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행·도보여행정보☞/♡ 산행·여행 지도 & 정보

눈꽃은 詩가 되어 날리고 눈밭엔 추억을 새긴다…문경새재 雪山 트레킹

by 맥가이버 Macgyver 2011. 1. 6.

눈꽃은 詩가 되어 날리고 눈밭엔 추억을 새긴다… 문경새재 雪山 트레킹

국민일보 | 입력 2011.01.05 17:24 |

 

 

문경에는 백두대간 설산에 누워 하늘을 우러르는 젊은 여인이 있다.

여인의 정체는 문경의 진산으로 불리는 주흘산(1106m).

점촌에서 중부내륙고속도로를 타고 문경새재 나들목까지 달리는 동안 보이는 주흘산의 봉우리 곡선을 보면 누구나 절로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한겨울 눈꽃 트레킹 코스로도 유명한 문경새재길은 요염한 자태의 주흘산 치맛자락 속에 숨어있다.

문경새재는 경북 문경과 충북 괴산을 잇는 백두대간 옛 고개.

한양에서 영남으로 부임하는 목민관들은 영남대로 첫 관문인 문경새재를 넘어 임지로 향했다.

또 청운의 뜻을 품고 과거길에 오른 영남의 유생들은 '경사스런 소식을 듣는다'는 문경(聞慶)의 새재를 넘어 한양으로 갔다.

 

 

새도 날아 넘기 힘들다는 문경새재의 제1관문은 주흘관.

남쪽과 북쪽에서 쳐들어오는 적을 방어하기 위해 1708년(숙종 34년)에 완공한 주흘관은 3개의 관문 중 규모가 가장 크다.

청색과 적색의 영기가 펄럭이는 성문을 들어서면 시간여행을 떠난 듯 조선시대의 고즈넉한 겨울풍경이 기다린다.

부드러운 흙길에 소복하게 쌓인 눈을 밟으며 걷다보면 눈꽃이 활짝 핀 노송과 주막, 드라마 '태조 왕건'을 비롯해 현재 방영중인 '근초고왕'에 이르기까지 여러 사극을 촬영한 문경새재 오픈세트장이 반긴다.

옛날 옷을 입은 연기자들이 기와집과 초가집을 오가는 모습이 예스러움을 더해준다.

'한국의 아름다운 길'로 선정된 문경새재길은 주흘관에서 고갯마루의 조령관까지 6.5㎞가 비포장 흙길이다.

아이러니컬하게도 1970년대에 국토개발을 진두지휘했던 박정희 대통령이 유독 문경새재길은 포장하지 말라고 지시해 자연 상태 그대로 남게 되었다.

올겨울 잦은 눈으로 발목 깊이로 눈이 쌓였지만 길은 경사가 완만한데다 10여명이 어깨동무를 하고 갈 정도로 넓다.

세트장을 지나 호젓한 산길을 걸으면 조령원터와 주막이 차례로 나온다.

조령원은 옛 관리들을 위한 숙박시설이고 주막은 선비와 보부상들이 국밥 한 그릇에 시장기와 여독을 풀던 곳이다.

새재를 넘던 율곡 이이는 "험한 길 오르다보니 어느덧 석양인데/산 아래 주점 물 기르는 길조차 아득해/(중략)/잠들지 못한 깊은 밤은 참 고요도 한데/싸늘한 달빛만 사립문을 비추고 있네"라고 노래했다.

교귀정은 경상도 감찰사의 이취임식이 열리던 곳으로 낙락장송 한그루가 이채롭다.

이곳을 지나던 김종직은 이름 없는 정자를 '교귀정'이라 명명하고 "교귀정에 올라 앉아 하늘과 땅을 즐기는데/문득 깨달으니 귀밑머리 흰빛이로다/한 가닥 흐르는 물은 바람과 더불어 노래 부르고/즈믄 바위는 그림 같건만 날은 점점 저물어만 가누나/(후략)"는 시를 선물했다.

'한국의 길' 중 문경새재길 만큼 시와 소설의 주제로 많이 다뤄진 길도 드물다.

서거정 김종직 김시습 이언적 주세붕 이황 이이 김성일 류성룡 이수광 김만중 정약용 김정희 등 한 시대를 풍미했던 묵객들이 문경새재에서 남긴 시는 수백여편이다.

문경새재는 김주영의 소설 '객주'의 첫머리를 열었던 곳이기도 하다.

작가는 소설의 도입부를 쓰기 위해 배경이 된 문경새재를 다섯 번이나 답사한 끝에 "샛바람 사이를 긋던 빗방울이 멎자 금방 교교한 달빛이 계곡의 억새밭으로 쏟아져 내렸다.

계곡에 널린 돌과 바위들이 차갑게 빛났다"로 시작되는 '객주'를 완성했다.

정비석의 '의적 일지매'와 신경림의 '새재'도 문경새재를 배경으로 삼았다.

팔왕폭포로 유명한 용추는 수많은 선비들의 발걸음을 멈추게 했던 절경.

퇴계 이황이 "큰 바위 힘 넘치고 구름 가득하게 흐르는데/산 속의 물은 내달아 흰 무지개 이루었네"라고 노래한 용추는 하얀 눈에 덮여 선경을 연출하고 있다.

조선 정조 때 산불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해 만든 '산불됴심' 비석을 지나면 제2관문인 조곡관의 설경이 나그네를 맞는다.

성문 안에는 미끈하게 솟은 금강송 가지에서 눈꽃이 후두둑 떨어진다.

금강송 군락에는 드문드문 물박달나무도 섞여 있다.

재질이 단단한 물박달나무는 한민족의 희로애락이 담긴 나무로 쟁기, 다듬이 방망이, 방아공이, 홍두깨를 만드는 재료였다. "문경새재 물박달나무/홍두깨 방맹이로 다 나간다/홍두깨 방맹이는 팔자 놓아/큰 애기 솔질에 놀아난다/문경새재 넘어갈제/구비야 구비야 눈물난다"는 문경새재아리랑에도 물박달나무가 나온다.

김만중 정약용 이언적 등의 시가 화강암에 새겨져 있는 '시가 있는 옛길'을 지나면 임진왜란 때 신립 장군이 진을 쳤던 이진터.

신립은 이곳에서 왜적을 급습하자는 부하들의 간언을 물리치고 충주 탄금대에 배수진을 쳤으나 조총으로 무장한 왜군에 의해 8000명의 의병이 몰사한다.

다산 정약용은 "황선이 적 격파한 일 계책 아주 서툴고/신립의 군사 작전 세상이 모두 의심하였지/애석할사 이제 병법을 어디에다 시험할꼬/지휘소의 명령 소리로 평화시절을 즐긴다오"라는 시를 지어 신립이 조령을 지키지 않았다가 패배한 사실을 애석해했다.

이진터를 지나면 길이 가팔라진다.

장원급제의 전설이 전해오는 책바위를 지나 눈 쌓인 고갯길을 몇 구비 돌면 갑자기 하늘이 열린다.

제3관문인 조령관은 마패봉과 조령산 사이의 널찍한 공터에서 홀로 새재(632m)를 지키고 있다.

백두대간 고갯길을 하얗게 수놓은 설경이 얼마나 아름다웠던지 김종직은 "높은 고갯마루를 사또 임명받아 넘나니/그 위에 당도하니 겨울 세계 펼쳐졌네"라고 읊었다.

하루 중 조령관이 가장 아름다운 때는 저녁노을이 화염처럼 붉게 타오를 무렵.

나목 가지에서 낙화하는 눈꽃은 시가 되어 눈밭을 뒹굴고, 문경새재를 넘는 겨울 나그네들은 수묵화의 주인공을 자처한다.

문경=글·사진 박강섭 관광전문기자 kspark@kmib.co.kr

< goodnewspaper ⓒ
국민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