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행·도보여행정보☞/♡ 산행·여행 지도 & 정보

[9월 마운스토리] 폭포와 억새 어울린 초가을 산행지(명성산/용화산)

by 맥가이버 Macgyver 2020. 9. 2.

[9월 마운스토리] 폭포와 억새 어울린 초가을 산행지(명성산/용화산)

 

조선 최대 사대부 김창흡의 은둔지…옛 지명 용화산이 어찌 명성산 됐는지 아무도 몰라

명성산은 과거 용화산이란 지명으로 불렸으나 언제, 어떻게 명성산으로 정착됐는지 정확히 알 수 없다. 궁예와 김창흡의 자취가 서린 명성산은 가을 정취를 물씬 풍기는 억새와 함께 역사를 돌아보는 가을 산행지로 꼽힌다.

 

폭포와 호수, 그리고 억새가 어우러진 산, 명성산鳴聲山(922.6m). 거기에 후삼국 궁예의 전설까지 깃들어 있다면 차분하게 가을맞이 준비를 하며 역사를 뒤돌아보는 산행이 어울리지 않을까 싶다. 억새가 가을을 상징한다면 역사는 시대와 인생을 돌아보는 계기를 제공한다. 더위가 한풀 꺾이고 아침저녁으로 다소 쌀쌀하게 느껴지는 바람은 활동을 일순 멈추고 인생을 돌아보는 정취에 젖게 한다. 그게 가을이다. 명성산이 9월 산행에 적격인 이유다. 더욱이 9월 말부터 10월 초까지 매년 억새축제가 열리는데 올해는 코로나19 때문에 개최여부가 아직 불투명하다.

 

9월까지 늦더위가 있다면 폭포가 있는 산정호수 코스로 오르면 좋다. 비선폭포와 등룡폭포를 거쳐 억새밭을 지나 정상에 오르는 코스다. 용화저수지 방향으로 석천곡을 지나 명성산으로 향하는 코스도 적극 추천한다. 삼연 김창흡 선생이 남긴 <석천곡기>(삼연집 권24에 수록)에 기록된 코스가 바로 이 코스이기 때문이다. 삼연의 발자취뿐만 아니라 가을의 정취를 물씬 느낄 수 있다. 철원군청에서는 지난 2014년부터 삼연이 걸었던 루트를 찾아 삼부연폭포~용화마을~명성산 석천계곡~느치계곡으로 이어지는 숲길 10여 km를 ‘산소길’이라 명명해서 복원했다. 잘 정비돼 있어 등산하기에도 좋다.

 

가을로 접어드는 시기는 음양오행적으로 양기운이 쇠衰하고 음기운이 성盛하는 계절이다. 사람의 신체도 덩달아 음기운으로 순환하는 순간이다. 풍수지리적으로 명성산은 와우산臥牛山의 형세를 띠고 있다. 소가 누워 있는 형국이다. 소가 누워 있으면 자고로 편한 자세이고, 명당이라는 의미다. 산세는 유순하고 완만하다. 정상에는 두 개의 쇠뿔이 우뚝 솟아 있다. 소머리 형세다. 정수리에서 남쪽으로 길게 늘어진 주능선을 소의 등허리로 본다. <정감록>에 나오는 우복동이 바로 소의 배腹 위치에 있는 명당자리이다. 명성산의 우복동은 어디일까? 그곳을 찾아 가는 산행도 재미있을 듯하다. 명성산 남쪽 삼각봉에서 하산방향으로 추측한다.

 

명성산 지명유래는 일반적으로 ‘우는 소리가 들려 울음산이라고 한다’ 정도로 알려져 있지만 각 기관마다 다소 차이가 있어 매우 혼란스럽다. 철원과 포천 홈페이지와 강원도 지명유래집도 제각각이다.

 

포천시청 홈페이지에는 다음과 같이 소개한다.

‘명성산은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과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에 경계한 산으로, 통일신라의 마의태자가 망국의 한을 품고 이 산을 지나 금강산으로 갈 때 보고 울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경기 북부의 대표적인 산으로, 산 속에는 억새가 자라며, 산자락은 산정호수를 끼고 있어 산을 찾는 이들에게 편안하고 즐거운 느낌을 전해준다. 남북으로 뻗은 주능선을 기준으로 서쪽은 경사가 급해 산행이 조금 어려운 반면 바위가 발달해 웅장한 경관을 볼 수 있다. 동쪽은 경사가 완만하고 흙이 많아 대체로 편안한 산행을 즐길 수 있으며, 억새가 무성해 가을 산행지로 인기가 있다. (후략)’

 

명성산 정상 삼각봉 비석.

 

 

김창흡, 석천계곡 찾아 <석천곡기> 남겨

철원군청 홈페이지는 포천과는 다소 다르다.

‘일명 울음산이라고도 부르는 명성산은 철원평야의 동남단을 위압하는 해발 922.6m의 명산이다. 산세는 광주산맥에 속하며, 산형은 기암절벽으로 울창한데…, (중략)

 

명성산 또는 울음산으로 부르게 된 데에는 다음과 같은 일화가 전한다. 옛날 태봉국의 궁예가 철원 풍천원에 도읍을 정하고 통치하던 중 지나친 폭정으로 인심을 잃고 부하들에게 왕위를 빼앗기자 여기까지 피신해서 왕건과 대치하던 중 기력이 쇠퇴해 부득이 이 산중에서 부하군사들과 해산을 하게 됐는데, 이때 심복들이 슬퍼 통곡했다고 하며, 그 후 가끔 이 산중에서 슬픈 울음소리가 들려 왔다고 한다. 지금도 이 산중에는 궁예가 은거했던 성지 등 유적 일부가 남아 있다.’

 

지명유래가 마의태자와 궁예로 차이가 있다. 철원은 궁예가 후고구려의 도읍으로 정했기 때문인지 궁예 관련 내용을 많이 소개한다.

 

강원도 <지명유래집>에도 궁예 관련 유래로 설명하고 있다. 그래서 궁예 관련 지명이 많다고 설명한다. 궁예왕굴은 상봉에 위치한 자연동굴로 궁예가 왕건에게 쫓겨 은신하던 곳. 항서받골降書谷은 궁예 군사에게 항복하는 항서를 받은 곳, 가는골敗走谷은 궁예가 단신으로 이 골짜기를 지나 평강으로 도망갔다고 해서 패주골, 또는 가늘골이라 불리게 됐다고 전한다.

 

눌치訥雉는 궁예가 도주하면서 흐느껴 울었다는 곳으로 느치라고도 불린다. 또 잃어버린 나라를 쳐다보며 회한에 잠겼다는 국망봉, 왕건의 군사에게 쫓겨 달아날 때 길이 험해 말을 버리고 달아났다는 도마치봉道馬峙峯, 옷깃을 헤치고 울었다는 명성산 등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지명유래의 근거는 진위여부를 차치하고 <삼국사기>권50 궁예편에서 일부 엿볼 수 있다.

‘궁예가 왕건 세력에게 축출된 다음 평민 차림으로 변복을 하고 달아나는 길에 지금의 평강 지역인 부양斧壤의 백성들에게 살해당했다고 한다.’

 

 

궁예 관련 지명은 근거 없는 게 많아

부양은 지금 명성산 북쪽 고석정과 삼부연 일대를 말한다. 삼국시대부터 이러한 지명이 등장했으면 당연히 고문헌이나 지도에 기록이 나와야 한다. 명성산이란 지명 자체가 없다. 아예 다른 지명으로 나온다. 용화산龍華山이다.

 

<대동여지도>에도 삼부연 폭포 밑에 용화산이란 지명이 그대로 표기되어 있다. 조선 중기(1530년 발간) 관찬지리서인 <신증동국여지승람> 철원도호부 낭천현 편에 ‘용화산은 현 남쪽 22리에 있다’고 소개된다.

 

여러 문헌에서 명성산이란 지명 자체가 어디에도 등장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포천시청·철원군청 및 <지명유래집>은 전부 근거 없는 유래로 설명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명을 결정하는 국토지리정보원도 그 유래에 대해서 모르기는 마찬가지다. 담당자는 “관할 지자체에서 조사한 뒤 지명을 올리면 심사한 뒤 결정한다. 우리는 올라온 지명을 놓고 심사를 할 뿐이지 유래가 어떻게 되고, 근거가 무엇인지에 대한 문제는 따지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1680년대 초에 발간된 <동여비고>에는 용화산이나 명성산 모두 표시돼 있지 않다. 단지 용화사라는 절만 비슷한 지점에 나와 있을 뿐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보다 200여 년 뒤에 나온 <여지도서> (1760년 전후 발간) 철원도호부 산천조에 ‘삼부연三釜淵은 용화산에 있다. 여러 시내가 뒤섞여 모여 갈수록 깊고 점점 커지다가 석벽에 거꾸로 걸리면서 문득 3층의 돌구덩이를 만들었다. 그 깊이는 알 수 없는데 모양은 세 개의 가마솥과 같으므로 그렇게 부른다. 곧 기우처祈雨處이다’라는 기록이 있다.

 

조선 숙종 때 김창흡(1653~1722)이 이곳에서 은거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창흡의 증조부는 좌의정 김상헌, 부친이 영의정 김수항, 형이 영의정을 지낸 김창집, 둘째 형이 예조판서를 지낸 김창협, 그리고 동생 3명도 모두 명문장가로서 6형제를 ‘육창六昌’으로 불렀다. 성리학의 대가이자 명문장가, 조선 최대 사대부로서 명성을 떨쳤지만 정작 그는 관직을 접고 은둔생활을 했다. 그 은둔장소가 바로 삼부연(용화산)과 백운산 일대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창흡의 호 삼연은 삼부연에서 부釜를 빼고 사용했다고 전한다. 그가 남긴 ‘영천靈泉’이란 시에서는 명성산鳴城山(지금의 ‘聲’과 다르다)이란 지명이 나오고, 남긴 기행문에는 용화산이란 지명이 등장한다. ‘천하의 약수를 맛보기 위해, 명성산에 도착하려고 나섰다’고 나온다. 앞에서 언급한 삼연의 <석천곡기>에 ‘용화산을 지나 용화사 승려를 따라 석천사~석천계곡을 따라 올라갔다’는 내용이 남아 있다.

 

그렇다면 다른 문집을 찾아보자. 김창집이 그의 아버지 김수항과 함께 엮은 <문곡집>에는 삼부연에 가서 그 절경에 흠뻑 취한 여흥을 기록으로 남겼다. 조선 후기 학자이자 문신인 성해응(1760~1839)이 남긴 <연경재전집>권9에 철성산수기에 ‘깊은 승경을 즐기기 위해 명성산에 있는 석천암으로 향했다. 용화 정씨마을이 삼부연의 발원지에 있다(후략)’ 고 나온다. 그 발원지가 지금 용화저수지라는 것이다. 용화저수지에서 내려간 물이 삼부연을 거쳐 임진강으로 향한다.

 

조선 후기 문신이자 학자인 한장석의 시문집 <미산집眉山集>에도 삼부연과 용화산이 등장한다. ‘(전략) 비를 무릅쓰고 와서 삼부연 폭포를 구경했는데, (중략) 도원에 다시 오려던 오랜 계획 어긋났으니, 세속 일로 부끄럽게도 무릉의 신선을 저버렸네. 다시 왔지만 용화산으로 들어가지 못했다’고 나온다.

 

 

용화산은 삼부연에서 용이 승천한 데서 유래

그런데 용화라는 지명유래도 재미있다. ‘세 번 꺾어져 쏟아지는 폭포인 삼부연에서 세 마리의 이무기가 용으로 승천했다’고 해서 용화라 명명됐다고 전한다. 용화동이나 용화산은 여기서 유래했다고 한다. 출처는 불명확하지만 그럴 듯한 설명이다. 용화저수지, 용화동, 용화터널은 지금도 존재하는 지명이다.

 

따라서 용화산이란 지명은 문헌이나 옛 지도를 볼 때 조선 초기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다 조선 중기부터 지금과는 한자가 다른 ‘鳴城山’이란 지명으로 용화산과 같이 사용한 듯하다. 개인문집이나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조선 후기 19세기 초에 지방별로 발간된 <광여도>에만 유일하게 지금과 같은 ‘鳴聲山’이란 표기가 등장한다.

 

일제 강점기에도 ‘龍華山’과 ‘鳴城山’을 혼용한 사실을 1911년 조선총독부에서 한반도 지리를 정리하기 위해서 발간한 <조선지지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자료 산악명에는 철원 ‘鳴城山’으로, 주소지의 산곡명에는 철원군 갈말면 용화리 ‘龍華山’으로 기록하고 있다. 같은 산을 두고 두 개의 이름을 그대로 기재하고 있는 것이다. 일산이명一山二名이다. 그런데 그 두 개의 지명이 전혀 다른 근원을 가지고 있는 게 문제다.

 

임병순 철원 향토연구소 소장은 “명성산은 과거 용화산이란 지명으로 사용한 듯하다. 우리도 계속 확인하고 있지만 딱 맞아 떨어지는 기록을 찾을 수 없다. 용화란 지명이 아직 다양하게 남아 사용되고 있는 걸로 봐서 용화산이란 지명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명성산이란 지명도 간혹 등장해 하나로 단정하긴 힘든 상황이다”고 말했다.

 

강원대 강원한문고전연구소 소장 권혁진 박사도 “김창흡 선생이 남긴 <석천곡기>를 따라 가기 위해 춘천 용화산을 찾은 적 있는 데 도무지 맞는 지명이 없었다. 철원 명성산이 용화산이란 사실도 그제야 알았다. 삼연 선생의 은둔처가 용화저수지 인근 진사골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사용하는 명성산이라는 지명과 한자가 언제 정착됐는지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조선 중기부터 옛 지명 용화산을 명성산과 혼용해서 쓰다가 조선 후기 들어서 명성산이 간혹 등장하다 현대 들어서 현재의 지명으로 궁예와 스토리텔링 하면서 완전 정착한 것으로 파악된다. 일제 강점기 때 일방적으로 왜곡된 것도 아니고, 원래 없었던 지명이 갑자기 생긴 것도 아닌 것으로 확인된다.

 

어쨌든 명성산은 억새라는 가을 정취와 더불어 궁예의 자취와 김창흡의 은둔 장소로서 역사적 의미를 가진다. 거기에 삼부연이라는 국가지정 명승과 석천계곡, 용화사 등을 찾아 가는 재미도 있을 것 같다. 명성산은 이래저래 가을산의 정취를 물씬 풍긴다.

 

삼부연은 국가지정 명승지로서 경관을 자랑할 뿐 아니라 김창흡 선생이 즐겨 찾았던 곳으로 유명하다.

 

글 박정원 선임기자 사진 C영상미디어

 

Copyrights ⓒ 월간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