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행·도보여행정보☞/♡ 산행·여행 지도 & 정보

[박종인의 사람과 길] 골짜기 뒤로 펼쳐진 산과 물의 땅… 그곳은 새들이 지키고 있었네

by 맥가이버 Macgyver 2014. 7. 10.

[박종인의 사람과 길] 골짜기 뒤로 펼쳐진 산과 물의 땅… 그곳은 새들이 지키고 있었네

  • 박종인·여행문화 전문기자
  • 입력 : 2014.07.10 04:00

 

족자섬에서 고달사지까지… 남한강변 우중(雨中) 여행

 
 양평 족자섬은 겸재 정선의 그림에도 등장한다. 댐이 생긴 이후 섬은 가마우지들만 살고 있는 무인도다.
해 질 녘 족자섬은 강이 아니라 허공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아니면 당신 마음에 떠 있거나. /박종인 기자
양평은 산자수명(山紫水明)의 땅이다. 거대 도시 서울에서 한 시간 거리지만, 그 내면(內面)은 광년(光年) 단위로 떨어져 있다. 두 한강이 합수(合水)하는 물의 땅이며, 평야보다는 산이 더 많이 보이는 산의 땅이다. 비가 내리면 그 물과 산이 대기 속에 융합해 몽환(夢幻)을 창조하는 그런 땅이다. 카페에 러브호텔로 채워진 그 골짜기 뒤로 그런 세상이 있다. 그리하여 이 장마철, 우리는 산자수명을 좇아 양평으로 간다. 내친김에 남한강을 따라서 거침없이 가본다. 그래 봤자 하루 나들이다.

◇양평 독백탄 그리고 족자섬

18세기 화가 겸재 정선은 '경교명승첩'이라는 화첩에 독백탄(獨栢灘)이라는 그림을 남겼다. 양평 양수리 건너 퇴촌에서 양수리를 바라본 풍경화다. 오른쪽으로 운길산 꼭대기 수종사, 왼쪽으로 다산 정약용이 태어난 마현마을, 그리고 그 앞으로 두물머리 바위가 그려져 있고 한가운데에 남한강과 북한강, 경안천이 만나는 합수지, 독백탄이 그려져 있다.


	겸재 정선의 ‘독백탄(獨栢灘)’.
겸재 정선의 ‘독백탄(獨栢灘)’.
독백탄 한가운데에 떠 있는 섬은 족자섬이다. 지금은 족자섬 옆으로 6번국도 양수대교가 지나간다. 그 아래에 연꽃을 중심으로 수생식물을 모아놓은 정원 세미원이 있다. 이정표를 따라 다리를 내려가면 세미원 너른 연못과 족자섬, 그리고 두물머리를 만나게 된다.

팔당댐이 생긴 이래 족자섬은 무인도가 됐다. 대신 얼마 전부터 민물 가마우지가 떼로 몰려와 살고 있다. 해 질 녘 혹은 이른 아침 새들이 빽빽하게 모여 있는 섬 풍경만으로도 사람들을 행복하게 만든다. 세미원 www.semiwon.or.kr (031)775-1834, 입장료 4000원 월요일 휴관.

*서울에서 6번국도로 양평 쪽으로 가다가 양수대교 중간 무렵 오른쪽으로 족자섬이 보인다. 세미원은 양수IC에서 빠져서 청평 방면→읍내 체육공원삼거리에서 좌회전

◇가평 어비계곡 그리고 민기남집

유명산 자연휴양림 옆에 붙어 있다. 그늘 속 산길로 차를 몰고 오르다 다리 두 개를 건너면 닭매운탕집이 나온다. '민기남집'이다. 여주인 민기남씨가 닭매운탕을 파는 집이다. 내비게이션에도 민기남집이 나올 정도로 유명하다. 집 앞 물가 평상에서 매운탕을 먹으면 좋다. 아이들 물놀이도 가능하다.
 
	민기남집 닭매운탕.
민기남집 닭매운탕.

 

양배추, 깻잎, 닭을 넣은 벌건 육수를 솥뚜껑에 붓고 장작불로 끓인다. 생김과 다르게 그리 맵지 않다. 반찬은 3년 된 묵은지, 배추장아찌, 오이지, 취나물, 고추장아찌가 나온다. 먹는 장소는 함석으로 지붕을 만든 맨땅이다. 주문을 하면 장작에 불을 지피고 솥뚜껑을 올려놓고 요리를 붓는다. 그리고 반찬이 나온다. 주인 할 일은 거기까지. 플라스틱 앉은뱅이 의자를 가져오고 물이며 술이며 음료수 나르는 건 손님이 한다. 주문은 오후 4시 30분에 끝. 신용카드 불가, 예약 불가. 벽에는 "산골이라 일손이 모자란다"고 적혀 있다. 1마리(2인분) 4만원.

 

*세미원에서 나와 6번국도로 양평 쪽으로 간 뒤 옥천냉면 직전 고읍교차로에서 좌회전→동천교차로에서 청평방면 좌회전→중미산휴양림 지나 유명산휴양림 입구 옆 도로 5km. 세미원에서 50분. (031)774-3386, 옥천면 용천리 산12

◇여주 고달사지 그리고 낯선 텅 빔


	남한강변 드라이브
여행의 끝이자 마무리는 폐사지다. 사시사철 어느 계절에 가더라도 폐사지는 쓸쓸하다. 고달사지(高達寺址)도 그러하다. 통일신라시대인 764년 고달이라는 사내가 이 너른 절에 있는 석물들을 혼자 깎고서 큰 스님이 되었다고 했다. 무상한 세월 속에 절은 문을 닫았고, 고달이 만든 석물들도 모가 닳았다. 석양을 바라보는 잘생긴 귀부상 눈망울도 쓸쓸하고 나뒹구는 돌멩이들에도 쓸쓸함이 묻어 있다. 그 쓸쓸함 혹은 공허함, 텅 빔을 즐긴다. 해 질 녘이라면 절터 위편에 있는 머리 달아난 귀부상과 자귀나무를 꼭 바라본다. 이 계절, 석물들 위로 떨어질 빗줄기도 꼭 본다. 부처님 사라진 좌대 주위에 확연한 탑돌이 흔적을 따라 탑돌이도 해본다. 절터 위편 산속에 있는 국보와 보물 두 탑도 꼭 만나본다.

*어비계곡에서 나와 37번 국도로 돌아가 상평교차로에서 홍천 방면 좌회전→용문교차로에서 지평 방면 우회전→석불역 지나 양동 방면 좌회전→주암사거리에서 우회전. 어비계곡에서 1시간 30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