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행·등산사진후기☞/♤ 북한산·도봉산·사패산

[20141109]도봉산ㆍ북한산 연계산행(무수골-원통사-우이암-용덕사-육모정-영봉-하루재-인수봉-밤골-국사당) - 2부

by 맥가이버 Macgyver 2014. 11. 9.

 

31558

 

2014년 11월 09일(일)

 맥가이버의 만추산행 - 도봉산ㆍ북한산 연계산행(무수골-원통사-우이암-용덕사-육모정-영봉-하루재-인수봉-밤골-국사당)을 다녀오다.
 

 

 

맥가이버의 '도봉산ㆍ북한산 연계산행(무수골-원통사-우이암-용덕사-육모정-영봉-하루재-인수봉-밤골-국사당)' 이야기

 

 맥가이버의 '도봉산ㆍ북한산 연계산행(무수골-원통사-우이암-용덕사-육모정-영봉-하루재-인수봉-밤골-국사당)' 코스

  

도봉역→무수교→도봉초교→세일교→난향별원→자연상회→무수골공원지킴터→자현암→원통사→우이암→우이암 전망봉→문(門)바위

상투바위(엄지바위)→전망대바위→굴바위 기도터→돌탑백란산장(예정원)→육모정공원지킴터→신검사→용덕사→깔딱샘육모정고개

→비행접시바위헬기장→마당바위→영봉(604m)→하루재→북한산경찰산악구조대→잠수함바위능선 우회하여 상단 알바위→인수봉 하단

V안부→대동샘식당바위→숨은벽대슬랩하단 삼거리밤골삼거리→밤골 총각폭포→밤골 색시폭포밤골통제소→국사당 입구→구파발역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도봉산ㆍ북한산 연계산행(무수골-원통사-우이암-용덕사-육모정-영봉-하루재-인수봉-밤골-국사당)'을 위해 길을 나선다.
 
단풍이 지고 낙엽이 쌓이는 이 즈음에 만추산행으로 도봉산과 북한산의 인적이 드문 곳으로 코스를 선정하여 나섰다.
 
도봉역에서 무수골계곡을 따라 오르다가 원통사를 거쳐 우이암 전망봉에 오르고...
우이암에서 우이남능선을 따라 문(門)바위, 상투바위(엄지바위or고추바위)를 거쳐 백란산장(예정원)으로 하산하여...
 
백란산장(예정원)에서 육모정공원지킴터를 통과하여 용덕사와 육모정고개를 거쳐 영봉에 올랐다가 하루재로 내려서고...
 
하루재에서 북한산경찰산악구조대를 지나 혼잡한 백운산장 가는 길 대신에 인수봉하단을 따라 V안부에 오르고...
뱜골계곡을 따라 하산하여 밤골통제소와 국사당을 거쳐 국사당입구에서 버스를 타고 구파발역으로 이동하여 귀가.
 
09시 12분에 도봉역을 출발하여 '도봉산ㆍ북한산 연계산행'을 마치고 16시 51분에 국사당입구에 도착하였다.
 
맥가이버의 도봉산ㆍ북한산 연계산행(무수골-원통사-우이암-용덕사-육모정-영봉-하루재-인수봉-밤골-국사당)을 다녀오다
자세한 이야기는 맥가이버의 블로그 사진후기로 대신한다.
 

 

 
누군가가 '누우면 죽고, 걸으면 산다(臥死步生)'고 했다.
맥가이버는 '산 따라 강 따라 길 따라' 걷는 것을 죽고사는 차원이 아닌 즐기는 차원에서 걷는다.
즉, 좋은 길을 걷다가 새로운 환경이나 상황, 사람을 만나면서 알게 되고, 느끼고, 감동 받고, 깨닫는 것을 즐긴다.
 

 

 
 
'모든 만남은 걷고 있을 때 이루어진다'라는 말이 있는데,
길을 걷다보면 새로운 풍광을 보게 되고, 새로운 사람을 만나게 되고, 새로운 경험을 하고, 새로운 것을 알게 된다.
 

 

 
맥가이버가 '때론 함께, 때론 홀로' 산행이나 여행, 도보를 하면서 후기를 주로 사진으로 작성함은
인간의 만남이 또한 유한함을 알기에 어떤 연유로 비록 언젠가 헤어지더라도 추억 속에서 함께 하고자 함이고,
또 하나 이유가 있다면 걸으면서 보고 느낀 것을 글로 다 표현치 못하는 무능함에 있습니다.
그리고 한 가지를 더 든다면 누군가가 같은 길을 걷고자 할 때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입니다.
 
 

 
☞ 도봉산ㆍ북한산 연계산행(무수골-원통사-우이암-용덕사-육모정-영봉-하루재-인수봉-밤골-국사당)을 다녀오다 - 2부를 시작하며...

 

 

10시 59분 - 우이암 전망봉에서...

 

우이암

 

 

우이암(牛耳岩)

이칭/별칭 : 관음봉,사모봉


[정의]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산에 있는 암석으로 이루어진 봉우리.


[개설]
도봉산에는 대보 조산 운동이 발생했을 때 대보 화강암이 관입하였다.

이후 오랜 기간에 걸쳐 침식을 받아 산의 정상부는 대부분 기반암인 화강암이 노출된 채 바위산의 형태가 되었다.

화강암이 오랜 시일에 걸쳐 모암으로부터 일부분이 벗겨지거나 떨어져나갔다.

도봉산의 봉우리는 화강암의 차별 침식으로 인해 형성되었으며, 암석이 벗겨져나간 박리면과 잘라져 나간 절리면도 잘 발달해 있다.


[명칭 유래]
우이암(牛耳岩)의 명칭은 봉우리의 모습이 소의 귀를 닮았다는 데서 유래하였다.

본래는 바위의 모습이 부처를 향해 기도하는 관음보살을 닮았다 하여 관음봉(觀音峰)이라고도 하고,

 사모관대를 쓰고 있는 모습을 닮았다 하여 사모봉이라 부르기도 한다.

도봉산에 분포하는 많은 바위들이 호랑이·코끼리·두꺼비·코뿔소·학 등 각종 동물의 형상을 하고

관음봉을 향하여 머리를 조아리는 듯하다고 하여 불교에서는 우이암을 관음성지(觀音聖地)라 여기기도 한다.


[자연 환경]
도봉산의 대표적인 암봉 가운데 하나로,

매우 급경사를 이루면서 형성되어 있는데 산 정상부 쪽은 거의 수직 절벽에 가깝다.

우이암은 전국 암벽 등반 대회가 열렸을 정도로 암벽 등반에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현황]
해발 542m의 우이암에 다다르기 위해서는 도봉산 탐방 지원 센터에서

도봉사를 지나 보문 능선을 따라 능원사와 구봉사, 성불사, 천진사, 원통사를 거쳐야 된다.

2.5㎞, 1시간 20분 코스이다.

 

출처 : 디지털도봉구문화대전

 

 

 

도봉산 오봉능선과 주능선의 암봉들

 

도봉산 오봉과 우봉(又峰)

 

도봉산 오봉을 살짝 당기니...

 

 

 

 

도봉산 정상부

 

북한산 상장능선

 

 

북한산 정상부

 

 

11시 03분 -

 

11시 04분 - 전망대에서...

 

솔고개에서부터 상장능선을 따라...

 

상장능선

 

영봉과 북한산 정상부

 

영봉과 북한산 정상부를 살짝 당기니...

 

11시 07분 - 우이암이 보이는 또다른 전망처에서...

 

 

 

 

 

 

 

 

11시 10분 -

 

 

11시 13분 -

 

 

11시 14분 - 문(門)바위를 통과하고...

 

북한산 방향을 보니...

 

11시 15분 - 문바위를 다시 통과하여...

 

11시 17분 - 우이남능선을 따라...

 

11시 18분 - 이곳에서 우이남능선을 넘어서서...

 

11시 20분 -

 

 

 

11시 21분 -

 

11시 23분 -

 

11시 23분 - 다시 능선으로 올라...

 

 

11시 24분 - 전망이 터지는 곳으로 올라서니...

 

우회했던 우이남능선의 암봉들...

 

 

주변을 둘러보니...

 

 

 

 

 

 

 

 

 

11시 28분 -

 

또다른 전망처에서...

 

 

상투바위(엄지바위,고추바위)

 

 

 

 

11시 34분 -

 

상투바위 전망처에서...

 

 

 

11시 37분 - 장소를 이동하여...

 

주변을 둘러보니...

 

 

 

 

 

 

 

 

 

 

 

11시 41분 -

 

 

 

11시 46분 -

 

 

 

 

 

11시 48분 -

 

 

 

 

11시 51분 -

 

 

 

 

12시 03분 - 다른 곳과 달리 푸른 빛이 도는 이곳은...

 

샘터가 있고...

 

12시 03분 - 굴바위 기도처

 

 

 

 

샘터

 

 

12시 05분 -

 

 

12시 07분 - 돌무더기 삼거리에서 우측길로 내려서야 북한산 육모정공원지킴터 방향으로 이어가기가 수월하다.

 

12시 11분 -

 

12시 14분 -

 

12시 20분 - 우리산장?

 

12시 24분 - 우리산장을 거쳐...

 

12시 25분 -

 

12시 26분 - 백란산장(예정원)

 

백란산장 시계가 걸린 다리를 건너...

 

 

 

 

☞ 여기서 도봉산ㆍ북한산 연계산행(무수골-원통사-우이암-용덕사-육모정-영봉-하루재-인수봉-밤골-국사당)을 다녀오다 - 2부를 마치고...

 

 

 

2014년 11월 09일(일)

맥가이버의 만추산행 - 도봉산ㆍ북한산 연계산행(무수골-원통사-우이암-용덕사-육모정-영봉-하루재-인수봉-밤골-국사당)을 다녀오다
 
-▥☞ 1부[도봉역→도봉초교→세일교→난향별원→자연상회→무수골공원지킴터→자현암→원통사→우이암→우이암전망봉]는 여기를 클릭.☜▥-
 
-▥☞ 2부[우이암전망봉→문(門)바위→상투(엄지)바위→전망바위→굴바위기도터→돌탑→우리산장→백란산장(예정원)]는 여기를 클릭.☜▥-
 
-▥☞ 3부[백란산장→육모정지킴터→용덕사→깔딱샘→육모정고개→비행접시바위→헬기장→영봉→하루재→산악구조대]는 여기를 클릭.☜▥-
 
-▥☞ 4부[산악구조대→알바위→인수봉→V안부→대동샘→식당바위→밤골삼거리→밤골폭포→밤골통제소→국사당입구]는 여기를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