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행·등산사진후기☞/♤ 안산·인왕산·북악산·남산

[20090903]맥가이버의 달빛산행&달빛도보(신촌역에서 시청역까지) - 2부

by 맥가이버 Macgyver 2009. 9. 4.

 

29263

 

 2009년 09월 03일(목)  

'맥가이버의 달빛산행&달빛도보(신촌역에서 시청역까지)'를 다녀오다.

 

맥가이버의 달빛산행&달빛도보(신촌역에서 시청역까지) 코스 :

신촌역→굴다리→연세대 정문→백주년기념관→연세역사의뜰→세브란스 올레(치대→알렌관→청송대)→용천약수→무악정

→안산 정상(무악동봉수대지)→우수조망명소→삼성래미안(안산초등학교)→무악재→인호약수→헬기장→인왕산 정상→청운공원

→효성빌라→경기상고→청운초등학교(정철선생 나신 곳)→세종대왕 나신 곳→경복궁역→광화문광장→청계광장→서울광장→시청역

 맥가이버의 달빛산행&달빛도보(신촌역에서 시청역까지) 이야기

  

오늘은 음력 7월 보름이다.

여러 이유로 달빛산행을 계획했다가 달빛도보까지 겸한 밤나들이를...

즉 저녁무렵 가볍게 산에 올라 보름달을 바라보며 달빛산행을 하다가

산을 내려서서는 보름달빛을 받으며 도심을 걷는 달빛도보를 즐기고자

'달빛산행&달빛도보(신촌역에서 시청역까지)'를 공지하니 아무도 함께 하겠다는 님이 없다.

 

공지에는 늘 '혼자라도 갑니다'라는 글이 있다.

 

안산을 오를 때는 신촌역에서 연세대 정문을 거쳐 안산을 오르는 코스를 애용해왔다.

그런데 오늘은 신문에 난 '세브란스 올레'길을 살펴보고자 다시 한 번 더 연세대를 들머리로 하게된다.  

 

'맥가이버의 달빛산행&달빛도보(신촌역에서 시청역까지)자세한 이야기는 맥가이버의 블로그 사진후기로 대신한다.

 

   

        

'맥가이버의 달빛산행&달빛도보(신촌역에서 시청역까지)'의 2부를 시작하며...

 

▼ 

 

 

 

 

 

 

 

 

 

 

  

 

너를 만나러 가는 길 / 용혜원


가슴에 새겨진
너의 흔적들은
이 세상에서 내가 가질 수 있는
가장 아름다운 것이다

나의 삶의 길은
언제나
너를 만나러 가는 길이다

그리움으로 수놓는 길
이 길은 내 마지막 숨을 몰아쉴 때도
내가 사랑해야 할 길이다

이 지상에서
내가 만난 가장 행복한 길
늘 가고 싶고 가고싶은 길은
너를 만나러 가는 길이다

 

 

  

 

 

 

  

 

 

 

 

 

 

 

 

 

 

 

무악산 동봉수대터(毋岳山 東烽燧臺 터) 

 

종목 : 시도기념물  제13호 (서대문구) 
명칭 : 무악산동봉수대터(毋岳山 東烽燧臺 터) 
분류 : 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통신/ 봉수 
수량/면적 : 381㎡
지정일 : 1993.09.20
소재지 : 서울 서대문구  봉원동 산1 
시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국유
관리자 : 서대문구
상세문의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문화체육과 02-330-1412

 

봉수대는 횃불과 연기를 이용하여 급한 소식을 전하던 옛날의 통신수단을 말한다.
높은 산에 올라가서 불을 피워 낮에는 연기로 밤에는 불빛으로 신호를 보냈다.

 

조선의 봉수는 그 시설상 전국의 모든 봉수가 집결하는 중앙 봉수인 서울 목멱산(木覓山, 남산)의 경봉수(京烽燧),

해륙․변경의 제l선에 위치하여 연대라고 호칭된 연변봉수(沿邊烽燧),

경봉수와 연변봉수를 연결하는 내지봉수(內地烽燧)로 구분되며,

이밖에 기간 선로상의 직봉[直線烽燧]과 그 보조선상의 간봉[間線烽燧]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봉수대에서는 거수(炬數)를 달리하여 정세의 완급을 나타냈다.
평상시에는 1거(炬),

왜적이 해상에 나타나거나 적이 국경에 나타나면 2거,

왜적이 해안에 가까이 오거나 적이 변경에 가까이 오면 3거,

우리 병선(兵船)과 접전하거나 국경을 침범하면 4거,

왜적이 상륙하거나 국경에 침범한 적과 접전하면 5거를 올리도록 하였다.


만약 적의 침입이 있을 때 안개․구름․비․바람 등으로 봉수를 올리지 못할 때는

포성(砲聲, 信砲․發火 등)과 각성(角聲, 角吹)으로 주위의 주민과 수비군인에게 급보를 알리고,

봉수군이 다음 봉수대까지 직접 달려가서 알리기도 하였다.(위키백과)

 

무악산에 있는 이 봉수대터는 조선시대 봉수체제가 확립되었던 세종 24년(1438)에

무악산 동·서에 만든 봉수대 가운데 동쪽 봉수대터이다.
평안북도 강계에서 시작하여 황해도, 경기도 내륙, 고양 해포나루, 무악동봉, 남산 훈도방으로 연결되는 봉수를

남산에 최종적으로 연락하는 곳이다.
터만 남아있던 것을 서울정도 600년 기념사업의 하나로 1994년에 복원하였다.

 

이중 동봉수대는 제3봉수호로 평안북도 강계에서 시발하여

황해도→경기도 내륙을 따라 고양해포나루→무악동봉→목멱(남산) 훈도방으로 연결하는

직봉 78처 간봉 22처를 경유하는 경봉수대 최종직봉 이었으며,


제4봉수로 기점이었던 서봉수대는 평안북도 의주에서 시발하여

황해도→경기도 해안을 따라 고양고봉→무악서봉→목멱(남산) 명래방으로

연결하는 직봉 71처 간봉 22처를 경유하는 경봉수대 최종직봉으로 현재는 군부대가 자리하고 있다. 

 

- 문화재청 홈에서 -

 

 

 

 

 

 

 

 

 

 

 

 

  

너의 모습 / 이정하


산이 가까워질수록
산을 모르겠다.
네가 가까워질수록
너를 모르겠다.

멀리 있어야 산의 모습이 또렷하고
떠나고 나서야 네 모습이 또렷하니
어쩌란 말이냐, 이미 지나쳐 온 길인데
다시 돌아가기엔 너무 먼 길인데.

벗은 줄 알았더니
지금까지 끌고 온 줄이야.
산그늘이 깊듯
네가 남긴 그늘도 깊네.

 

 

 

 

 

 

 

 

 

 

 

 

 

 

 

 

 

 

  

 

 

 

 

 

  

 

 

 

 

 

 

 

 

 

 

 

  

 

       제목 : 봉수도

 

                         출처 : 한국브리태니커회사

봉수 (군사)  [烽燧]
전근대시대의 군사통신제도.

 

낮에는 연기[烟·燧], 밤에는 횃불[火·烽]로써 변경의 급보를 중앙에 전달하는 동시에 해당 지역의 영진(營鎭)에도 알려 적의 침략에 대비했던 통신제도로, 민간통신으로 활용되지는 못했고 단지 군사통신으로만 사용되었다.

 

봉수제의 유래는 삼국시대부터 비롯되어 고려를 거쳐 조선초 특히 세종대에 4군6진의 개척과 더불어 확립되었으며, 〈경국대전〉의 완성으로 제도가 정비되었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봉수조직은 중앙 병조 소속의 무비사(武備司)와 지방 영진 관할하의 봉수대(烽燧臺)로 편성되어 있었다.

 

영진에는 장(將)이 배치되어 있었는데, 영에는 관찰사·병사·수사가, 진에는 수령이 겸임하여 직무를 수행했다. 그리고 봉수대는 경봉수(京烽燧:목멱산 봉수)·내지봉수(內地烽燧)·연변봉수(沿邊烽燧)의 3가지로 조직되어 있었고, 각 봉수대는 오장(伍長:경봉수는 五員)과 봉수군(烽燧軍)을 배치했다.

 

봉수조직의 최하층에 속했던 봉수군은 봉수대 위에 기거하면서 관찰·신호·전령 등을 맡았다. 그들은 신분상으로는 양인이나, 국역부담에 있어서는 천인의 역에 종사하는 신량역천인(身良役賤人)으로 부근민(附近民) 가운데 차정함이 원칙이었다.

 

오장 또는 오원은 봉수군을 지휘·감독하며 봉수대의 근무상황을 수령에게 보고하고, 수령은 이를 받아 유사시는 즉시, 무사시에는 월말마다 관찰사에게 보고하는 한편 매계월(每季月:3, 6, 9, 12월)마다 병조에 보고했다.

 

봉수가 끊어졌을 경우 수령은 곧 그 사유를 병조에 보고해야 되는데 봉수의 양호 여부는 수령의 공과(功過)에 직결되었다.

 

경봉수에서는 변방으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병조에 보고하며, 병조는 승정원에 보고하여 국왕에게 알렸다.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은 낮에는 연기, 밤에는 횃불을 사용하여 그 횃불의 숫자에 따라 소식을 알렸는데, 세종대에 5구분법으로 체계화되었다.

 1419년(세종 1)에 해상과 육상을 구별하여, 무사시에는 1개의 홰를 올리고 해안지방의 경우 왜적이 해상에 나타나면 2개의 홰, 해안에 가까이 오면 3개의 홰, 우리 병선과 접전시에는 4개의 홰, 왜적이 상륙할 때는 5개의 홰를 올렸고, 육지의 경우는 적이 국경 밖에 나타나면 2개의 홰, 변경에 가까이 오면 3개의 홰, 국경을 침범하면 4개의 홰, 우리 군사와 접전하면 5개의 홰를 올리도록 했다.

 

이러한 거화법(炬火法)은 〈경국대전〉에서는 육해의 구별 없이 평상시에는 1개의 홰, 적이 나타나면 2홰, 경계에 접근하면 3홰, 경계를 범하면 4홰, 접전하면 5홰를 올리도록 했다. 그러나 만약에 적이 침입했을 때 안개·구름·비바람으로 인하여 봉수가 전달되지 않을 경우에는 화포(火咆)나 각성(角聲) 또는 기(旗)로써 알리거나 봉수군이 직접 달려가 알리도록 했다.

 

조선시대 봉수망에 관한 사료는 여러 곳에서 전하고 있는데, 그중 〈증보문헌비고〉 봉수조에 의하면 전국의 봉수망은 5대 기간선로로 구성되었다. 제1로는 함경도 경흥에서 강원도를 거쳐 서울 목멱산에 이르는 것이고, 제2로는 경상도 동래에서 충청도를 거쳐 서울 목멱산에 이르는 것이며, 제3로는 평안도 강계에서 내륙으로 황해도를 거쳐 서울 목멱산에 이르는 것이고, 제4로는 평안도 의주에서 해안을 거쳐 서울 목멱산에 이르는 것이며, 제5로는 전라도 순천에서 충청도를 거쳐 서울 목멱산에 이르는 것이다. 그리고 그 선로는 여러 개의 직봉(直烽:주봉)과 간봉(間烽)으로 구분되어 서로 연결되었다.

 

한편 봉수대 간의 거리는 지역조건 및 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략 연변봉수는 10~15리, 내지의 주연(晝烟)지역은 2~30리, 야화(野火)지역은 4~40리가 기준이었다.

 

전국의 총 봉수대 수는 '증보문헌비고'에 의하면 약 610개소였는데 '동국여지승람'에 전하는 제주목의 63개를 합치면 약 673개소가 된다.

이러한 봉수제는 점차 시설의 미비, 요원배치의 불충분, 고독과 추위에 시달리는 봉수군에 대한 보급의 부족, 봉수군의 근무태만과 도망으로 인하여 을묘왜란·임진왜란과 같은 큰 변란에도 충분한 역할을 하지 못했다. 따라서 그 대비책의 하나로 1597년(선조 30)에는 파발제(擺撥制)가 설치되었다.

 

파발제는 기발(騎撥)과 보발(步撥)로 구성되었는데, 처음 설치된 뒤에 계속 보완책이 강구되다가 인조·효종 때에 크게 재정비되었다.

파발조직은 서울-의주의 서로파발(41참, 1050리), 서울-경원의 북로파발(64참, 2300리), 서울-동래의 남로파발(31참, 920리)로 구성되었으며, 이중 기발은 발장(撥將) 1명, 발군(撥軍) 5명, 보발은 발장 1명, 발군 2명으로 편성되었다.

 

예전의 봉수에 비해 파발은 적의 상황을 문서로써 구체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반면에 속도면에서는 떨어졌다. 파발의 주임무는 변방의 급보를 공문서로써 전달하는 것이었으나 점차 외국사신 및 관리의 편의를 제공하는 역할도 담당하게 되어 본래의 군사통신만 전달하는 기능이 퇴색해갔다. 뿐만 아니라 봉수가 군사목적 이외에는 이용할 수 없는 것과 달리 파발은 역(驛)과 같이 관리들이 사사로이 이용하여 많은 사회문제를 가져왔다.

그리하여 숙종 이후에 다시 봉수를 복구하려는 노력이 전개되어 파발제는 봉수와 양립하여 운영되었다. 특히 함경도지역을 중심으로 한 북로봉수에 대해서 제기된 변통론(變通論)이 주목된다. 그 주된 내용은 여러 가지 장애로 인하여 차례차례 전달할 수 없을 때에는 순서에 관계 없이 독자적으로 횃불을 켜자는 각자거화론, 봉수대 사이가 너무 멀거나 달려가 보고할 수 없기 때문에 간봉을 설치하여 소리로써 신호를 보내자는 화포설치론 등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변통론은 완전한 봉수제의 복구나 전반적인 개혁이 아니라는 점에서 한계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하여 봉수제는 군사적으로나 지역적으로 그 중요성에 따라 치폐(置廢)를 거듭하다가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 때 근대적인 통신제도가 도입·정착되자 폐지되었다.

 

출처 : 브리태니커백과사전

 

  

 

  

  

 

 

 

사람은 바람인 거야 / 차영섭    

사람은 강물인거야  
다녔던 학교는 그대로 있고  
내가 흘러서 졸업한,    
사람은 구름인거야  

사랑은 그대로 있고  
내가 흘러서 이별이 된 거야.    

사람은 세월인거야  
옛 생각은 그대로 있고  
내가 흘러서 이 나이 먹은,    
아,사람은 바람인거야  
이 세상은 그대로 있고  
내가 저 멀리로 불어가야 하는 거야  

 

 

놀 / 이외수
    이 세상에 저물지 않는 것이 어디 있으랴
    누군가가 그림자 지는 풍경 속에
    배 한 척을 띄우고
    복받치는 울음을 삼키며
    뼈가루를 뿌리고 있다
    살아 있는 날들은
    무엇을 증오하고 무엇을 사랑하랴
    나도 언젠가는 서산머리 불타는 놀 속에
    영혼을 눕히리니
    가슴에 못다한 말들이 남아 있어
    더러는 저녁강에 잘디잔 물비늘로
    되살아나서
    안타까이 그대 이름 불러도
    알지 못하리
    걸음마다 이별이 기다리고
    이별 끝에 저 하늘도 놀이 지나니
    이 세상에 저물지 않는 것이 어디 있으랴
     

 

 

 

 

 

 

 

 

 

 

 

 

 

 

 

☞ 여기서 '맥가이버의 달빛산행&달빛도보(신촌역에서 시청역까지) - 2부를 마치고...

 

 

 

2009년 09월 03일(목)

'맥가이버의 달빛산행&달빛도보(신촌역에서 시청역까지)'를 다녀오다.

   

-▥☞ 1부[신촌역→연세대 정문→세브란스 올레길(치대→청송대)→용천약수→무악정]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

 

-▥☞ 2부[무악정→헬기장→안산 정상(무악 동봉수대지)→우수조망명소(해골바위)]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

 

-▥☞ 3부[우수조망명소→무악재→인호약수→인왕산 정상→청운공원→효성빌라]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

 

-▥☞ 4부[효성빌라→경복궁역→광화문광장→청계광장→서울광장→시청역]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