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하강변 일주(김포평화누리길 中 염하강철책길 & 강화나들길 中 호국돈대길 이어걷기)' 이야기
맥가이버의 '염하강변 일주(강화나들길 中 호국돈대길 & 김포평화누리길 中 염하강철책길' 코스
성동검문소→舊강화대교 전망대쉼터→舊강화대교 도강→갑곶성지→강화역사관주차장→호국돈대길아치→갑곶교→강화외성
→강화 더리미포구→용진진→용당동대→화도돈대→화도수문 개축기사비→오두돈대→강화전성→쌍철탑길→강기운 의교비
→광성보(쌍충비각→신미순의총→용두돈대→광성포대)→덕진진(덕진돈대→남장포대)→덕진교→초지진→강화초지대교 도강
→대명항종점→호동천배수문→김포함상공원→염하강철책길 아치→덕포진쉼터→덕포돈대→파수청터→손돌묘→신안리 주택
→부래도(덕포나루)→부래도쉼터→쇄암리 출렁다리→고란초삼거리→쇄암리전망대쉼터→할머니매점→원머루나루(고양포)
→고양리쉼터→김포시사이드CC→해병대상륙훈련장→포내배수펌프장→포내천수문→구강화대교 전망대쉼터→성동검문소
|
|
인천광역시 강화군(강화도)과 경기도 김포시 사이에 있는 남북 방향의 좁은 해협(海峽)이다.
마치 강(江)과 같다 하여 염하(鹽河)라고 부르며 강화해협 또는 김포강화해협이라고도 한다.
폭이 좁은 곳은 200~300m, 넓은 곳은 1km 정도이고, 길이는 약 20km이다.
염하의 북쪽으로는 한강과 임진강, 예성강의 강물이 흘러들어 오는데,
염하는 교통의 요지였을 뿐 아니라 오랜 세월 동안 외세를 막는 군사적 요충지였는데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초지진(草芝鎭, 사적 제225호), 덕진진(德津鎭, 사적 제226호),
염하를 가로질러 강화대교와 초지대교가 놓여 있다.
08시 51분에 성동검문소를 출발하여 '염하강변(김포강화해협) 일주'를 하고, 18시 15분에 성동검문소로 원점회귀하였다.
▼ 성동검문소버스정류장에서...
▼ 지난 주에 문수산성과 강화산성을 이어걸으며 문수산 들머리로 삼았던 '평화누리길 조강철책길 아치'
▼ 김포수목장(舊모란각)을 지나...
▼ 문수산성 남문 성곽
▼ 강화대교
▼ 舊강화대교 앞에 깔끔한 화장실이...
▼ 舊강화대교 전망대(옛날 헌병검문초소를...)
▼ 舊강화대교를 바라보니...
구(舊) 강화대교
인천광역시 강화읍 갑곶리와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포내리를 연결하는 교량
길이 694m, 폭 10m이다.
구 강화대교1965년 7월에 착공하여 1970년 1월에 개통되었다.
이 다리를 통해 국도가 강화군까지 연결되었다.
상부구조는 피시(PC)거더교 형식이며, 하부구조는 반중력식 기둥 15기로 되어 있다.
이 다리가 생기기 전에는 김포쪽 나루에서 밀물 때를 기다렸다가 나룻배에 버스를 싣고 강화도까지 왕래했다.
물살이 급해 사고가 잦았던 염하에 이 다리가 가설되자 배로 30분 정도 걸리던 시간이 도로를 이용하여 3분으로 단축되었다.
특히 강화일대가 안보·사적관광지로 중요시되면서 지역발전에도 크게 기여했으며,
서울 도심부까지의 소요시간도 1시간 30분 정도로 단축되었다.
1997년 12월 새로운 강화대교가 준공되면서 이 다리는 폐쇄되었다.
출처 : 다음백과
▼ 新강화대교
강화대교[江華大橋]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갑곶리와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포내리를 연결하는 다리이다.
길이 780m, 너비 19.5m로 1997년에 개통되었다.
1993년 8월에 착공하여 1997년 12월에 준공되었으며 극동건설(주)에서 설계하였고 코오롱건설(주)에서 시공하였다.
연장은 780m, 폭은 19.5m(4차로), 경간수 13개(최대경간장 60m),
상부구조는 Steel Box Girder, 하부구조는 라멘식, 기초는 강관말뚝으로 시공된 1종시설물이며
본 교량의 개통으로 1969년도에 준공되어 사용하던 노후된 기존의 옛 강화대교는 폐쇄되었다.
[출처 : 두산백과]
▼ 이전에는 舊강화대교의 철문이 잠겨 있었는데...
▼ 舊강화대교는 08시 00분부터 18시 00분까지 통행이 가능하다고...
▼ 舊강화대교를 처음으로 도강해 본다.
▼ 길동무 산자연님의 舊강화대교 도강 인증샷을 찍고...
▼ 舊강화대교를 걸어서 건너다니...
▼ 다리 중간에
▼ 저 앞에 보이는 도르래?
▼ 얼굴모습처럼....
▼ 통행시간이
<강화고지도> 18c후반 76.5*119cm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강화산성을 비롯하여 동쪽 해안의 강화외성, 정족산성, 문수산성 등이 검정색 굵은 선으로 강조되어 있다.
면 단위의 행정구역과 호구수, 강화부까지의 거리가 표시되어 있고, 상단의 지리지에는 강화에 대한 설명이 상세하다.
용진진[龍津鎭]
인천광역시 강화군 선원면 연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진(鎭).
인천 강화군 선원면 연리. 인천기념물 제42호.
조선시대 각 진에 배치되었던 병마만호의 관리하에 있었던 곳으로 101명의 병력이 주둔해 있었다.
조선 효종 7년(1656)에 축조되었으며 가리산돈대·좌강돈대·용당돈대 등 3개의 돈대를 관리하였다.
지정종목 : 시도기념물
지정번호 : 인천기념물 제42호
지정일 : 1999년 03월 29일
시대 : 조선
종류/분류 : 진지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선원면 연리 215 외 9필지
1999년 3월 29일 인천광역시기념물 제42호로 지정되었다.
군사적 요새로 조선시대인 1656년(효종 7)에 축조되었다.
가리돈대(加里墩臺)·좌강돈대(左岡墩臺)·용당돈대(龍堂墩臺) 등 3개의 돈대를 관할하였으며 돈군과 군보급품을 관리하였다.
용진진은 본래 병마만호(兵馬萬戶)의 관리 아래 있었고 군관 24명, 사병 59명, 진군 18명 등
모두 101명의 병력이 주둔하였으며 포를 놓는 자리인 포좌 4문, 총을 놓는 자리인 총좌 26개소의 시설물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석축 대부분이 없어지고 홍예 2문만이 남아 있었던 것을 1999년에 문루를 복원하였다.
왼쪽 홍예의 높이는 2.57m, 폭 4.15m, 두께 60∼61cm이고,
오른쪽 홍예의 높이는 2.14m, 폭 4.8m, 두께 50∼60cm의 규모이며 석재는 대리석이다.
[출처 : 두산백과]
화도돈대[花島墩臺]
인천광역시 강화군 선원면(仙源面)에 있는 조선시대의 국방 유적.
인천 강화군 선원면 연리. 인천문화재자료 제17호.
이 돈대는 숙종 5년(1679)에 유수 윤이제가 해안방어를 튼튼히 하고자 축조한 돈대이다.
지정종목 : 문화재자료
지정번호 : 인천문화재자료 제17호
지정일 : 1999년 03월 29일
소장 : 강화군
시대 : 조선
종류/분류 : 전적지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선원면 연리 54
1999년 3월 29일 인천광역시문화재자료 제17호로 지정되었다.
병자호란 후 강화도 해안지역의 방어를 튼튼히 하기 위하여 해안선을 따라 축조한
강화 53돈대 중 하나로 1679년(숙종 5)에 강화유수 윤이제(尹以濟)가
어영군(御營軍) 2,000여 명과 경기·충청·전라 3도 승군(僧軍) 8,000여 명을 동원하여 쌓았다.
강화도의 돈대는 53개 중 49개가 병자호란 43년 후인 숙종 5년에 만들어진 것이다.
조선시대 때 성곽이나 변방 요지에 세워 적의 움직임을 살피거나
공격에 대비하기 위하여 마련한 초소인 돈대는 일반적으로 주변보다 높은 평지에 쌓는데,
밖은 구릉을 깎아서 높게 하여 적의 침입을 막고 안은 낮게 하여 포를 설치하였다.
간척지 벌 가운데의 작은 동산 위에 위치하는 화도돈대는 오두돈대(鰲頭墩臺)·광성돈대와 함께
강화의 7보(堡) 5진(鎭) 중 하나인 광성보(廣城堡)의 관리하에 감시소와 방어진지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남쪽으로 700보 거리에 오두돈대가 있고 북쪽으로 1,390보 거리에 용당돈대(龍堂墩臺)로 이어진다.
강화외성과 연결되어 있으나 현재 주변의 외성은 소실되었다.
동쪽으로 나 있는 수구(水口) 옆에는 강화유수 한용탁(韓用鐸)이 1803년 세운 '화도수문개축기사비(花島水門改築記事碑)'가 있다.
성벽터로 볼 때 평면은 사각형이었던 것으로 추측되고,
북쪽에 무너진 성벽의 석재들이 약간 남아 있는 것을 제외하면 성벽의 터만 남아 있을 뿐 완전히 소실되었다.
돈대 내부는 과일나무를 심은 밭으로 일구어져 있다.
강화군이 소유·관리하고 있다.
[출처 : 두산백과]
☞ 여기서 염하강변 일주(강화나들길 中 호국돈대길 & 김포평화누리길 中 염하강철책길)를 다녀오다 - 1부를 마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