곽을 만들었으며, 또한 수원화성은 철학적 논쟁 대신에 백성의 현실생활속에서 학문의 실천과제를 찾으려고 노력한 실학사상의 영향으로 벽돌과 돌의 교축, 현안·누조의 고안, 거중기의 발명, 목재와 벽돌의 조화를 이룬 축성방법 등은 동양성곽 축성술의 결정체로서 희대의 수작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당대학자들이 충분한 연구와 치밀한 계획에 의해 동서양 축성술을 집약하여 축성하였기 때문에 그 건축사적 의의가 매우 크다.

 

축성 후 1801년에 발간된 「화성성역의궤」에는 축성계획, 제도, 법식뿐 아니라 동원된 인력의 인적사항, 재료의 출처 및 용도, 예산 및 임금계산, 시공기계, 재료가공법, 공사일지 등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성곽축성 등 건축사에 큰 발자취를 남기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기록으로서의 역사적 가치가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수원화성은 사적 제3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으며 소장 문화재로 팔달문(보물 제402호), 화서문(보물 제403호), 장안문, 공심돈 등이 있다. 수원화성은 1997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문화재청 주소

 

 

 
 
☞ 2부를 시작하며...
 

 ▼ 방화수류정(동북각루)

 

 

 

수원 화성(華城) 일주 코스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화홍문(북수문)이...

 

 

 

 

▼ 칠간수문이네...

 

▼ 광교저수지에서 수원천을 따라 내려운 물이...

 

▼ 남수문쪽으로 흐르고...

 

▼ 화홍문과 방화수류정

 

▼ 여기서도 화성열차를 보네...

 

 

 

 

 

 

 

▼ 장안문(북문)

 

▼ 이것은...

 

 

 

 

▼ 하늘이...

 

▼ 장안문

 

 

 

 

수원 화성(華城) 일주 코스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장안문 앞에 쌓은 옹성의 문

 

 

 

 

▼ 비가 내려 잠시 쉬었다가...

 

▼ 장암문에서 비를 피해 잠시 쉬면서 서장대(화성장대)를 보니...

 

▼ 화재사고를 겪고 다시 우뚝!

 

  

▼ 화성 장안문 매표소

 

▼ 장안문 앞 옹성

  

 

▼ 가늘어진 비를 맞으며...

 

▼ 북서포루가...

 

▼ 비둘기들이 마치...

 

▼ 잡상(雜像)처럼...

 

 

 

 

 

 

 

 

▼ 화서문과 서북공심돈

 

 

 

수원 화성(華城) 일주 코스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서북공심돈

 

 

 

 

▼ 화서문

 

 

  

 

 

▼ 화서문과 서북공심돈

 

 

 

 

 

▼ 상사화

 

 

▼ 서북각루에 도착할 무렵 소나기가...

 

 

▼ 비가 점점...

 

▼ 비를 피해 움직이는 거미...

 

▼ 빗발이 거세지기 시작하고...

 

 

 

▼ 빗발이 가늘어져서 다시 일주를 시작하고...

 

 

수원 화성(華城) 일주 코스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저 위에는...

 

 

수원 화성(華城) 일주 코스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화성장대와 서노대

 

▼ 서노대

 

 

 

▼ 화성장대(서장대)

 

 

 

 

 

 

▼ 비에 젖은 까치

 

 

 

 

▼ 서암문

 

 

 

수원 화성(華城) 일주 코스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효원의 종

 

 

 

 

수원 화성(華城) 일주 코스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서포루

 

 

 

▼ 세계문화유산 화성 표지석

 

▼ 서포루에서 화성장대를 보니...

 

▼ 서포루에서 남쪽을 보니 화양루의 지붕이 살짝 보이네...

 

 

 

▼ 서장대 관광안내소와 진달래화장실이...

 

 

 

▼ 내려갈 땐 올라왔던 아스팔트도로가 아닌 성곽을 따라가다가...

 

 

 

▼ 서삼치

 

 

 

 

▼ 비에 흠뻑 젖어 제대로 움직이지도 못하네...

 

 

▼ 서남암문의 문루

 

 

▼ 용도(勇道)의 수구(水口)로 물이...

 

▼ 용도안에 고인 빗물

 

 

▼ 화양루

 

 

▼ 저것은...

 

 

 

 

 

 

▼ 수원시민회관 앞으 나오면...

 

▼ 바로 경기도청/경기도의회가...

 

▼ 경기도청 정문에서...

 

▼ '도청앞길'을 따라 가다가...

 

 

 

 

 

 

 

  

▼ 향교로(로데오거리)로 접어들어서...

  

 

▼ ?

 

 

 

 

 

 

 

 

 

 

 

▼ 수원역 앞에서 오늘의 여정을 마치고...

 

☞ 이것으로 '세계문화유산 수원 화성(華城)을 성곽따라 일주하다'를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