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도보여행후기☞/☆ 남한강 자전거길

[20100516]낭만도보 - 팔당역에서 양수역까지 중앙선 폐철도 따라 걷기 - 6부

by 맥가이버 Macgyver 2010. 5. 17.

 

29711

 

 2010년 05월 16일(일)  
낭만도보-팔당역에서 양수역까지 중앙선 폐철도 따라 걷기
 
  '낭만도보-팔당역에서 양수역까지 중앙선 폐철도 따라 걷기' 코스
 
팔당역→남양주 역사박물관→상팔당 버스정류장(팔당2리 표지석)→舊 팔당역→도깨비박물관 입구→폐철도 시작점→와카리하우스
→팔당댐 전망대→팔당댐→봉안터널→밀알의 집→팔당수력발전소→봉주르→능내연꽃체험마을→다산정약용유적지능내역 대합실

→진중삼거리→양수교→양수5일장터→두물머리 입구→석창원→두물머리 느티나무→두물머리 입구→체육공원 앞→세미원→양수역

 맥가이버의 '낭만도보 - 팔당역에서 양수역까지 중앙선 폐철도 따라 걷기' 이야기 

  

남양주市는 2012년까지 북한강과 팔당호, 광릉수목원 길을 포함한 경기 남양주시 전역에

트레일 코스 164.6㎞를 '남양주 트레일'이라는 이름으로 만들겠다고 한다. 


남양주 트레일 코스는 총 12개 구간인데 지난 3월 27일(토)에 그중 와부길과 한강길을 이어서 걸었다.
와부길(도심역~고려대농장~새재고개~세정사~운길산역 13.3㎞),
한강길(덕소역~팔당역~중앙선 폐철로~능내역~운길산역 19.8㎞), 

 

▼ 2010년 3월 27일(토) 남양주 트레일 중  와부길ㆍ한강길 이어걷기'를 보시려면 아래 ↓ 코스도를 클릭하세요.

  늘 언제나 항상 변함없이

 

오늘은
지난 번에 남양주 트레일 中 '와부길'과 '한강길(운길산역에서 팔당역까지)' 이어걷기를 하면서
좋은 날에 좋은 님들과 다시 걸으면 역방향으로 걸으면서
몇 군데를 둘러보며 걸어야겠다고 생각했던 코스를 걷는다.
 
팔당역에서부터 중앙선 폐철도를 걸으며 
팔당댐과 봉안터널을 거쳐 팔당호가 보이는 '봉쥬르'에서 이른 점심식사를 하고...
능내리공원(능내리 연꽃체험마을)을 거쳐 다산정약용유적지를 찾아간 후
 다시 중앙선 폐철도을 찾아 능내역으로 나오면서
마재성지를 거쳐 능내역 폐역사에서 휴식 겸 간식시간을 갖고,
진중삼거리에서 양수교를 도강하여 양수5일장터를 둘러보고
두물머리입구에서 산책로를 따라가다가 석창원을 둘러보고,
두물머리 느티나무에서 다시 한 번 휴식 겸 간식시간을 가진 후,
세미원을 일주하며 둘러보고 나서 인근 식당에서 저녁식사 겸 뒤풀이를 하고,
양수역에서 18시 43분경 전철을 타고 귀경한다.
 
'낭만도보 - 팔당역에서 양수역까지 중앙선 폐철도 따라 걷기'

자세한 이야기는 맥가이버의 블로그 사진후기로 대신한다.

 

 

 '낭만도보 - 팔당역에서 양수역까지 중앙선 폐철도 따라 걷기' - 6부를 시작하며...





▼ 15시 55분 - 두물머리 느티나무

 

▼ 울타리시화전을 감사하고...

 

 

 

▼ 뮤직비디오 촬영 대기 중...

 

 

▼ 두물머리 느티나무

 

 

 

 

 

  

  

 

 

 

 

 

 

  

 

▼ 16시 02분 - 마지막 간식시간을 갖고...

  

 

 

▼ 16시 14분 - 이제 세미원을 향해 출발...

 

 

 

  

▼ 옛날 옛날에...

 

 

 

 

 

 

 

 

 

 

 

 

  

▼ 16시 36분 - 체육공원 앞을 지나...

 

▼ 16시 38분 - 세미원 정문을 들어서서..

 



한강청정기원제단(漢江淸淨祈願祭壇)

이곳은 삼월 삼짓날이 되면 두물머리의 강심수를 길어다 장독대에 올려놓고
국태민안과 가내안녕을 기원하던 양평군 양서면 일대의 민간 풍속을 확대하여
규모가 큰 장독대를 만들어 한강이 맑고 깨끗하게 보존되기를 기원하며
국가의 안녕과 태평을 기원하는 민족의 성스러운 곳으로 조성하였다.
제단의 규모와 형식은 사직단(社稷壇)에 준하였고 조선시대 궁궐을 그린
동궐도(東闕圖)를 참고하여 창덕궁의 장독대를 재현하여 여기에 한강수를
끌어들여 분수대를 만들었다. 이는 한강 물을 민족의 그릇인 살아 숨 쉬는
옹기에 담아 생명이 넘치는 물로 환원 시키겠다는 양평군민의 의지를 상징한
것이다.


관란대(觀瀾臺)

이 장소는 앞에 흐르는 남한강과 멀리 북한강이 합쳐지는 두물머리의
호호양양(浩浩洋洋 큰 강물이 넘칠 듯이 흐르는 모양)한 한강수를 관란하는 곳이다
관란대란 맹자의 진심장구(盡心章句)의 [관수유술(觀水有術)하니 필관기란(必觀基瀾)이니라 물을 보는데도 방법이 있으니 반드시 큰 물결을 보아야 할 것이니라]에 근거를 두어 이름 지었다. 왜 큰 물결을 보아야 할 것인가를 맹자께서는 다음과 같이 부연 설명을 곁들이셨다.
유수지위물야불영(流水之爲物也不盈)이면 불행(不行)이니라 [흐르는 물은 자기가 나아가고자 하는 길에 아무리 크고 작은 웅덩이가 있을지라도 그곳을 다 채우지 않으면 앞으로 나아가지 않는다]는 뜻으로 사람이 자기의 나아갈 길에 목표를 정하고 그 목표를 향해 나아갈 때 주변의 사소한 일 위험한 일이 있을지라도 결과를 아름답게 마무리 짓지 않고는 앞으로 나아가지 않는다는 말이다. 관란대는 문자 그대로 눈앞에 흐르는 한강의 큰 흐름을 관란하는 곳이다.


모네의 정원

블란서의 세계적인 화가 모네(1840~1926)는 1899년 엡트강의 물을 끌어 올려 연못들을 만들고 연못 가득히 수련을 심어 잔잔한 수면위에 피어 있는 수련들이 발산하는 색깔들과 고요한 물의 어우러진 모습에 우주의 근본적인 신비한 영감을 얻어
그의 노년은 연못과 수련 그림에 전념하게 된다.
모네의 그림 속에 있는 연못과 수련들을 여기 한강의 두물머리 수련단지 안에 펼쳐 놓은 것은 단순한 수련들을 물속에 심어 놓는 것보다 모네처럼 해맑은 내 조국의 하늘과 그 하늘을 담은 연못 사이에 고요히 떠있는 수련들에서 위대한 자연 속에 담겨진 우주의 신비한 영감을 체험하여 그 영감을 도화지에 옮길 수 있는 예술가를 찾기 위해서이다.


유상곡수(流觴曲水)
유상곡수(流觴曲水)란 굽이굽이 물이 흐르는 시설을 만들어 흐르는 물에 술잔을
띄워 시(詩)를 읊고 노래를 부르며 풍류를 즐기던 전통 정원시설을 말한다.
경주의 포석정은 통일신라시대에 돌로 정교하게 깎아만든 구조물로 된 물 흐르는 도랑이라면, 고려나 조선시대는 도랑을 파고 물이 흐를 수 있도록 수로를 만들고 주변에 대나무, 소나무, 난초, 석창포 등 선비들이 가까이 하였던 식물들을 식재하였다. 이곳 세미원에서는 고려나 조선의 유상곡수 중 창덕궁의 옥류천과 조선시대 회화속에 나오는 유상곡수를 기본으로하여 복원하였다. 사방에 대나무 울타리(竹垣)을 치고 동쪽엔 국화를, 남쪽엔 목단, 북쪽과 서쪽에 대와 소나무를 식재하였고 서쪽 연못에 연을 식재하여 유상곡수의 품격을 더하였다.


수표(水標)분수
하천이나 호수, 저수지 등의 수위를 재는 측량 기구중 하나로 이 수표는 보물 838호로 지정된 청계천에 수위를 재던 수표를 기본으로 하고 한자(一尺)의 눈금을 원래는 주척(周尺)으로 되어 있으나 30cm를 한자로 하는 현대식 눈금으로 고쳤다.
또한 물 관련 문화재들을 복원하면서 분수의 기능을 더하였다.


풍기대(風旗臺)
우리 조상들이 바람의 방향을 살피던 기후관측기구로 보물 847호로 지정된 창경궁의 풍기대를 기본으로 하였으며 깃발은 동궐도에 그려진 풍기대의 깃발을 참조하였다.


용두당간(龍頭幢竿)분수
당간은 대개 사찰에서 깃발을 다는 깃대의 일종이나 머리 장식에 따라 용머리의
용두당간, 여의주를 모형한 보주당간, 봉황을 머리로 한 봉황당간 등이 있어 지기(地氣)에 따라 그 형태가 달랐다고 한다. 용두당간의 경우에는 화기(火氣)가 넘치는 지형에 수기(水氣)의 상징인 용두당간을 세웠다고 한다. 물 관련 문화재의 복원 차원에서 국보 136호로 지정된 청동용두당간의 형태를 취하였고, 재질에는 하천지역을 감안해 도자기를 사용하였다.


토기탑 등
이국적으로 생겨 중국풍의 탑이 아니냐는 질문을 많이 받는 이 탑등은 서울 강동구 방이동에 위치한 몽촌토성에서 출토된 삼국시대 초기 백제의 귀중한 유물의 하나인 원통 모양의 그릇받침 형태를 기본으로하여 만든 탑등으로 윗부분에 뚜껑을
더하였고 몸체부분에는 뚫어진 구멍들을 좀 더 많이 내어 조명이나 음향기구들이
들어갈 수 있게 하였다.


정병(淨甁)분수
정병이란 불교에서 부처님께 올리는 공양구(供養具)의 하나로 통일신라시대 이후 많은 유물들이 존재하고 있다.
범어 군디카(Kundika)에서 유래한 말로 물병이란 뜻으로 원래 깨끗한 물을 넣는
병을 일컫는 말로 승려들이 가지고 다니는 필수품인 18물(物)중의 하나였다. 청동이나 도자기로 만들어진 대부분의 유물에서는 대개 버드나무, 갈대, 부들, 물오리, 기러기, 원앙 등 물과 관련 있는 동식물들이 그려져 있다. 또한 탱화 가운데 그려진 정병에는 버드나무가 꽂혀 있어 버드나무가 물을 맑게 하는 기능을 염두에 둔 것으로 생각된다. 아마도 선조들께서는 이미 수생식물들이 물을 정화시키는 큰 힘이
있다는 것을 알았던 것 같다. 한강물을 정결한 물로 만들겠다는 양평군민들의
의지를 정병분수로 표현하였다.


자성문(自省門)
화강암으로 둥글게 조각되어 높이 1.9m 원형으로 만들어진 석문(石門)이다.
둥글게 조각된 것은 자연과 인간이 둘이 아니고 하나임을 상징하였고, 머리를 숙이면 문지방에 “우리가 자연에 겸손하면 자연도 우리에게 겸손합니다.”라고 조각되어 있다. 내경의 높이는 1.6m 낮은 크기로 누구든 허리를 굽혀야 출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과연 나는 아름다운 국토를 위하여 무엇을 하였는가 스스로 반성하는
문이다.


용준(龍?) - 청화백자운용문항아리(靑華白磁 雲龍文壺)
이 기품있고 당당하게 생긴 초대형의 항아리는 몸체의 위아래에 장식된 당초문
예의주문, 연판문 등의 각종 문양을 화려하게 그려넣고, 조선왕조의 자긍심을 나타낸 발톱이 다섯달린용(五爪龍)을 그려놓은 국립박물관 소장의 청화백자 운용문항아리(靑華白磁 雲龍文壺)를 모방하였다. 국가의 연례 행사에는 꽃을 꽂거나 술을 담았고 국가의 길례(吉禮)인 제사때에는 술 또는 맑은물(玄酒)를 담던 항아리이다.


용병(龍甁) - 청화백자운용문병 (靑華白磁 雲龍文甁)
조선자기청화백자 가운데 용그림이 그려진 호암미술관 소장의 보물 786호로 지정된 청화백자운용문병 (靑華白磁 雲龍文甁)을 모형으로 하여 만들었다. 구름속에서 발톱을 세우고 수염을 휘날리며 여의주를 희롱하는 용을 그렸다. 궁중의 연례 행사때 꽃을 꽃거나 술을 담던 병이나 국가의 제례 행사때는 맑은 물을 담아 올리던 제기의 일종이기도 하다.

 

 

 

 

 

▼ 불이문을 들어서고...

 

 

 

  

  

 

 

▼ 장독 분수대

   

 

 

   

 

세미원(洗美苑) / 이용대


군데군데 띄워 놓은

방석 같은 연(蓮) 잎 위로

동자승 (童子僧) 꽃등(燈)이 객을 맞는다


사르르 물살이는 돌다리 곁에서

잇몸 살짝 드러내며

수련(水蓮)들이 웃는다


무거운 짐들을 구름같이 벗으면

충혈 된 눈빛도

거울처럼 맑아진다


추한 구석 들추어내

샘물로 말끔히 씻은 후

강 빛으로 물들이면 하늘같이 고운 것


색 바랜 깃털마저 훌 훌 훌 털어 가며

하루 종일 두물머리를

물새로 날아다닌다.

 

 

 

 

 

 

 

 

  

 

  

 

 

 

 

 

 

 

 

 

 

 

 

 

 

 

 

 

 

 

 

 

▼ 자성문

  

 

 

 

  

  

 

▼ 17시 19분 - 세미원을 나서서...

 

▼ 17시 20분~18시 30분 - 이곳에서 저녁식사 겸 뒤풀이를 하고...

 

 

 

 

▼ 18시 33분 - 양서면사무소 앞을 지나...

 

 

▼ 18시 37분 - 양수역에 도착...

 

☞ 이것으로 '낭만도보-팔당역에서 양수역까지 중앙선 폐철도 따라 걷기'를 마친다.

 

 

 

2010년 05월 16일(일)
'낭만도보-팔당역에서 양수역까지 중앙선 폐철도 따라 걷기'

   

-▥☞ 1부[팔당역→폐철도 시작점→팔당댐 전망대→팔당댐→봉안터널→봉주르]는 여기를 클릭.☜▥-

 

-▥☞ 2부[봉주르→능내1리 연꽃체험마을→머루터널→연꽃 관찰데크→토끼섬]는 여기를 클릭.☜▥-

 

-▥☞ 3부[토끼섬→다산유적지 산책로 입구→아조타농원→강변연가→다산유적지]는 여기를 클릭.☜▥-

  

-▥☞ 4부[다산유적지→마재성지→능내역→고능 가도교→조안천교→진중삼거리]는 여기를 클릭.☜▥-

 

-▥☞ 5부[진중 삼거리→양수교→두물머리 산책로→석창원→두물머리 느티나무]는 여기를 클릭.☜▥-

  

-▥☞ 6부[두물머리 산책로→두물머리 입구→체육공원 앞→세미원 탐방→양수역]는 여기를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