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행 사진 후기☞/♤ 경기 남양주의 산&길

[20250223] 남양주 역사탐방 - 흥원ㆍ백봉산(묘적산)ㆍ홍릉ㆍ유릉ㆍ영원ㆍ회인원ㆍ덕혜옹주묘ㆍ의친왕묘ㆍ이석영광장ㆍ리멤버1910 역사전시관) - 1부

by 맥가이버 Macgyver 2025. 2. 23.

02월 23일(일) 

남양주 역사탐방 - 흥원ㆍ백봉산(묘적산)ㆍ홍릉ㆍ유릉ㆍ영원ㆍ회인원ㆍ덕혜옹주묘ㆍ의친왕묘ㆍ이석영광장ㆍ리멤버1910 역사전시관)을 다녀와서...

'남양주 역사탐방 - 흥원ㆍ백봉산(묘적산)ㆍ홍릉ㆍ유릉ㆍ영원ㆍ회인원ㆍ덕혜옹주묘ㆍ의친왕묘ㆍ이석영광장ㆍ리멤버1910 역사전시관)' 코스

 

마석역 1번 출구양지세차장경춘로마석1리부녀회공판장흥원 북측입구흥원 사색길 따라흥원(흥선대원군묘)신도비국태공원소 표석납골묘흥원 정문창현4리마을회관창현편의점마트마석우천 징검다리배롱교굴다리GS칼텍스 성수주유소이안남양주아파트현대떡방앗간창현3리마을회관창현대주피오레아파트관리사무소 앞 통문백봉산 정상(4.92km) 이정목동원정사 갈림길(1)운동쉼터동원정사 갈림길(2)희락쉼터성황당사거리/녹촌리 갈림길(1)기계유씨묘역수리너머고개 갈림길마루쉼터(341m)나무계단녹촌리 갈림길(2)묘적사 갈림길정상아래쉼터백봉산 정상 전망대평내호평역/장내 갈림길수리봉(482m)벼락맞은바위일본목련쉼터돌탑+제단바위백천사 갈림길능선삼거리남양주시청 방향으로진곡사 갈림길급경사길약수터 갈림길홍유릉철문지능선삼거리백봉산등산로입구남양주시청금곡중학교금곡삼거리왯말공원홍유릉매표소유릉홍릉쪽문영원회인원덕혜옹주묘의친왕묘후궁묘역리멤버1910역사전시관/이석영광장금곡역

오늘은

남양주 역사탐방 - 흥원ㆍ백봉산(묘적산)ㆍ홍릉ㆍ유릉ㆍ영원ㆍ회인원ㆍ덕혜옹주묘ㆍ의친왕묘ㆍ이석영광장ㆍ리멤버1910 역사전시관)을 위해 길을 나선다.

 

 마석에서...

흥원(흥선대원왕) 興園(興宣大院王)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 유적/능묘

지역 :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창현리 산22-73

시대 : 근대/개항기

집필자 : 김민규

 

[정의]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창현리에 있는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묘.

 

[개설]

흥원(흥선대원왕)[興園(興宣大院王)]은 흥선대원왕 이하응(李昰應)[1820~1898]의 묘소이다.

이하응은 자()가 시백(時伯), ()는 석파(石坡)이며, 조선 제26대 고종(高宗)의 사친(私親)이다.

 

이하응의 아버지 남연군(南延君) 이구(李球)[1788~1836]는 인평대군(麟坪大君) 6대손이다.

남연군이 은신군(恩信君)의 양자(養子)가 되면서 남연군 일가는 영조(英祖)의 현손(玄孫)으로 종친이 되었다.

남연군의 넷째 아들 이하응은 1843 흥선군(興宣君)‘으로 봉해졌으며, 1865년 철종(哲宗)이 후사 없이 승하하자 이하응의 둘째 아들이 고종으로 즉위하였다.

이하응은 대원군(大院君)‘에 봉해지고 신정왕후(神貞王后)의 수렴청정을 도왔다.

이하응은 경복궁을 중건하고 쇄국 정책을 단행하였으며, 임오군란(壬午軍亂)[1882]으로 청() 톈진[天津]에서 4년간 유폐되기도 하였다.

 

1907년 이하응은 흥선대원왕(興宣大院王)’으로 추존되었으며 헌의(獻懿)’라는 시호를 받았다.

부인 여흥부대부인(驪興府大夫人) 여흥 민씨(驪興 閔氏)[1818~1898] 여흥대원왕비(驪興大院王妃)’로 추증되고 순목(純穆)’이라는 시호를 받으며 묘소도 흥원(興園)’으로 높여졌다.

흥원(흥선대원왕) 1978 10 10일 경기도 기념물 제48호로 지정되었다.

그 후 2021 11 19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위치]

흥원(흥선대원왕)은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창현리 산22-73번지에 있다.

 

[변천]

흥원(흥선대원왕)이 최초로 조성된 것은 1898년으로 1898 1 8일 여흥부대부인이 사망하여 공덕리(孔德里)[현 서울시 마포구] 3 13일 안장(安葬)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1898 2 2일 이하응이 사망하면서 예장청(禮葬廳)이 합설되고, 3 26일 합동으로 안장되었다.

흥원(흥선대원왕) 1907 11월 천봉이 시작되어 1908 2월 마쳤으며, 파주 운천면(雲川面) 대덕동(大德洞)으로 옮겼다.

인조(仁祖) 장릉(長陵)의 옛터 국내(局內)였다.

이때 석물들은 1898년 제작한 것을 옮겨 사용하였으며, 신도비를 새로 사용하였다.

흥원(흥선대원왕)이 현재의 위치로 옮겨진 것은 1966년이며, 이하응의 큰아들 완흥군(完興君) 이재면(李載冕)의 묘소가 1920년 옮겨오면서 이하응 일가의 묘소 조성이 시작되었다.

 

[형태]

흥원(흥선대원왕)은 창현리의 이하응 일가 묘역 중 가장 북쪽에 있다.

봉분으로 올라가는 진입로에 흥원신도비(興園神道碑) 국태공원소(國太公園所)’ 표석이 건립되어 있다.

봉분은 합장(合葬) 단분(單墳)으로 호석(護石)이 둘러져 있으며, 석양(石羊)과 곡장(曲墻)이 뒤쪽으로 있다.

봉분 앞에는 상석(床石), 장명등(長明燈)이 있으며, 좌우로 망주석(望柱石), 문인석(文人石), 석마(石馬)가 차례로 건립되어 있다.

 

[금석문]

흥원(흥선대원왕)의 신도비는 개석귀부(蓋石龜趺) 형태이며, 1908년 건립되었다.

비문의 첫머리에 대한 흥선헌의대원왕 흥원신도비명(大韓 興宣獻懿大院王 興園神道碑銘)’이라고 새겨져 있다.

신도비의 글은 김학진(金鶴鎭)[1838~1917]이 짓고, 이재극(李載克)[1864~1927]이 썼다.

1905년 건립된 국태공원소 표석은 원부방부(圓首方趺) 형태와 유사하며, 앞면에 예서(隸書) 큰 글자로 국태공원소(國太公園所)’라고 쓰고 의미 서(意美書)’라고 하였는데 글씨를 쓴 의미가 누구인지 정확하지 않다.

 

[의의와 평가]

흥원(흥선대원왕)에는 조선 시대 묘제의 전통과 19세기 말 새로운 변화를 살필 수 있는 석물이 다수 제작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문인석은 전통적인 복두공복(幞頭公服)의 형태이지만 얼굴 표현에서 현대적 사실성이 엿보인다. 또한 장명등, 신도비 등은 전통적인 형태이지만 국태공원소 표석은 전통에서 벗어난 현대적인 모습이다.

 

출처 : 디지털남양주문화대전

 

흥원(흥선대원왕묘)

 

 주소 : 경기 남양주시 화도읍 폭포로17번길 63-104 (화도읍)

 지정종목 : 경기도 기념물 제48

 소재지 : 화도읍 창현리 산22-2

 

조선 말기에 개혁정치를 실시한 흥선대원왕(興宣大院王) 이하응(李昰應:1820~1898)의 묘이다.

그는 고종황제의 아버지로서 호는 석파(石坡), 시호는 헌의(獻懿)이다.

 

1863년 제25대 철종이 후사 없이 세상을 떠나자 신정왕후 조씨(헌종의 모)에 의해 그의 둘째 아들(고종)이 왕위에 오르게 되어 대원군에 봉해졌고, 그 후 섭정(攝政)을 하였으며 1907년 대원왕에 봉해졌다.

 

대원군은 국내외로 과감한 국정개혁에 착수하여 당파를 초월하여 인재를 등용하고, 외척 세도를 일소하였으며 서원을 철폐하여 당쟁의 폐를 없애는데 노력하였다.

중앙집권적 정치기강을 확립하고, 비변사(備邊司)를 폐지하여 의정부(議政府)의 기능을 부활시키고, 삼군부(三軍府)를 두어 행정권과 군사권을 분리시켰다.

 

또 세제 개혁 등을 통해 백성을 위한 정책을 꾀하려 하였다.

그러나 왕권을 회복하기 위한 경복궁 중건 사업을 무리하게 펼치면서 오히려 백성들의 원성을 사기도 하였다.

 

천주교 탄압과 함께 서양세력의 침략에 대비하여 서양의 통상 요청을 거부하면서 1866년 프랑스군의 병인양요와 1871년 미군의 신미양요에 맞서 격퇴시켰고, 일본의 국교 교섭 요구도 거부하는 등 강력한 대외정책을 폈다.

 

섭권 10년 만에 명성황후(明星皇后)와의 대립으로 1873년에 물러났다.

그 후 1882년 임오군란(壬午軍亂)이 일어나자 다시 집권하였으나, ()나라에 강제 납치되어 천진(天津) 4년간 갇혀 있기도 하였다.

 

대원군의 묘는 원래 1898년 고양군 공덕리에 장사지냈다가 1906년에 파주군 대덕리로 이장(移葬)되었으며 다시 1966년에 현재의 장소로 옮겨졌다.

 

능제는 조선의 능 · 원 제도에 따른 듯하나 간략하게 조성되었으며 봉분 주위에 석양, 석호가 놓여져 있고 그 앞에는 장명등을 비롯해 망주석과 문인석, 석마 등이 배치되어 있다.

 

출처 : 남양주시청(문화관광) 홈에서 가져 옴.

 

☞ 여기서 '남양주 역사탐방 - 흥원ㆍ백봉산(묘적산)ㆍ홍릉ㆍ유릉ㆍ영원ㆍ회인원ㆍ덕혜옹주묘ㆍ의친왕묘ㆍ이석영광장ㆍ리멤버1910 역사전시관) - 1부'를 마치고...

 

남양주 역사탐방 - 흥원ㆍ백봉산(묘적산)ㆍ홍릉ㆍ유릉ㆍ영원ㆍ회인원ㆍ덕혜옹주묘ㆍ의친왕묘ㆍ이석영광장ㆍ리멤버1910 역사전시관)을 다녀오다.

 

▣ 1부[마석역흥원배롱교백봉산 창현리들머리기계유씨묘마루쉼터묘적사갈림길]

 http://macgyver-dct.tistory.com/16164695 ☜클릭

 

▣ 2부[묘적사갈림길백봉산수리봉제단바위백천사갈림길홍유릉철문남양주시청]

 http://macgyver-dct.tistory.com/16164696 ☜클릭

 

▣ 3부[남양주시청금곡삼거리왯말공원유릉홍릉덕혜옹주묘리멤버1910금곡역]

 http://macgyver-dct.tistory.com/16164697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