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전라 도보후기☞/☆ 부산 갈맷길

[부산 갈맷길 | 9코스] 물 구비 들 지나 산 구비 50리 - 선동 상현에서 기장 만화리까지

by 맥가이버 Macgyver 2012. 11. 26.

[부산 갈맷길 | 9코스] 물 구비 들 지나 산 구비 50리

  • 글·사진 이성근 부산그린트러스트 사무처장 
선동 상현에서 기장 만화리까지
 
▲ 9코스 들머리 선동 상현마을에서 바라본 회동수원지.
1942년 건설되면서 당시 오륜동을 형성하고 있던 다섯 마을 중 4곳이 수몰되었다.

큰 비와 큰 바람이 잦은 가을, 태풍이 연이어 지나면서 며칠간 하늘이 어둡고 천지사방 넘쳐나는 것은 물뿐이다. 그렇게 우리를 힘들게 했던 맹하가 엊그제인데 어느새 아침저녁으로 싸늘함이 느껴진다. 갈맷길 여정도 얼마 남지 않았다.


이번에는 9코스다. 금정구 상현마을에서 기장군청까지 이어지는 총 20km 거리로 가을햇살을 고려하면 부지런히 걸어야 한다. 9코스는 이곡마을을 기준으로 9-1코스(11.5km)와 9-2(9.0km)코스로 나뉜다.


들머리는 회동수원지 거점 마을인 선동 상현마을을 기점으로 한다. 수영강이 본래 흐름을 빼앗기고 호수가 되는 지점이다. 수영강이 신천마을을 지나 호두술산 골미골 앞 강릉김씨 재실 상현당에서 유로를 남서쪽으로 꺾으며 회동호로 옷을 갈아입고 공덕산 줄기가 흐름을 멈춘 곳이다. 능선을 경계로 수영강 쪽이 금정구 선두구동이며 철마천 쪽이 장전리이다.


장전리 길은 몇 해 전만 하더라도 부산에서 드물게 맛볼 수 있는 비포장도로였지만 이제는 예전의 감칠맛은 반감되었다. 그 안타깝고도 이해할 수 없는 심정을 달리 하소연할 데도 없다. 예전 울퉁불퉁한 도로는 가수 정종숙의 ‘달구지’를 흥얼거리며 맘껏 걷는 길이었다. 특히 지도를 보았을 때 한반도의 원산 위치에 해당하는 진명교에서 바라보는 구골창의 풍광은 고즈넉한 맛이 있다. 사람의 간섭이 크게 없었던 곳이라 원앙들도 나래를 접고 쉰다. 지나는 사람이 풍경과 하나가 되고 싶은 곳이다.


철마천은 수영강의 제1지류로 철마면과 정관면의 경계지점인 문래봉에서 발원해 홍류저수지에서 유향을 남으로 바꾼 후, 연구리에서 이곡천, 구칠천을 차례로 합류시킨 다음 와여리 장전리를 거쳐 회동호에서 수영강과 몸을 섞는다. 기장군 수계 중 유일하게 남해로 흐르면서 버들치와 피라미를 비롯 희소종인 경모치와 송사리 등 7과 13종의 어류가 산다.   


▲ 갈맷길9코스 개념도

물바위들을 지나 장전2교 삼거리에서 극락암이 있는 장전2리 입구까지 약 20분 거리는 철마로를 따라간다. 도로 아래는 철마천이 시냇물처럼 흐른다. 좌우로 독고산과 장년산이 협곡을 이루고 멸종위기 1급인 수달의 배설 흔적이 곳곳에 있다. 작은 소와 여울이 그 놀이터쯤 되겠다. 반갑고 놀랍다. 통상 행동반경이 10km 정도 된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회동호와 수영강 일대가 먹이 터일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이 일대는 다른 어느 곳보다 야생동물 발견 빈도가 높은 곳이다. 


그 길에 추파(秋波) 오기영(吳璣泳· 1837~1917) 선생의 ‘장전구곡가(長田九曲歌)’ 시비가 도로변 응달에 있다. 시비가 서 있는 지점은 구곡 중 기장 선경이라 일컫는 오곡에 해당하는 곳이다. 장전구곡이란 철마천이 곰내재에서 홍류폭포를 거쳐 백길, 연구, 이곡, 구칠, 와여, 장전, 선동, 오륜의 아홉 마을과 들을 지나 아홉 굽이로 흐르는 일대의 풍광을 노래한 칠언절구의 시다. 한 세기 전 추파 선생이 저물녘 마차를 타고 홍류동천까지 이동하면서 보았던 그림은 아직은 남아 있다. 갈맷길 9코스에서는 <구곡가> 4경과 5경이 노래되고 있다.


사곡동서입묘암(四曲東西立猫岩)  
포화낙처색남삼(泡花落處色鹽)         
우계난창장전항(牛鷄亂唱長田巷)        
급수아동도석담(汲水兒童到釋潭)


오곡운하수색심(五曲雲霞水色深) 
사시수간원평림(四時隨看遠平林) 
계수곡청가희용심(數曲淸歌喜容心)
두유의수능식(溪頭有意誰能識)


네 굽이 돌아드니 동서로 선 깨냉이바우 틈에
물보라 꽃으로 져서 아름답게 맴도는구나 
고요 깨는 낮 닭 울음 장전마을에 들리는데
물대는 아이놈은 이제사 봇도랑에 오는구나


다섯 굽이 돌아드니 안개 속에 물빛은 깊어
철따라 바라보면 아득한 수풀 바다
저 샘 머리 뜻 있음을 뉘라서 알리요
몇 곡조 맑은 가락에 즐겁기만 했으리


▲ 1 진명교에서 바라본 구골창의 풍광은 정겹고도 고즈넉한 맛이다.
사람의 간섭이 크게 없었던 곳이라 원앙들도 나래를 접고 쉬지만 최근 도로포장공사로 인해 주변 지형이 변했다.
2 철마천이 스치는 남박들, 겨울이면 독수리가 나래를 접고 쉬는 곳이기도 하다.

장전2길이 끝나는 지점 경로당 앞에서 잠수교를 건너 보람교로 향한다. 동절기에는 미나리를 재배하는 남박들 하늘에 가끔씩 독수리들이 맴을 돈다. 반가운 일이다. 시방은 백로가 점령해 있다. 농민들이 걷어내는 철지난 미나리 뿌리 아래 먹을 것이 넘쳐나기 때문이다. 쇠백로, 중대백로, 왜가리를 비롯하여 해오라기까지 진을 친다. 본래 여름철새인 이들이 예서 겨울을 나는 것은 지구온난화로 이렇게 생물 서식지가 바뀐 탓이다. 어찌 보면 쓸쓸한 풍경이다.


미나리와 한우가 있는 장전 들녘
예로부터 미나리는 3덕(三德)이 있는 채소로 예찬됐다. 때 묻지 않고 파랗게 자라나는 심지, 음지의 악조건을 이겨내는 생명력, 가뭄에도 푸름을 잃지 않는 강인함이 미나리의 3덕이다. 그 3덕이 눈부시게 펼쳐진 곳 또한 절마천에서 장전천변이다. 짙푸른 녹색의 시원스러움은 겨울에 가장 빛난다.


장전 들녘에서는 2005년부터 매년 10월 철마 한우 불고기축제가 벌어진다. 일대의 한우고기 식당이 문을 닫고 축제에 참여한다. 사방이 고기 익는 냄새로 절로 침이 고이게 한다. 산지 직송에 할인까지 이루어져 북새통이다. 부대행사로는 추억의 메뚜기 잡기, 소달구지 타기, 시골 외갓집 농장체험, 허수아비 만들기 등이 성황을 이룬다.   


다리를 건너 구칠리 방면으로 가다 성호원 한우 직판장에서 난들길로 들어선다. 솔배기들 건너편에 해인사 분원인 보림사가 있다. 절 뒤편 산 이름이 연봉산이고 행정명은 연구리다. 보림사 입지의 배경이다. 연지가 있어 해마다 연꽃이 필 무렵이면 동호인들이 즐겨 찾는다. 73번 시내버스 종점이 있는 이곡마을 삼백 살 느티나무까지 1.8km 정도 걸린다.


높이가 20m를 넘는 팽나무는 1982년에 군 보호수로 지정되었다. 이곡주민들은 매년 음력 정월 14일 자정 당산 할배에게 제사를 지내고 동짓날은 마을 할머니들이 팥죽을 뿌리고 간단히 제를 올린다고도 한다.


▲ 1 묵은 미나리들을 제거하는 농민들.
2 백로 전시장인 듯 여러 종류의 백로들이 미나리꽝에서 먹이 활동을 하고 있다.

본격적으로 산길을 탄다. 초입에는 이정표와 안내판이 서 있어 오고갈 거리를 가늠할 수 있다. 다소 경사가 있는 남곡골 암골 소류지까지는 폭 2m 남짓한 콘크리트 농로를 따라 10분 걸음이면 도달한다. 여기서부터 기장군이 자랑하는 테마임도까지는 어둑한 편백숲길을 따라 다시 10분 정도 오르면 된다.   


아홉산 능선이 달음산 능선과 마주보고 섰다. 그 아래 용천리 골짝에는 연합목장이 있고 구칠리 쪽에 삼화목장이 있다. 볕이 좋을 때 목장 잔디밭에서 일광욕도 해봄직하다. 군데군데 낙엽처럼 바싹 말라 버린 소똥만이 목장의 흔적을 기억하게 한다. 임도는 평탄하면서도 산지지형을 반영해 사행한다. 숲은 소나무 중심이지만 점차 참나무들이 세력화하고 있다.


길가에 잘 생긴 반송(盤松) 한 그루
길가에 잘 생긴 반송(盤松) 한 그루가 있다. 부산 사하구에 거주하는 최병선씨가 나무의 보호를 위해 ‘부탁합니다’란 메모를 코팅해 걸어 두었다. 내용인즉, 최씨가 1995년 11월 산행 중에 발견한 것으로 혹시 이식(移植)을 하게 되면 이식 장소를 알려 달라는 것이다. 그 마음이 가상하고 고맙다.


테마임도는 전국에서 두 번째로 공인된 MTB 코스이기도 하다. 시절 자체가  ‘저탄소 녹색성장’이 대세를 이루다 보니 이동수단으로 자전거는 그 중에 단연 으뜸이다. 이용자들도 기후변화시대에 일조한다는 자부심을 내심 가지고 있고, 지자체는 마침 국가 시책이니 자전거 이용 활성화라는 측면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고 관대하다. 허나 거듭 말하지만 그 이용에 있어서는 나름의 기준과 문화의 정립이 필요하다. 보행자에 대한 배려와 식생의 보존도 함께 생각해야 한다.


테마임도는 벚나무 거리, 무궁화 거리, 동백 거리, 단풍거리 등을 조성해 계절별로 다른 느낌을 준다. 대추나무, 살구나무 등 유실수는 나들이객들이 따먹을 수 있도록 했다. 봄이 오면 굴참나무숲 사이 언뜻언뜻 생강나무의 노란색 꽃이 나비떼처럼 날아오를 것이다.


▲ 1 9코스 2구간 들머리.
2 기장군이 자랑하는 테마임도의 시작부,
원래 아홉산 대숲을 경유하는 코스를 만들려고 했지만 토지 소유주가 출입을 차단하는 바람에 이곡리가 코스로 들었다.

‘자연을 사랑한다’는 의미의 모연정(募然亭)을 앞두고 길은 크게 휘어지면서 내리막이거나 평탄하다. 500m쯤 나아가다 그때부터 약간 오르막이다. 다시 원을 돌듯 골짜기를 감아 돌면 다시 내리막이다. 5분 정도 걸어 내려가다 보면 일광산 임도와  돌샘체육공원 갈림길이 나온다. 일광산 사면에서 흘러내린 석간수를 모아 연못을 조성했다. 비단잉어 몇 마리가 놀고 있다. 간혹 오색딱다구리가 목탁소리를 내며 나무결을 두드리는 소리도 들리기도 한다. 


백두사 가는 갈림길에서 솔 숲 사이 오솔길을 택했다. 하산길 두 번째 갈림길인데 무작정 큰길로 가다 보면 이진테마빌로 빠질 수 있다. 어쨌든 오솔길을 따라 걷다 보면 골짜기 다랑이논들이 펼쳐진다. 일명 ‘까치들’인데 다랑이논에 알곡을 머문 나락들이 출렁여 보기만 해도 배가 부르다. 펼쳐진 풍경이 정감 있다. 동서마을 회관까지는 약 10분 거리지만 골짜기 풍경이 발길을 잡는다. 동서마을은 분지형태로 사방이 산이 에워싸고 있다. 50여 가구가 대숲을 담벼락 삼아 경계를 짓고 있다. 


마을로 들어서니 아직도 남아 있는 돌담이며 골목이 고향마을 같다. 돌담 너머 고개를 내민 엄나무며 감나무는 우리가 늘 가슴에 품고 싶어 하는 풍경이다.


마을회관 뒤편에는 차릉(車陵)이 있다. 신라 애장왕 시절 승상 차건신(車建申)의 묘라고 하는데 고려 개국과 관련된 이야기가 있다. 그로부터 비롯된 문화 유씨와 연안 차씨의 유래를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장의 옛 이름 차성(車成)이 여기서 유래함을 알 수 있어 의미가 깊다. 봉분에는 십이지신상이 새겨져 있고, 능 좌우에는 문무백관이 받들고 있다. 언뜻 경주 김유신 장군의 묘가 연상된다. 길은 이렇듯 묻혀 있던 역사를 새롭게 한다.


동서마을회관에서 흙사랑으로 걸음을 옮기다 보면 4개의 시(詩)가 있는 길을 만나게 된다. 사계에 맞추어 구간 구간 시심을 불러일으키도록 했다. 기장군 농촌지도소가 조성했다는데 나름대로 운치가 있다.


 
▲ 만화리 동서마을 초입, 까치들을 지나 대나무숲을 지나면 부추꽃을 배경으로 테마임도를 품은 산자락이 보인다.

골프장 조성 반대 현수막이 군데군데 붙어 있다. 어떤 회사가 만화리 일원에 9홀 규모(면적 38만5,653㎡)의 골프장을 지을 예정이다. 주민반대가 거세고, 오규석 기장군수도 “주민 의견을 무시하고 골프장을 건설하는 일은좌시하거나 방치하지 않겠다”고 했다. 하지만 국토해양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에서 그린벨트 관리계획 변경 안이 통과돼 충돌이 예상된다.


개발업자들은 환경훼손은 ‘절대’없다고 하지만, 주변 자연과 전혀 다른 골프장 자체가 환경적으로 이질적임을 고려한다면 그들의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 만화리의 평화를 기원한다. 


마을과 산과 바다까지 보이는 바로 그 길
종점부 이진테마빌로 가는 들길에 수령이 최소 200년 이상 되어 보이는 팽나무 두 그루가 서 있다. 만화리 당산나무다. 뿌리부터 뒤엉켜 하늘을 향해 가지를 펼치고 있는데 그 위상이 먼 데서도 확인할 수 있을 만큼 당당하다. 만화리 동서마을은 당산나무의 수령에서 읽을 수 있듯 나름의 역사와 전통이 숨 쉬는 마을이다. 아직도 남아 있는 전통가옥과 골목길은 이 길이 가진 매력이다.


장그랑들을 지나 두배실골과 경계를 이루는 세트산은 부산울산고속도로가 지나며 두 동강 났지만 숲의 서어나무들은 건재하다. 만화교를 앞두고 테마임도가 연결되며 소나무들이 여행객을 배웅하듯 도열해 있다. 테마임도의 기종부에 두화마을과 동서마을의 입구격인 삼거리가 있다.


이진테마빌을 지나 마지막 여정인 기장군 교리 기장향교로 향했다. 기장향교는 전학후묘의 일반적 배치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평지가 아닌 경사진 곳에 일직선으로 배치한 것에서 동향의 동래향교와는 다르다 할 수 있다.  부산광역시기념물 제39호로 지정되었다.


▲ 1 동서마을 회관 뒤편에 있는 차릉(車陵),
신라 애장왕 시절 승상 차건신(車建申)의 묘로서
고려 개국과 관련된 이야기가 묻혀 있을 뿐 아니라 기장의 옛 이름인 차성이 예서 연유한다.
2 14번국도 아래 모시밭골에서 건너다 본 만화리 동서마을, 왼쪽 산자락 일원에 골프장 건설이 예정되어 있다.

정확한 창건 시기는 알 수 없고, 1617년(광해군 9) 기장현(機張縣)의 유림들이 중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성전을 비롯해서 신삼문, 명륜당, 동재, 서재, 풍화루, 세심문 모두 7동의 건물이 남아 있다. 매년 음력 2월과 8월 2회에 걸쳐 석전(釋奠)을 올리는 등 향사(享祀)하고 있다.


갈맷길 9코스는 여기서 끝난다. 마지막이 도심 주거지를 끼고 걷기는 하지만 물길, 들길, 아기자기한 산지 숲길 등 다양한 풍광을 모두 보여주는 맛있는 길이다. 특히 봄날 테마임도 벚꽃길은 가지 사이 언뜻언뜻 바다가 출렁이며 다가서 또 다른 감흥을 불러일으킨다. 하기사 이 나라 어디인들 마음 주고 싶은 곳 없으랴만 갈맷길 9코스는 유난히 기억에 남는 길이다.


길잡이  도시철도 1호선 구서역 혹은 남산동역(마을버스 환승)~선동상현마을(하차)~구골창(진명교)~ 물바위들-철마로~장전2길~장전천교~남박들~ 보림교~성호원~ 난들길~이곡리 73번 시내버스 종점~남곡골~암골소류지~편백숲길~기장테마임도~모연정~돌샘체육공원~동서마을회관~차능~장그랑들~이진테마빌~기장향교


교통 도시철도 1호선 남산역 또는 구서역 / 금정구
마을버스 3번, 3-1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