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11일(수)
서달산둘레길ㆍ현충원둘레길 이어 걷기 & 서울현충원 4대통령 묘소ㆍ창빈안씨묘소ㆍ충혼당 참배를 다녀와서...

'서달산둘레길ㆍ현충원둘레길 이어 걷기 & 서울현충원 4대통령 묘소ㆍ창빈안씨묘소ㆍ충혼당 참배' 코스
동작역 3번 출구→서달산둘레길/동작충효길 현충원길 입구→데크계단→데크계단 정상쉼터→이수폭포 갈림길→갯마을갈림길→효도 전화 의자→메모리얼게이트→동작통문 입구→정금마을 갈림길→어머니를 업고 있는 아들 동상→사당유니드아파트 갈림길→동작초교 갈림길→사당극동아파트 갈림길→사당통문→삼일공원 갈림길→상도통문→서달산 정상(동작정)→동작대→서달산 달마사 거북바위→달마사→진여문→덕수봉→흑석통문→비개통문/비계飛鷄통문→정은사→정은사입구→서울현충원 관사→열린청룡놀이터→아람길 은행나무길→부안군 이석수 묘역(출입불가)→경찰충혼탑→아람길 약수터→호국지장사 입구→매점→아리수(수돗물)→솔내길 은행나무길→배롱나무길→호국부자의묘→현충관→선양광장→충혼승천상→현충지→현충천 구름다리→정국교→정난교→수충교→이승만대통령묘소→창빈안씨신도비부묘소→김대중대통령묘소→박정희대통령묘소→공작지→박정희대통령 영구차보존관→제2충혼당→제1충혼당→김영삼대통령묘소→제3장군묘역→국무총리 박태준묘→무궁화길→현충탑(영현승천상)→현충문→수양벚나무길→기념관터→꽃시계→충성분수대→종합민원실→서울현충원 정문→동작역




오늘은
'서달산둘레길ㆍ현충원둘레길 이어 걷기 & 서울현충원 4대통령 묘소ㆍ창빈안씨묘소ㆍ충혼당 참배'를 위해 길을 나선다.


▼ 서달산 달마사 진여문에서...































































부안군 이석수 묘역 扶安君 李碩壽 墓域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 유적/능묘
지역 :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시대 : 조선/조선
집필자 : 엄기석
[정의]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에 있는 조선 시대 왕족 이석수와 부인 평강 채씨 등의 가족 분묘로 구성된 묘역.
[개설]
부안군 이석수 묘역에는 부안군(扶安君) 이석수(李碩壽)[1524~1598]와 그 부인인 현부인(縣夫人) 평강 채씨(平康 蔡氏)의 분묘가 나란히 자리하고 있다.
부안군 이석수는 성종과 명빈(明嬪) 김씨(金氏) 사이에서 태어난 무산군(茂山君)[1490~1525]의 아들이다. 처음에는 창선대부(彰善大夫) 부안정(扶安正)을 제수 받았다.
1544년(중종 39) 중종이 승하한 후 중종의 혼전(魂殿)에 입직한 공로로 명선대부(明善大夫) 도정(都正)에 올랐으며, 임진왜란 때는 선조를 호위한 공으로 선무종훈(宣武從勳)에 수록되어 공신이 되었다.
한양 수복 이후에는 임진왜란으로 선릉(宣陵)과 정릉(靖陵)이 훼손되자 중종의 장례 과정에 참여한 이석수가 왕릉을 봉심(奉審)하는 역할을 맡기도 하였다.
[위치]
부안군 이석수 묘역은 현재 국립서울현충원 안에 있는 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210[동작동 산41-2]에 위치하고 있다.
[변천]
부안군 이석수 묘역은 1598년(선조 31)에 이석수가 세상을 떠났을 때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727년(영조 3)에 묘비가 세워졌는데, 이때 묘역의 정비가 다시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형태]
묘역에는 부안군 이석수와 평강 채씨의 봉분이 나란히 자리하고 있으며 두 봉분 사이에 묘비가 세워져 있다.
이 외에도 혼유석(魂遊石)·상석(床石)·향로석(香爐石) 등이 놓여 있고, 문인석 2기가 좌우에 1기씩 배치되어 있다.
묘역 내에는 손자인 순안군(順安君) 이선룡(李善龍)과 현부인(縣夫人) 남원 윤씨(南原 尹氏)의 묘 등 총 4기의 분묘와 석물 6기가 함께 조성되어 있다.
[금석문]
부안군 이석수의 묘와 평강 채씨 묘 앞 중간에 묘비가 세워져 있다.
묘비는 농대가첨석(籠臺加檐石) 양식이며, 대좌와 비신, 옥개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신 앞면에는 해서(楷書)로 ‘증정의대부부안군행명선대부부안도정석수지묘(贈正義大夫扶安君行明善大夫扶安都正碩壽之墓) 증현부인평강채씨 부좌(贈縣夫人平康蔡氏 祔左)’라고 쓰여 있다.
이를 통해 묘주가 부안군 이석수와 평강 채씨임을 밝히고 있다.
비는 5대손인 진사 이태제(李泰齊)에 의해서 1727년(영조 3) 3월에 세워졌다.
[현황]
2005년 9월 15일 부안군 이석수·평강 채씨의 분묘 2기와 함께 조성된 석물이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제29호로 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부안군 이석수 묘역은 18세기에 재정비되어 당시의 석비 조성 양식을 보여주고 있으며, 향로석·상석·문인석 등도 원형이 잘 유지되어 문화재로 가치가 있다.
출처 : 디지털동작문화대전











































































































☞ 여기서 '서달산둘레길ㆍ현충원둘레길 이어 걷기 & 서울현충원 4대통령 묘소ㆍ창빈안씨묘소ㆍ충혼당 참배 - 2부'를 마치고...


서달산둘레길ㆍ현충원둘레길 이어 걷기 & 서울현충원 4대통령 묘소ㆍ창빈안씨묘소ㆍ충혼당 참배를 다녀오다.
▣ 1부[동작역→서달산둘레길입구→사당통문→상도통문→서달산→동작대→거북바위→달마사]
는 http://macgyver-dct.tistory.com/16164274 ☜클릭
▣ 2부[달마사→덕수봉→흑석통문→청룡놀이터→경찰충혼탑→솔내길→현충지→이대통령묘소]
는 http://macgyver-dct.tistory.com/16164275 ☜클릭
▣ 3부[이대통령묘소→김대중대통령묘소→박대통령묘소→충혼당→김영삼대통령묘소→동작역]
는 http://macgyver-dct.tistory.com/16164276 ☜클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