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행·등산사진후기☞/♤ 경상도의 산&길

[20140823]문경 주흘산 산행&문경새재길 걷기(여궁폭포-주흘주봉-주흘영봉-꽃밭서덜-조곡관-주흘관) - 1부

by 맥가이버 Macgyver 2014. 8. 24.

 

31185

 

2014년 08월 23일(토)

맥가이버의 낭만산행 - 문경 주흘산 산행&문경새재길 걷기(여궁폭포-주흘주봉-주흘영봉-꽃밭서덜-조곡관-주흘관)를 다녀오다.
 

 

 

  맥가이버의 낭만산행 - '문경 주흘산 산행&문경새재길 걷기(여궁폭포-주흘주봉-주흘영봉-꽃밭서덜-조곡관-주흘관)' 이야기

 

 맥가이버의 낭만산행 - '문경 주흘산 산행&문경새재길 걷기(여궁폭포-주흘주봉-주흘영봉-꽃밭서덜-조곡관-주흘관)' 코스

 

문경새재 주차장→문경새재입구→옛길박물관→문경새재 과거길 표석→조령1관문(주흘관)→신길원 현감 충렬사→여궁폭포/파랑소→아치교

→혜국사→안정암→대궐터/대궐샘→대궐터능선(해발989m)→전좌문→주흘산 주봉(1075m)→1030봉→주흘산 영봉(1106m)→조곡골합수부

→꽃밭서덜(해발615m)→조령2관문(조곡관)→조곡폭포→산불됴심표석→소원성취탑→꾸구리바위→기도굴→교귀정→문경주막터조령원터

→지름틀바우→문경새재오픈세트장→공덕비군→조령1관문(주흘관)→자연생태공원→초곡교→옛길박물관→문경새재입구→문경새재 주차장

 

 

 

 

오늘은 '문경 주흘산 산행&문경새재길 걷기(여궁폭포-주흘주봉-주흘영봉-꽃밭서덜-조곡관-주흘관)를 위해 길을 나선다.
 
문경의 주흘산을 주흘관에서 여궁폭포를 거쳐 주흘산 주봉과 영봉을 오르고 꽃밭서덜을 거쳐 조곡관으로 내려서고,
조곡관에서부터 문경새재길을 걸어 주흘관을 거쳐 문경새재주차장으로 원점회귀하는 코스로 다녀왔다.
  
 
맥가이버의 낭만산행 - 문경 주흘산 산행&문경새재길 걷기(여궁폭포-주흘주봉-주흘영봉-꽃밭서덜-조곡관-주흘관)를 다녀오다
자세한 이야기는 맥가이버의 블로그 사진후기로 대신한다.
 

 

 
누군가가 '누우면 죽고, 걸으면 산다(臥死步生)'고 했다.
맥가이버는 '산 따라 강 따라 길 따라' 걷는 것을 죽고사는 차원이 아닌 즐기는 차원에서 걷는다.
즉, 좋은 길을 걷다가 새로운 환경이나 상황, 사람을 만나면서 알게 되고, 느끼고, 감동 받고, 깨닫는 것을 즐긴다.
 

 

 
 '모든 만남은 걷고 있을 때 이루어진다'라는 말이 있는데,
길을 걷다보면 새로운 풍광을 보게 되고, 새로운 사람을 만나게 되고, 새로운 경험을 하고, 새로운 것을 알게 된다.
 

 

 
맥가이버가 '때론 함께, 때론 홀로' 산행이나 여행, 도보를 하면서 후기를 주로 사진으로 작성함은
인간의 만남이 또한 유한함을 알기에 어떤 연유로 비록 언젠가 헤어지더라도 추억 속에서 함께 하고자 함이고,
또 하나 이유가 있다면 걸으면서 보고 느낀 것을 글로 다 표현치 못하는 무능함에 있습니다.
그리고 한 가지를 더 든다면 누군가가 같은 길을 걷고자 할 때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입니다.
 
 
☞ 문경 주흘산 산행&문경새재길 걷기(여궁폭포-주흘주봉-주흘영봉-꽃밭서덜-조곡관-주흘관)를 다녀오다 - 1부를 시작하며...

 

 

09시 52분 - 문경새재 주차장에서...

 

문경새재도립공원 안내도를 클릭하면 확대됨.

 

09시 58분 - 문경새재도립공원 입구를 지나...

 

09시 58분 - 선비의 상

 

10시 00분 - 옛길박물관

 

옛길박물관[Museum of Old Roads]
 경상북도 문경시가 운영하는 문경새재에 관한 공립박물관.

 
분류 : 박물관
설립일 : 1997년 04월 27일
소재지 :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새재로 944
규모 : 부지 1만 2000㎡, 연건평 1,150㎡
주요소장품 : 옥소 권섭 영정, 어필 및 홍인걸 투구, 김승주 삼공신 회맹록 판본, 주두업 지석 등

 

1991년 착공하여 1997년 4월 27일 개관하였다.

부지 1만 2000㎡, 연건평 1,150㎡에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로, 3개 전시실과 1, 2층 중앙홀,

수장고, 영상실 등을 갖추고 있고, 야외전시장도 조성되어 있다.

총 4,200여 점의 유물을 전시한다. 

 

제1전시실(주흘실)에는 문경관문, 영남대로, 문경의 전투, 경상감사 도임행차(慶尙監司到任行次),

제2전시실(조곡실)에는 문경의 문화와 의·식·주생활, 집과 모둠살이, 신앙과 의례, 생업기술 등에 관한 소장품 및 자료를 전시하고 있다.

 

제3전시실(조령실)에서는 굽다리접시·토기항아리 등 신라시대 토기가 주를 이루는 매장문화재,

1724년(경종 4) 도화서(圖畵署) 화원(畵員) 이치(李治)가 그린 옥소(玉所) 권섭(權燮) 영정(影幀),

선조(宣祖)가 홍인걸(洪仁傑)에게 하사하였다고 전해지는 어필(御筆) 및 홍인걸의 유품인 투구,

김승주 삼공신(三功臣) 회맹록(會盟錄) 판본(板本), 주두업(周斗業) 지석(誌石) 등에 관한 전시가 이루어지며,

야외에는 금학사지삼층석탑, 서낭당, 연자방아, 옹기와 장독대 등이 있다.
 
상설전시 외에 《문경새재의 전설과 신앙》(1998),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문경》(1998) 등

조사연구총서를 간행하고 '문경의 문화재전', '문경 도자기 명품전' 등 특별기획전을 개최한다.

 

관람시간은 오전 9시~오후 6시(동절기 오후 5시)이고, 1월 1일과 매주 화요일에는 휴관한다.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새재로(상초리)에 있다.

 

출처  : 두산백과

 

 

 

10시 00분 - 2014 문경새재 맨발 페스티벌이 진행되고...

 

10시 02분 - 초곡천을 따라...

 

10시 04분 - '문경새재자연생태공원'...돌아올 땐 저곳으로...

 

10시 06분 - 문경새재 과거길

 

 

영남 제1관문 주흘관으로...

 

문경 조령 관문[聞慶 鳥嶺 關門]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상초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문.  

유형 : 유적
시대 : 조선
성격 : 관문
건립시기·연도 : 조선시대
크기(높이, 길이, 둘레, 깊이) : 홍예문(높이 3.6m, 너비 3.4m, 길이 5.4m)
소재지 :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상초리
문화재 지정번호 : 사적 제147호
문화재 지정일 : 1966년 3월 22일

 

내용

적 제147호.

문경에서 주흘산(主屹山, 1,106m)을 넘어 중원의 연풍(延豊)으로 빠져나가는

산골짜기 천험의 요지에 3개의 관문이 설치되어 있고, 관문을 따라 성벽이 축조되었다.

 

1708년(숙종 34)에 세운 제1관문에는 ‘主屹關(주흘관)’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정면 3칸, 측면 2칸에 협문 2개가 있는 누각은 팔작지붕으로,

높이 3.6m, 너비 3.4m, 길이 5.4m의 홍예문(虹霓門)과 좌우의 성벽이 옛 모습대로 남아 있으며,

성벽에는 총안(銃眼)이 있는 성가퀴(성 위에 낮게 쌓은 담)가 설비되었고, 오른쪽에 커다란 수구문(水口門)이 설치되었다.

 

제1관문에서 3㎞ 떨어진 곳에 제2관문인 조곡관(鳥谷關)과 중성(中城)이 있다.

 

중성은 1594년(선조 27)에 축성된 것이며,

제2관문의 누각은 정면 3칸, 측면 2칸에 좌우 협문이 3개 있으며 팔작지붕이다.

 

또, 숙종 때 북적(北賊)을 막기 위하여 소백산맥을 넘는 험로 중의 하나인 조령(鳥嶺)에 산성을 쌓았는데

이것이 지금의 제3관문, 즉 조령관이다.

누각은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좌우 협문 2개가 있으며 팔작지붕이다.

 

제1관문 이외 제2·3관문은 허물어져 축대만 남아 있던 것을

1975년 제2관문을, 1977년 제3관문을 각각 복원하였다.

 

임진왜란 때 신립(申砬)은 적의 진로를 차단함에 있어 험준한 조령을 막지 않고

충청북도 충주 탄금대(彈琴臺)에서 왜병을 맞아 싸우다가 패하고 말았다.

 

그 뒤 조정에서는 이 실책을 크게 후회하여 조령에 관문을 설치할 것을 꾸준히 논의해 오다가

숙종 때 비로소 3개의 관문을 설치하기에 이르렀다.

 

세 관문의 성안에는 군사들의 진지(鎭址)·군창지(軍倉址) 등이 지금도 남아 있으며,

경상감사가 교대할 때 교인(交印)하였다는 교구정지(交龜亭址)도 남아 있다.


출처  : 한민족문화대백과

 

 

 

문경 조령 관문[聞慶 鳥嶺 關門]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상초리(上草里) 소백산맥 조령(鳥嶺)에 있는 조선시대의 관문.

지정번호 : 사적 제147호
지정일 : 1966년 03월 22일
소재지: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상초리 555 
시대 : 조선
종류/분류 : 성곽
크기 면적 : 47,283㎡

 

1966년 3월 22일 사적 제147호로 지정되었다.

제1·제2·제3관문 및 부속성벽이다.

 

옛날에 영남에서 서울로 가려면 문경에서 주흘산(主屹山:1,106m)을 넘는 것이 보통이었다.

신라 때는 주흘산의 한 갈래인 대촉산(黛蜀山)을 넘어 계립령(鷄立嶺)으로 다녔고 조선 전기부터는 조령이 개척되었다.

 

임진왜란이 일어남으로써 이곳에 중국의 산해관(山海關)과 같은 방위시설을 축조해야 한다는 논의를 낳았다.

현지 실측(實測)이 시행되고, 1594년(선조 27) 영의정 류성룡(柳成龍)이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충주 사람으로 수문장(守門將) 출신인 신충원(辛忠元)이 조정의 결정에 앞서 조령에 머물면서 단독으로 설관(設關)에 착수하였다.

그가 이루어놓은 첫번째 시설이 지금의 중성(中城)이다.

중성은 1708년(숙종 34) 크게 중창(重創)되었는데, 이것이 곧 제2관문이다.

 

숙종 때 제2관문에서 3km 떨어진 곳의 남적(南賊)을 방비할 제1관문을 세우고 초곡성(草谷城:主屹關)이라 하였다.

이들은 1890년대에 다시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육축(陸築)에는 홍예문(紅霓門)을 열고, 성벽에는 총구멍이 있는 성가퀴를 돌리고, 한쪽에 큼직한 수구문(水口門)을 뚫었다.

 

숙종 때 조령 재 위에 북적(北賊)을 막기 위하여 조령산성(鳥嶺山城)을 쌓았다.

이것이 곧 제3관문으로 현재 경북과 충북의 경계에 위치한다.

제3관문은 육축만 남겨 놓은 채 불타버려 1977년 복원하였다.

 

제1·제2·제3관문은 양쪽 산의 골짜기에 위치하며 관문 좌우의 성벽은 능선을 따라 우회한다.

높은 봉우리 6분선(分線)에서 끝났다가 다음 골짜기에서 다시 이어져 초곡·중성·조령산성의 성벽을 이룬다.

 

동화원(桐華院)을 비롯하여 진(鎭)과 군창(軍倉)의 터가 있고,

경상감사(慶尙監司) 신임·후임자가 서로 교인(交印)했다는 교구정(交龜亭)의 터도 남아 있다.

문경시에서 관리하고 있다.

 

출처  : 두산백과

 

 

10시 09분 - 곡충골 계곡물이 주흘관 우측 수구문에서 흘러 나와 주흘교 아래로 흐르고...

 

10시 09분 - 주흘관

 

주흘산 주흘관[主屹山 主屹關]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상초리에 있는 관문(關門)으로 영남에서 서울로 가는 길목에 있는 첫 번째 관문이다. 
 
지정종목 사적
지정번호 사적 제147호
지정일 1966년 03월 22일
소재지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상초리 555
시대 조선
종류/분류 관문
크기 면적 47,283㎥

 

사적 제147호로 지정된 문경 조령 관문(聞慶 鳥嶺 關門) 중 첫 번째 관문이다.

임진왜란 이후 관문 설치의 필요성에 따라 많은 논란 끝에 1708년(숙종 34년)에 석성과 함께 세워졌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기와지붕이며 좌우에 협문이 각각 1개씩 있다.

중앙에 높이 3.6m, 너비 3.4m, 길이 5.4m의 홍예문이 있으며

좌우에 높이 4.5m, 폭 3.4m, 길이 188m의 석성을 축조했다.

 

개울물을 흘려보내는 수구문이 있으며 뒤편에는 영남제일관(嶺南第一關)이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3개의 관문 중 가장 옛 모습을 지니고 있다.

 

출처 : 두산백과

 

영남제일관

 

10시 10분 - 경북개도100주년 타임캡슐광장에서 우측 곡충골 방향으로...

 

 

10시 11분 -

 

주흘산 등산안내도를 클릭하면 확대됨.

 

10시 12분 - 신길원 현감 충렬사[申吉元 縣監 忠烈祠]

 

신길원 현감 충렬사[申吉元 縣監 忠烈祠]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상초리에 있는 사당으로 임진왜란 때 문경에서 왜적을 저지하다 순국한 신길원 현감을 배향한 곳이다. 
 
임진왜란 때 문경에서 왜적을 저지하다 순국한 신길원 현감을 배향하기 위해

1826년(순조 26)에 문경현감 홍노영과 지역 유림이 문경읍 교촌리 문경향교 앞에 건립하였다.

 

1857년(철종 8)과 1981년 두 차례의 중수(重修)를 거쳐 1999년에 지금의 자리로 이전하였다.

지역유림에서 매년 제사를 지내고 있다.

 

신길원(申吉元)은 1590년(선조 23)에 문경현감으로 부임하였으며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관군 소수를 이끌고 왜적들과 맞서 싸우다가 1592년 4월 27일에 순국하였다.

 

나라에서는 그의 충절을 기려 좌승지를 추증하였으며 충렬비(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45호)를 세웠다.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상초리 154-1번지, 주흘관 뒤에 있다.

 

출처  : 두산백과

 

 

10시 13분 -

 

10시 20분 -

 

10시 21분 - 작은 폭포와 소(沼)를 만나고..

 

10시 22분 -

 

10시 23분 - 여궁휴게소가 보이네...

 

10시 24분 - 갈림길에서 여궁폭포 방향으로...

 

 

10시 25분 -

 

10시 27분 - 목교를 건너...

 

10시 27분 -

 

 

10시 28분 -

 

10시 29분 -

 

10시 30분 - 나뭇가지 사이로 여궁폭포가 보이네...

 

10시 31분 - 클릭하면 확대됨.

 

10시 31분 -

 

10시 32분 - 여궁폭포와 파랑소

 

여궁폭포[女宮瀑布]
 문경새재 내에 있는 폭포로 주흘산으로 오르는 혜국사 옛길에 있다. 
 
문경새재 제1관문인 주흘관을 지나서 주흘산으로 가는 등산로를 따라 800여m를 오르다 보면 혜국사 못미처에 있다.

폭포는 보이지 않고 물이 떨어지는 소리를 따라 오르면 갑자기 높이 치솟은 절벽이 막아서며

약 20m의 높이에서 바위와 바위 사이 좁게 파인 홈으로 수정같이 맑은 물이 좁고 길게 쏟아진다.
 
밑에서 올려다보면 생긴 모양이 여인의 하반신과 흡사하여 여궁폭포라 이름 지었다고 하며 여심폭포라고도 한다.

마을 사람들은 파랑소라고 부른다고 한다.

 하늘에서 내려온 일곱 선녀가 목욕하던 곳이라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폭포 주변의 멋진 노송들과 기암절벽의 풍치가 어우러져 수려한 경관을 이룬다.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상초리 산35 번지에 있다.

 

출처 : 두산백과

 

 

 

 

 

 

 

10시 34분 - 여궁폭포교를 건너...

 

 

10시 35분 - 기목/괴목

 

 

 

10시 38분 -

 

갈림길에서 혜국사 방향으로...

 

 

10시 40분 -

 

 

10시 43분 - 전망대에서 휴식하는 산객들...

 

 

 

10시 46분 -

 

 

 

10시 49분 -

 

계곡 합수점에서 쌍폭을 만나고...

 

 

10시 50분 - 아치교(맥가이버 임의명명)

 

 

 

 

10시 53분 -

 

 

10시 56분 -

 

10시 57분 - 혜국사 아래 구름다리에서...

 

 

혜국사


혜국사[惠國寺]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상초리 주흘산(主屹山)에 있는 사찰. 

 

종파 : 대한불교조계종

창건시기 : 9세기

창건자 : 체징

소재지 : 경북 문경시 문경읍 상초리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의 말사이다.

846년(신라 문성왕 8) 체징(體澄)이 창건하였으며, 창건 당시에는 법흥사(法興寺)라고 하였다.

고려 말에 홍건적의 난이 일어났을 때 공민왕(재위 1351∼1374)이 이곳으로 피난하였다고 한다.

1592년(조선 선조 25) 임진왜란 때 이 절의 승려들이 크게 활약하여 나라에서 절 이름을 혜국사로 바꾸었다.

 

임진왜란 당시에 청허(淸虛)와 송운(松雲)·기허(騎虛) 등이 이 절에 머물며 승병을 지도했다고 한다.

산내 암자로 안정암(安靜庵)이 있으며, 건물로 대웅전·관음전·산신각·큰방·요사(요사채) 등이 있다.

이 중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양식으로 내부에 아미타불이 봉안되어 있다.

 

아미타불의 좌우에는 각각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 협시보살로 있는데,

보관 장식은 화려하지만 영락 등의 장식이 전혀 없으며, 육계가 아닌 상투의 형상을 뚜렷이 하고 있다.

관세음보살은 오른손에 감로수병을 들고 있으며,

불단의 왼쪽에는 신중단(신중탱)을, 오른쪽에는 지장단(지장탱)과 영단을 두고 있다.

 

종래 대웅전이었던 현재의 관음전에는 백의관음탱이 걸려있고,

작은 금동 관세음보살이 유리곽 안에 봉안되어 있다.

크기는 작지만 가슴에 간략화된 형태의 영락 매듭 장식이 있고,

옷의 주름 흘러내림이 유연하며 높다란 상투 등이 잘 나타나고 있다. 

 

유물로 조선 후기에 조성된 부도 4기가 남아 있다.  

 

출처 : 두산백과

 

 

11시 06분 - 대궐샘/대궐터 방향으로...

 

클릭하면 확대됨.

 

11시 09분 -

 

11시 11분 -

 

11시 14분 -

 

11시 17분 -

 

11시 19분 -

 

11시 20분 -

 

11시 21분 - 안정암

 

 

클릭하면 확대됨.

 

11시 23분 -

 

11시 26분 -

 

11시 31분 -

 

11시 35분 -

 

둘이 하나되어...

 

11시 38분 -

 

11시 40분 -

 

11시 41분 - 주흘산 (1)지점

 

11시 43분 -

 

11시 44분 -

 

 물봉선

 

11시 45분 -

 

 

11시 54분 -

 

11시 55분 - 대궐샘

 

 

 

대궐터엔 용도 모를 천막집이...

 

데크계단을 만들어 놓고 등산로를 폐쇄하다니...

 

11시 58분 - 우회로를 따라...

 

 

12시 01분 -

 

12시 04분 -

 

12시 04분 -

 

12시 06분 -

 

12시 10분 -

 

 

12시 11분 -

 

12시 15분 - 묘지 우회로 안내판

 

12시 17분 -

 

12시 18분 - 대궐터능선을 만나고...좀전에 대궐샘부근의 데크계단을 따라 오르면 이곳으로 오게 되는 듯...

 

 

12시 19분 -

 

12시 20분 -

 

12시 22분 -

 

12시 23분 -

 

12시 24분 -

 

12시 26분 - 전좌문

 

 

 

 

12시 28분 -

 

12시 30분 - 주흘산 주봉ㆍ영봉 갈림길

 

 

 

12시 31분 -

 

12시 32분 - 주흘산 주봉(1075m)에 도착...

 

주흘산 주봉 정상석

 

 

☞ 여기서 문경 주흘산 산행&문경새재길 걷기(여궁폭포-주흘주봉-주흘영봉-꽃밭서덜-조곡관-주흘관)를 다녀오다 - 1부를 마치고...

 

 

2014년 08월 23일(토)

맥가이버의 낭만산행 - 문경 주흘산 산행&문경새재길 걷기(여궁폭포-주흘주봉-주흘영봉-꽃밭서덜-조곡관-주흘관)를 다녀오다
 
-▥☞ 1부[문경새재주차장→주흘관→여궁폭포→혜국사→대궐터/대궐샘→대궐터능선(해발989m)→주흘산 주봉(1075m)]는 여기를 클릭.☜▥-
 

-▥☞ 2부[주흘산 주봉(1075m)→주흘산 영봉(1106m)→조곡골 계곡합수부→꽃밭서덜(해발615m)→조령2관문(조곡관)]는 여기를 클릭.☜▥-

 

-▥☞ 3부[조곡관→조곡폭포→꾸구리바위→교귀정→조령원터→지름틀바우→주흘관→자연생태공원→문경새재 주차장]는 여기를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