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고 싶어요☞/♧ 동물 · 식물

민들레, 금잠초, 金簪草, 포공초, 안질뱅이, 포고영, 만지금, 滿地金, 도끼밥, 씬냉이, 미염둘레 / 꽃말 - 감사하는 마음

by 맥가이버 Macgyver 2024. 4. 11.

민들레, 금잠초, 金簪草, 포공초, 안질뱅이, 포고영, 만지금, 滿地金, 도끼밥, 씬냉이, 미염둘레

 

분류 : 초롱꽃목 > 국화과 > 민들레속

꽃색 : 노란색

학명 : Taraxacum platycarpum Dahlst.

개화기 : 4, 5

꽃말 : 감사하는 마음

 

분포지역

한국, 일본, 대만,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크기

높이가 30cm 정도 자란다.

 

잎은 도피침상 선형이며 길이 6-15cm, 나비 1.2-5cm로서 무 잎처럼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6-8상으로서 털이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은 둥글게 배열되며 대개 땅에 누워서 자란다.

 

꽃은 4-5월에 피고 잎보다 다소 짧은 화경이 나와서 그 끝에 1개의 꽃이 달리며 백색 털로 덮여 있지만 점차 없어지고 바로 꽃 밑에만 밀모가 남는다.

총포는 꽃이 필 때는 길이 12mm이지만 15mm로 자라며 지름 25-27mm이고 외포편은 선상 피침형 또는 간혹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서 곧추서며 뿔같은 소돌기가 있다.

꽃부리는 황색으로서 가장자리의 것은 길이 15mm, 나비 2-2.5mm이고 판통은 길이 5mm내외이며 털이 없다.

 

열매

5-6월이 되면 꽃이 시든 자리에서 씨앗의 날개가 돋아나 하얗고 둥근 모양으로 부푼다.

수과는 갈색이 돌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3-3.5mm, 나비 1.2-1.5mm로서 윗부분에 뾰족한 돌기가 있고 표면에 6줄의 홈이 있으며 부리는 길이 6-8mm이고 관모는 길이 6mm로서 연한 백색이다.

 

줄기

원줄기가 없이 잎이 모여 나고 옆으로 퍼진다.

 

뿌리

육질로서 길며, 포공영근(浦公英根)이라 한다.

 

생육환경

양지에 흔히 자란다.

생활력이 강하여 대개의 환경에 적응하여 잘 자라지만 굳이 적지를 고르려면 배수가 잘 되고 해가 잘 드는 곳이 좋으며 비옥한 땅이면 더욱 좋다.

 

번식방법

실생으로 번식한다. 씨가 날아가기 직전에 채취했다가 봄의 3월 중에 30cm 간격으로 줄뿌림하면 쉽게 발아한다.

싹이 트면 솎아서 15cm 간격으로 세운다.

육묘기간엔 비배와 제초에 힘쓴다.

 

재배특성

연화재배로 베어낸 후에 다시 싹이 나오므로 봄에 다시 상품화 할 수 있어 1년에 적어도 3회의 수확이 가능하다.

 

용도

어린 잎을 나물로 한다.

민들레 및 同屬 近緣植物(동속 근연식물)()이 달린 全草(전초)蒲公英(포공영)이라 하며 약용한다.

봄과 여름에 꽃이 피기 전이나 후에 뿌리째 뽑아 흙을 털고 깨끗이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 민들레의 전초에는 taraxasterol, cholin, inulin pectin 등이 함유된다.

약효 : 淸熱(청열), 해독, 利尿(이뇨), 散結(산결)의 효능이 있다. 急性乳腺炎(급성유선염), 淋巴腺炎(임파선염), 나력, 정독창종, 급성결막염, 感氣發熱(감기발열), 급성편도선염, 급성기관지염, 胃炎(위염), 肝炎(간염), 膽囊炎(담낭염), 尿路感染(요로감염)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10-30g(대량투여약일 경우는 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 짓찧어 낸 즙을 복용하던가 散劑(산제)로 해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바른다.

 

보호방법

흔한 민들레지만 집단재배하여 개량해가면 값진 소득원으로 등장시킬 수도 있다.

 

유사종

좀민들레, 산민들레, 흰민들레, 서양민들레 등이 있다.

서양민들레는 식용민들레도 귀화식물화 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크고 꽃이 가을까지 계속 피는 것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특징

생약의 포공영은 민들레의 꽃과 뿌리를 일컫는 것으로 민들레에는 `이눌린`, `팔미틴`, `세로친`등 특수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출처]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