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유적탐방후기☞/♣ 궁궐·왕릉·묘ㆍ원

[20070826]도심나들이(종묘-창경궁-대학로-청계천-서울광장) - 3편

by 맥가이버 Macgyver 2007. 8. 27.

 

19280

 

2007년 8월 26일(일) 휴일 오후 도심나들이(종묘-창경궁-대학로-청계천-서울광장)를 다녀오다.

 

오늘은 휴일 오후 도심나들이로 종로3가역에서 만나 세계문화유산인 종묘와 그리고 창경궁을 둘러보고...

대학로를 따라 걸어서 동대문까지 간 후, 청계천을 따라 청계광장을 거쳐 서울광장까지 다녀오는 여정이다.

 

1편 - [20070826]세계문화유산 '종묘'

2편 - [20070826]창경궁(구름다리-환경전-성종태실비) - 1부

3편 - [20070826]창경궁(성종태실비-춘당지-식물원) - 2부

4편 - [20070826]창경궁(명정전-숭문당-홍화문) - 3부

5편 - [20070826]젊음의 거리(대명거리-대학로-동대문)

6편 - [20070826]청계천(버들다리-청계광장-서울광장)

 

☞ 자세한 이야기는 맥가이버 블로그의 사진으로 대신한다.

 

 

☞ 3편[창경궁(성종태실비-춘당지-식물원) - 2부]을 시작하며... 

 

▼ 성종태실비

 

 

▼ 성종태실비

 

양화당의 동북쪽 구릉지 숲속에 위치하고 있다. 태실은 4각형의 지대석 위에 석종형(石鍾形)의 몸체를 놓고 8각형의 지붕돌을 얹었으며 상륜부(相輪部)는 보주로 장식하였다.

태실비는 태실 동쪽에 있는데 귀부(龜趺)와 비신(碑身), 이수를 갖추고 있고 비신 앞면에는 "성종대왕 태실"이라 새겨져 있다.

이들은 원래 조선 제9대 성종의 태를 묻은 곳인 경기도 광주군 경안면에 있었던 것인데 1930년 5월 전국에 있는 조선 역대 임금의 태실을 대부분 서삼릉으로 이봉하면서 이곳으로 옮겼다고 전한다. 
성종은 세조 3년(1457) 덕종의 둘째아들로 태어나 예종의 뒤를 이어 1469년 13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하였다. 그 뒤 25년동안 왕위에 있으면서 「경국대전」의 반포 등 조선의 문물 제도를 완비하는 데 힘을 기울였으며 특히 창경궁을 창건한 임금이기도 하다.

 

 

▼ 성종태실비 뒷면에는...

 

 

▼ 춘당지로 가는 길...

 

 

 

춘당지(春塘池)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관풍각은 풍년이 든 논을 바라보는 집이라는 뜻

자경전 터에서 북쪽으로 더 가면 두 개의 큰 연못이 나온다.

위의 연못은 넓이가 1107제곱미터이고,

아래 것은 6483제곱미터로 큰 연못에는 섬을 새로 돋우었다.
   이것은 1909년경에 일본식으로 고쳐 꾸민 것을 1986년에 원상대로 복원한 것으로 이 연못을 춘당지라고 한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자면 지금 그 연못이 전부 춘당지는 아니다.

연못이 워낙 커서 한눈에 전체 모양이 들어오지 않지만 허리가 잘록한 호리병 모양이다.
   그 잘록한  허리 윗부분만이 원래 춘당지이고 허리 아랫부분은 연못이 아니라 논이었다.

춘당지에서 나오는 개울의 양 옆에 각각 다섯 배미씩 열 배미의 논이 있었는데,

이 논은 내농포(內農圃)라고 부르던 것으로 왕이 직접 농사를 지어보면서 농정을 살피기 위한 것이었다. 
  일제로서는 그러한 논의 존재가 달가울리가 없었기에 파서 연못으로 이어 붙여 버린 것이다.

리고 그 연못에 배를 띄워 유원지로 삼았다.
춘당지 위에는 커다란 유리 건물로 된 식물원이 있다.

동물원과 함께 창경궁을 창경원으로 만들었던 대표적 구경거리였다. 

동물원은 과천 서울대공원으로 이전되었지만 식물원은 여전히 남아 있다.

 
춘당지 조성내력
 일찍이 태조 이성계가 한성에 천도했을 무렵 지금의 창경궁 터에 있는 동산에 파씨를 뿌린 일이 있었는데,

창경궁을 창건한 제 9대 성종임금 때에 그 동산에서 한줄기에 아홉가지가 뻗은 파가 돋아났다.

성종은 이것을 상서롭다고 여기고 그 파 둘레에 돌을 다듬어서 둘러 놓고 그 파를 소중히 키웠다.

  그 후 연산군 11년(1505)에 이 언저리의 넓은 터전에 대를 쌓아 이를 서총대라 하고 놀이터로 삼았다.

연산군은 서총대 쌓기 1년 전부터 전국 방방곡곡에 채홍사(採紅使)를 보내어

얼굴 예쁜 기생은 말할 것도 없고 반반한 어염집 부녀자까지 골라 뽑아서 서울로 데려오게 한 다음,

그들을 등급 매겨서 제 1급에 속한 미인은 운평, 제 2급은 흥청이라 하며

따로 창경궁 명정전 서쪽에 마련한 취흥원에서 살 게 하였다.
그리고는 이들과 어울려서 방탕한 놀이를 하기 위하여 높고 넓은 서총대를 쌓고 그 앞에 큰연못도 새로 팠다.
<연산군실록>12년 1월 22일 조에,

  '인정전을 짓게 하고 또 후원에 돌을 포개어 대를 높이 쌓아

그 둘레에는 용무늬를 아로새긴 돌난간을 두르게 하였다.

그때는 높이가 열길이나 되었는데 이를 이름 지어 서총대라 하고 또 대 앞에 큰 연못도 파게 하였다.

그때 동원된 역군이 무려 수만 명이나  되어 밤낮없이 부산한 소리가 천지를 진동하였다.'  라고 하였고

  2월 3일 조에서도,
  '서총대 앞의 연못을 열길 깊이로 파게 하여 큰배가 다닐 수 있게 하였는데,

가부장(假部長)이 일백명으로 늘어났으며 또 돌을 뜨는 벌석처가 열 곳이나 되었다.' 라고 한 것을 보면

그 공사의 규모가 엄청났던 것을 알 수 있다.

 

  <유문쇄록>에서는 이 때의 상황을 다음가 같이 적고 있다.
 '성종 때에 창경궁터 후원에 파가 났는데 한줄기에 아홉가지나 뻗어났으므로,

이를 상서로운 파라 여기고 돌을 다듬어 그 둘레에 둘리고 키웠는데

연산군이 이를 핑계삼아 그 넓은 들에 대를 쌓고 이름 지어서 서총대라 하였다.

  대를 쌓을 때 군인과 백성들을 지방 각도에서 징발하여 부역을 시키고,

또 징역세 명목으로 무명실로 짠 피륙을 한 없이 거두어들이니 백성들이 견디어 내지를 못하였다.

 심지어 입던 옷의 실올을 뽑아내어 그것으로 다시 포목을 짜서 바치니

그 때깔이 거무튀튀하고 정해진 길이, 즉 척수까지 모자랐다.

  그리하여 이 때부터 올이 거칠고 척수가 모자라는 포목을 일컬어 서총포라 하였다. 

호화로운 놀이터인 서총대는 연산군이 좇겨난지 불과 5개월만에 철폐되었는데 그 후로는 이를 춘당대라 하였다.'

  이러한 사실들은 <중종실록> 2년 윤 1월 기유조에,
'화양문과 서총대를 철페하게 하였다. 이것들은 모두 폐주 연산군이 건축한 것이다.' 라고 한 기록과

  11년 2월 7일 조에, '임금께서서 춘당대에 납시어 무신들이 활쏘는 것을 열병하였다.' 라고 한 기록,

그리고 39년 5월 3일 조에

'날이 가물어서 모화관 연못과 창경궁 춘당대 연못에서 차례로 기우제를 거행하게 하였다.'

  라고 한 기록 등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지금 창경궁 울 안 북쪽에 있는 큰 연못은 바로 연산군 때에 판 연못의 일부로 서총대를 축소하여 춘당대라 하면서 춘당지(春堂池)가 되었다가 다시 후에 춘당지(春塘池)로 불리어 오늘에 이른다.

 

- 퍼온 글 -

 

 

▼ 춘당지

 

▼ 능수버들 - 축처진 버들의 대명사는 수양버들이다. 수나라 양제가 양쯔강에 대운하를 만들고 언덕에 심은 버들이라 해서 수양버들이라고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축처진 버들은 대부분 능수버들이다.

 

 

 

 

 

 

 

 

 

▼ 저 앞에 떠가는 것은...

 

▼ 새끼원앙들이 어미를 따라...

 

▼ 팔각칠층석탑

 

 

▼ 호리병처럼 생긴 춘당지의 윗부분...

 

 

 

 

 

▼ 능수버들

버드나무(―科 Salicaceae)에 속하는 낙엽 활엽교목.

키가 20m에 달한다. 수피(樹皮)는 어두운 회색이며 세로로 갈라진다.
어린 가지는 황록색으로 해마다 2m씩 자라고 가지와 함께 밑으로 처진다.
잎은 좁은 피침형으로 길이 7~12㎝, 너비 10~17㎜ 정도이다.
잎 뒷면은 약간 흰색을 띠며 잎맥에는 잔털이 나 있다.
꽃은 4월에 암꽃과 수꽃이 따로따로 피는데 미상(尾狀)꽃차례로 무리져 달린다.
암꽃의 암술머리가 4갈래로 갈라졌다.
열매는 5월에 익고 길이 3㎜ 정도이며, 긴 털이 있어 바람에 날리는 것을 사람들이 꽃가루로 잘못 알고 있다.
어린가지가 밑으로 처져 자라는 점이 수양버들·개수양버들과 비슷하나
수양버들은 어린가지가 적갈색이며 개수양버들은 잎 뒤에 전혀 털이 없어 쉽게 구분된다.
버드나무는 가지가 밑으로 처지지 않고 어린가지에는 털이 있다가 없어지며
암술머리가 4갈래로 갈라진 점이 능수버들과 다르다.
인천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어 학계에 보고되었다.
물이 많은 곳에서 잘 자라고, 가로수나 風致樹로 널리 심고 있으며 목재는 가구나 나막신을 만드는 데 쓰인다.
申鉉哲 글

 

 ▼ 식물원 가는 길...

 

▼ 맥문동

 

▼ 식물원

 

 

▼ 이 나무는 ?

 

 

▼ 식물원 앞 분수대

 

 

▼ 기념사진을 찍고...

 

▼ 분수대 위에는...

 

▼ 분수대 바닥에는...

 

▼ 식물원 안으로...

 

 

 

 

 

 

 

 

 

▼ 청포도는 익어 가는데...

 

 

 

 

 

 

 

 

▼ 이 식물원이...

 

 

 ☞ 여기서 3편을 마치고...

 

 

 2007년 8월 26일(일)    
'휴일 오후 도심나들이(종묘-창경궁-대학로-청계천-서울광장)를 다녀오다'
 
-▥☞ 1편[세계문화유산 '종묘']를 보시려면 여기를 누르세요.☜▥-
 
-▥☞ 2편[창경궁(구름다리-환경전-성종태실비) - 1부]를 보시려면 여기를 누르세요.☜▥-
 
-▥☞ 3편[창경궁(성종태실비-춘당지-식물원) - 2부]를 보시려면 여기를 누르세요.☜▥-
 
-▥☞ 4편[창경궁(명정전-숭문당-홍화문) - 3부]를 보시려면 여기를 누르세요.☜▥-
 
-▥☞ 5편[젊음의 거리(대명거리-대학로-동대문)]를 보시려면 여기를 누르세요.☜▥- 
  
-▥☞ 6편[청계천(버들다리-청계광장-서울광장)]를 보시려면 여기를 누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