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알고 싶어요☞/♧ 동물·식물

진달래, 참꽃, 두견화(杜鵑花), 산척촉(山躑蠋) / 꽃말 : 절제, 청렴, 사랑의 즐거움

by 맥가이버 Macgyver 2025. 3. 31.

진달래, 참꽃, 두견화(杜鵑花), 산척촉(山躑蠋) / 꽃말 : 절제, 청렴, 사랑의 즐거움

 

분류 : 진달래목 > 진달래과 > 진달래속

꽃색 : 붉은색, 자주색, 주황색

꽃말 : 절제, 청렴, 사랑의 즐거움

학명 :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개화기 : 4

 

분포지역

중국, 내몽고, 일본, 극동러시아; 전국 분포(저지대부터 아고산).

 

형태

낙엽 활엽 관목.

 

크기

높이 2 ~ 3m.

 

잎은 어긋나기하며 긴타원상이고 점첨두, 예형이며 길이와 폭이 각 4 ~ 7× 1.5 ~ 2.5로 톱니가 없으며, 표면에 비늘조각이 약간 있고, 뒷면에 비늘조각이 밀생하며 털이 발달하였고, 잎자루 길이는 6 ~ 10mm이다.

 

꽃은 3월 말 ~ 4월 말 개화하며 잎보다 먼저 피고, 꽃부리는 벌어진 깔때기모양이고 지름이 3 ~ 4.5cm로 보랏빛의 붉은색 또는 연한 붉은색이고, 겉에 잔털이 있다.

 

열매

열매는 삭과로 원통형이고 길이 2cm11월에 성숙한다.

 

줄기

줄기는 연한 갈색으로 비늘조각이 존재한다.

 

뿌리

굵은 뿌리를 뻗는다.

 

생육환경

저지대나 고산, 계곡변, 암석 위, 황폐지, 비옥지 등을 가리지 않고 어디서나 잘 자라고 내조성은 강하나 대기오염에 약해서 도심지에서는 생장이 불량하다.

건조지보다는 적습지에서 잘 자라고 음수로 양지에서도 잘 자라며, 노지에서 월동하고 16~30에서 잘 자란다.

 

번식방법

번식은 실생 및 무성생식으로 한다.

실생 : 가을에 익은 종자를 채취하여 기건저장 하였다가 봄에 이끼 위에 파종하며, 발아율이 높은 편이다.

무성생식 : 삽목으로도 증식이 가능하며 발근이 잘된다. 분주로도 행한다.

 

재배특성

이식이 용이하다.

 

용도

정원 또는 공원용수로 좋으며, 단식 또는 군식한다.

꽃잎은 생식하거나 술을 담근다.

(), () 또는 莖葉(경엽)白花映山紅(백화영산홍)이라 하며 약용한다.

꽃은 4, 뿌리는 9-10월에 각각 채취하여 신선한 채로 혹은 햇볕에 말려서 사용한다.

성분 : 꽃은 azalein과 소량의 azaleatin을 함유한다. 잎은 다종의 flavonoid quercetin, gossypetin, kaempferol, myricetin, azaleatindihydroquercetin을 함유한다. rhododendrol, p-hydroxybenzoic acid, protocatechuic acid, vanillic acidsyringic acid를 함유하며, 이 밖에 식물 속에서 o-pyrocatechuic acid가 발견되고 있다.

약효 : 和血(화혈), 散瘀(산어)의 효능이 있다. 吐血(토혈), 腸風下血(장풍하혈), 이질, 血崩(혈붕), 타박상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15-3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달인 ()으로 씻는다.

 

유사종

흰진달래 : 꽃이 흰색이다.

털진달래 : 일년생가지와 엽록, 잎몸 및 엽병에 털이 있다.

왕진달래 : 잎이 넓은 타원형 또는 원형이다.

반들진달래 : 잎 표면에 광택이 있고 양면에 사마귀 같은 돌기가 있다.

한라산진달래 : 열매가 약간 길고 가늘다.

 

특징

중생식생(中生植生)으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식생이다. 맹아력이 강하고 꽃이 잎보다 먼저 난다. 봄에 산 전체를 붉게 물들이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꽃나무로 뭇사람들의 시와 노래에 이야기거리로 등장한다.

 

[출처]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