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고 싶어요☞/♧ 동물 · 식물

탱자나무(꽃), 구귤나무 / 꽃말 : 추상, 추억

by 맥가이버 Macgyver 2024. 4. 18.

탱자나무(꽃), 구귤나무 / 꽃말 : 추상, 추억

 

분류 : 운향목 > 운향과 > 탱자나무속

꽃색 : 백색

꽃말 : 추상, 추억

학명 : Poncirus trifoliata (L.) Raf.

개화기 : 5

 

분포지역

중국, 경기도 이남 식재.

 

형태

낙엽 활엽 관목.

 

크기

높이 3m.

 

잎은 어긋나기하고 3출엽이며, 소엽은 두껍우며 거꿀달걀형, 타원형이고 무딘형 또는 작은 오목형이며 예형으로 길이는 3 ~ 6cm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잎자루의 길이는 25mm로 날개가 약간 있다.

 

꽃은 5~ 6월에 피고 백색으로 가지 끝 또는 잎겨드랑이 1개 또는 2개씩 달리며,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각 5개가 떨어져 있고, 수술은 20개로 많으며 털은 없고 씨방은 8~10실로 나뉘고 밀모가 있다.

 

열매

장과는 둥글고 지름 3cm로 표면에 부드러운 털이 많이 나며, 향기가 좋으나 먹을 수 없다.

종자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 1 ~ 1.3cm이며 황색으로 9 ~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가지는 약간 편평하며 녹색이고 길이 3~5정도의 굳센 가시가 어긋나기한다.

가시와 가지가 녹색이므로 다른 식물과 쉽게 구별된다.

 

생육환경

내한성이 강한 편이고 토성을 가리지 않고 잘 자라며 양수(陽樹)이다.

토양은 비옥하고 물이 잘 빠지는 곳이 좋다.

 

번식방법

번식은 실생으로 한다.

종자채취를 하여 직파하거나 습기있는 모래와 섞어 두었다가 파종한다.

발아율은 매우 높아서 95%인데, 종자저장시 건조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육성된 묘목은 귤나무의 대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재배특성

이식이 쉽고 전정을 하여 수형을 다듬어 줄 수 있다.

 

용도

줄기에 매우 강한 가시가 나 있어 방어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과수원 생울타리로 최적합한 수종이며, 차폐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묘목은 밀감나무류의 접목용 대목으로 사용한다.

미성숙 과실은 枸橘(구귤), 根皮枳根皮(지근피), 나무껍질의 小片(소편)枳茹(지여), 가시는 枸橘刺(구귤자), 잎은 枸橘葉(구귤엽), 성숙 직전의 과실은 枳殼(지각), 종자는 枸橘核(구귤핵)이라 하며 약용한다.

枸橘(구귤) - 疏肝(소간), 和胃(화위), 理氣(이기),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胸腹脹滿(흉복창만), 胃痛(위통), 疝氣(산기), 乳房結核(유방결핵), 子宮下垂(자궁하수), 타박상을 치료하고 酒毒(주독)을 해독한다.

枳根皮(지근피) - 齒痛(치통), 치질, 혈변을 치료하고 뿌리를 술에 담갔다 달인 즙을 입안에 머금고 있으면 치통을 다스릴 수 있다.

枳茹(지여) - 탱자나무의 枝莖(지경) 및 피()水脹(수창), 異風(이풍), 骨筋疼痛(골근동통)을 치료한다.

枸橘刺(구귤자) - 風蟲齒痛(풍충치통)에 구귤자의 달인 액을 머금고 있다가 뱉아낸다.

枸橘葉(구귤엽) - 理氣(이기), 祛風(거풍), 消毒(소독), 散結(산결)의 효능이 있다.

枳殼(지각) - 破棄(파기), 行痰(행담), 消積(소적), 散結(산결)의 효능이 있다. 胸膈痰滯(흉격담체), 胸痺(흉비), 脇脹(협창), 食積(식적), 噫氣(희기), 嘔吐(구토), 下痢後重(하리후중), 脫肛(탈항), 子宮脫垂(자궁탈수)를 치료한다.

枸橘核(구귤핵) - 腸風下血不止(장풍하혈부지)에 구귤핵, 樗根白皮(저근백피) 等量(등량)을 볶아서 가루 내어 13g莢子(급협자)를 달인 액으로 調服(조복)한다.

 

특징

천연기념물 제78(경기도 강화군 강화읍), 79(경기도 강화군 화도면)호에 지정되어 있다.

면적:1() 13, 소유자:개인, 지정사유:노거수, 수령:400, 나무높이:4m, 뿌리목둘레:1m.

 

이 나무는 강화도 역사박물관에 이웃해서 토성의 비탈면 아래쪽에 보호를 위해 철책에 둘러싸여있고, 석축이 되어 있어서 나무에 해로운 흙이 유실은 염려없다.

굵은 줄기의 아래쪽 내부는 목질부가 부후해 있고 줄기에는 독특한 골이 세로로 나 있다.

건강한 모습으로 자라고 있고 수관은 경사면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감이 있다.

 

[출처]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