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618

[20220809] 경기광주역에서 칠사산(광주고-칠사산-서하리)과 경안천누리길(청석공원-경안천습지생태공원) 일부 구간을 이어 걷기 - 3부 8월 09일(화) 경기광주역에서 칠사산(광주고-칠사산-서하리)과 경안천누리길(청석공원-경안천습지생태공원) 일부 구간을 이어 걷다. '칠사산(광주고-칠사산-서하리)과 경안천누리길(청석공원-경안천습지생태공원) 일부 구간 이어 걷기' 코스 경기광주역→경안천길→청석공원→송정교→광주고교→칠보사→칠사산 정상(칠사정)→서하리 마을회관→신익희선생 생가→도담텃밭→무수리나루터→경안천누리길 쉼터→도마리 정류장→광동교→별밭이마음쉼터→경안천습지생태공원→경안천수중보(토마토 쉼터)→정지2리→버스이동→경기광주역 오늘은 '경기광주역에서 칠사산(광주고-칠사산-서하리)과 경안천누리길(청석공원-경안천습지생태공원) 일부 구간 이어 걷기'를 위해 길을 나선다. ▼ 경안천누리길 쉼터에서... ☞ 이것으로 '칠사산(광주고-칠사산-서하리)과 경안천.. 2022. 8. 9.
[20220809] 경기광주역에서 칠사산(광주고-칠사산-서하리)과 경안천누리길(청석공원-경안천습지생태공원) 일부 구간을 이어 걷기 - 2부 8월 09일(화) 경기광주역에서 칠사산(광주고-칠사산-서하리)과 경안천누리길(청석공원-경안천습지생태공원) 일부 구간을 이어 걷다. '칠사산(광주고-칠사산-서하리)과 경안천누리길(청석공원-경안천습지생태공원) 일부 구간 이어 걷기' 코스 경기광주역→경안천길→청석공원→송정교→광주고교→칠보사→칠사산 정상(칠사정)→서하리 마을회관→신익희선생 생가→도담텃밭→무수리나루터→경안천누리길 쉼터→도마리 정류장→광동교→별밭이마음쉼터→경안천습지생태공원→경안천수중보(토마토 쉼터)→정지2리→버스이동→경기광주역 오늘은 '경기광주역에서 칠사산(광주고-칠사산-서하리)과 경안천누리길(청석공원-경안천습지생태공원) 일부 구간 이어 걷기'를 위해 길을 나선다. ▼ 서하리 신익희선생 생가에서... ☞ 여기서 '칠사산(광주고-칠사산-서하리)과 경.. 2022. 8. 9.
[20220809] 경기광주역에서 칠사산(광주고-칠사산-서하리)과 경안천누리길(청석공원-경안천습지생태공원) 일부 구간을 이어 걷기 - 1부 8월 09일(화)경기광주역에서 칠사산(광주고-칠사산-서하리)과 경안천누리길(청석공원-경안천습지생태공원) 일부 구간을 이어 걷다. '칠사산(광주고-칠사산-서하리)과 경안천누리길(청석공원-경안천습지생태공원) 일부 구간 이어 걷기' 코스 경기광주역→경안천길→청석공원→송정교→광주고교→칠보사→칠사산 정상(칠사정)→서하리 마을회관→신익희선생 생가→도담텃밭→무수리나루터→경안천누리길 쉼터→도마리 정류장→광동교→별밭이마음쉼터→경안천습지생태공원→경안천수중보(토마토 쉼터)→정지2리→버스이동→경기광주역오늘은'경기광주역에서 칠사산(광주고-칠사산-서하리)과 경안천누리길(청석공원-경안천습지생태공원) 일부 구간 이어 걷기'를 위해 길을 나선다.  ▼ 경기광주역에서... ☞ 여기서 '칠사산(광주고-칠사산-서하리)과 경안천누리길(청석공.. 2022. 8. 9.
[20220807] 수락산 피서산행(청학동계곡-금류폭포-칠성대-흑석계곡-유화담-천문폭포-거문돌계곡-후나탕-도정봉-큰골계곡-쌍암사) - 2부 8월 07일(일)수락산 피서산행(청학동계곡-금류폭포-칠성대-흑석계곡-유화담-천문폭포-거문돌계곡-후나탕-도정봉-큰골계곡-쌍암사)을 다녀오다. '수락산 피서산행(청학동계곡-금류폭포-칠성대-흑석계곡-유화담-천문폭포-거문돌계곡-후나탕-도정봉-큰골계곡-쌍암사)' 코스 당고개역→버스이동→수락산 마당바위입구 정류장→청학밸리 리조트다리→청학동계곡 따라→충정공 이혼술신도비→마당바위→청학밸리리조트 스카이비치→옥류폭포→은류폭포 전망대→금류폭포 하단→돌계단→금류폭포 상단/금류동천 각자바위→금류폭포산장→내원암→칠성대→영락대안부→흑석계곡 따라→유화담→천문폭포(문암폭포)→합수부다리→거문돌계곡 따라→후나탕→능선안부→도정봉능선→여궁바위/미륵바위→도정봉→데크계단→안부4거리→쌍암사(큰골)계곡 따라→도정폭포→쌍암사→서울승마클럽→장암역오늘은.. 2022. 8. 7.
[20220807] 수락산 피서산행(청학동계곡-금류폭포-칠성대-흑석계곡-유화담-천문폭포-거문돌계곡-후나탕-도정봉-큰골계곡-쌍암사) - 1부 8월 07일(일)수락산 피서산행(청학동계곡-금류폭포-칠성대-흑석계곡-유화담-천문폭포-거문돌계곡-후나탕-도정봉-큰골계곡-쌍암사)을 다녀오다. '수락산 피서산행(청학동계곡-금류폭포-칠성대-흑석계곡-유화담-천문폭포-거문돌계곡-후나탕-도정봉-큰골계곡-쌍암사)' 코스 당고개역→버스이동→수락산 마당바위입구 정류장→청학밸리 리조트다리→청학동계곡 따라→충정공 이혼술신도비→마당바위→청학밸리리조트 스카이비치→옥류폭포→은류폭포 전망대→금류폭포 하단→돌계단→금류폭포 상단/금류동천 각자바위→금류폭포산장→내원암→칠성대→영락대안부→흑석계곡 따라→유화담→천문폭포(문암폭포)→합수부다리→거문돌계곡 따라→후나탕→능선안부→도정봉능선→여궁바위/미륵바위→도정봉→데크계단→안부4거리→쌍암사(큰골)계곡 따라→도정폭포→쌍암사→서울승마클럽→장암역오늘은.. 2022. 8. 7.
[서대문 이음길] 안산, 인왕산, 북한산, 백련산, 궁동산에서 홍제천까지 한번에 - 서대문 안 이웃한 5개산~홍제천 산책로 ‘이음길’개통 서대문 안 이웃한 5개산~홍제천 산책로 ‘이음길’개통 안산, 인왕산, 북한산, 백련산, 궁동산에서 홍제천까지 한번에 5개 코스 26.2㎞ 조성, 공모 통해 ‘서대문이음길’로 명칭 확정 자연 따라 이어진 서대문 생태 순환길 연결, 산책로로 조성 △ 올해 5월 완성된 서대문구 이음길의 평면도다. 이웃한 5개산을 비롯해 홍제천과 연결하는 산책로로 이뤄졌다. 서대문구 5개의 산과 홍제천을 연결하는 산책로가 지난 5월 완공, 공모를 통해 「이음길」이라는 예쁜 이름을 얻었다. 생태경관 보행구역 조성사업으로 추진된 관내 5개산의 산책로 조성을 통해 안산~인왕산~북한산~백련산~궁동산~홍제천까지 5개 코스와 보조노선까지 연장 26.2㎞구간에 산책로가 주민들의 이음길이 됐다. 지난 2021년 2월부터 올해 5월까지 1년 .. 2022. 8. 6.
[20220806] 수락산 피서산행(상계3ㆍ4동 복합청사-석천공원-서울둘레길 데크다리-거인손자국바위-당고개공원갈림길-당고개역)을 다녀오다 8월 06일(토)수락산 피서산행(상계3ㆍ4동 복합청사-석천공원-데크다리-거인손자국바위-당고개공원갈림길-당고개역)을 다녀오다.수락산 피서산행(상계3ㆍ4동 복합청사-석천공원-데크다리-거인손자국바위-당고개공원갈림길-당고개역)' 코스 상계3ㆍ4동 공공복합청사→정혜서당→신불암→석가사앞→석천공원→석천생수약수터→맹꽁이바위→서울둘레길 데크다리→학림사300m전→화장실→거인손자국바위→당고개공원갈림길→당고개공원→당고개역오늘은'수락산 피서산행(상계3ㆍ4동 복합청사-석천공원-데크다리-거인손자국바위-당고개공원갈림길-당고개역)'을 위해 길을 나선다.  ▼ 상계3ㆍ4동 공공복합청사에서... ☞ 이것으로 '수락산 피서산행(상계3ㆍ4동 공공복합청사-석천공원-서울둘레길 데크다리-거인손자국바위-당고개공원갈림길-당고개역)' 이야기를 마친다... 2022. 8. 6.
[20220806] 불암산 피서산행(당고개역-철쭉동산-경수사-불암폭포-폭포약수-통일약수-실상사-상계3ㆍ4동 공공복합청사)을 다녀오다. 8월 06일(토)불암산 피서산행(당고개역-철쭉동산-경수사-불암폭포-폭포약수-통일약수-실상사-상계3ㆍ4동 공공복합청사)을 다녀오다.'불암산 피서산행(당고개역-철쭉동산-경수사-불암폭포-폭포약수-통일약수-실상사-상계3ㆍ4동 공공복합청사)' 코스 당고개역→철쭉동산→경수사→불암폭포→천보사→폭포약수→당고개→통일약수→실상사→상계3ㆍ4동 공공복합청사오늘은'불암산 피서산행(당고개역-철쭉동산-경수사-불암폭포-폭포약수-통일약수-실상사-상계3ㆍ4동공공복합청사)'을 위해 길을 나선다.  ▼ 당고개역에서... ☞ 이것으로 '불암산 피서산행(당고개역-철쭉동산-경수사-불암폭포-폭포약수-통일약수-실상사-상계3ㆍ4동 공공복합청사)' 이야기를 마친다. '불암산 피서산행(경수사-상계3ㆍ4동 복합청사) & 수락산 피서산행(상계3ㆍ4동 복합청.. 2022. 8. 6.
비 오는 날의 기도 / 양광모​ 2022. 8. 5.
비가 내리면 / 정헌재 2022. 8. 5.
[식물 이야기 - 쑥부쟁이] 쌉싸름한 봄철 새순은 민가의 먹거리… 꽃잎 색깔이 구절초와 달라요 [식물 이야기 - 쑥부쟁이] 쌉싸름한 봄철 새순은 민가의 먹거리… 꽃잎 색깔이 구절초와 달라요 쑥부쟁이 ▲ 연한 보랏빛 꽃잎을 피우는 쑥부쟁이(위)와 꽃잎이 흰색이나 옅은 분홍색에 가까운 구절초. /위키피디아 한여름부터 들판에 하나둘씩 얼굴을 내미는 보랏빛 들국화가 있습니다. 바로 '쑥부쟁이'인데요. 노란색의 동그란 중심부 가장자리에 보라색 가느다란 꽃잎을 열댓 개씩 펼치고, 무성히 자란 풀숲 가운데서 빼꼼히 얼굴을 내밀고 있지요. '구절초'와 생김새가 비슷해 흔히 헷갈리곤 하는 식물이랍니다. 구절초(九節草)는 음력 9월 9일이 되면 줄기가 아홉 마디가 된다는 뜻에서 이름이 유래했습니다. 연한 보랏빛 꽃잎을 피우는 쑥부쟁이와 달리, 구절초의 꽃잎은 흰색이거나 옅은 분홍색에 가깝습니다. 꽃의 개화 기간도 .. 2022. 8. 4.
[20220804] 칠월칠석도보(충무로역-필동 예술통-남산순환로-장충동족발골목-청계천-중랑천 합수부-한강-잠수교-고터역) - 2부 8월 04일(목) 칠월칠석도보(충무로역-필동 예술통-남산순환로-장충동족발골목-청계천-중랑천 합수부-한강-잠수교-고터역)를 다녀오다. '칠월칠석도보(충무로역-필동 예술통-남산순환로-장충동족발골목-청계천-중랑천 합수부-한강-잠수교-고터역)' 코스 충무로역→필동 예술통→남산골공원/남산한옥마을→舊 중앙정보부 제5별관터→남산 순환로 따라→와룡묘→안중근 동상→남산도서관→전망데크→남산순환로 분기점→석호정→동국대 정문→장충단공원→장충동 족발골목→DDP→청계천 오간수교→청계천 따라→성북천 합수부→정릉천 합수부→중랑천 따라→살곶이다리→용비쉼터→한강 따라→옥수역 쉼터→한남나들목→잠수교 도강→달빛무지개분수광장→잠수교 보행광장→고속터미널역 오늘은 '칠월칠석도보(충무로역-필동 예술통-남산순환로-장충동족발골목-청계천-중랑천 합수부.. 2022. 8. 4.
[20220804] 칠월칠석도보(충무로역-필동 예술통-남산순환로-장충동족발골목-청계천-중랑천 합수부-한강-잠수교-고터역) - 1부 8월 04일(목) 칠월칠석도보(충무로역-필동 예술통-남산순환로-장충동족발골목-청계천-중랑천 합수부-한강-잠수교-고터역)를 다녀오다. '칠월칠석도보(충무로역-필동 예술통-남산순환로-장충동족발골목-청계천-중랑천 합수부-한강-잠수교-고터역)' 코스 충무로역→필동 예술통→남산골공원/남산한옥마을→舊 중앙정보부 제5별관터→남산 순환로 따라→와룡묘→안중근 동상→남산도서관→전망데크→남산순환로 분기점→석호정→동국대 정문→장충단공원→장충동 족발골목→DDP→청계천 오간수교→청계천 따라→성북천 합수부→정릉천 합수부→중랑천 따라→살곶이다리→용비쉼터→한강 따라→옥수역 쉼터→한남나들목→잠수교 도강→달빛무지개분수광장→잠수교 보행광장→고속터미널역 오늘은 '칠월칠석도보(충무로역-필동 예술통-남산순환로-장충동족발골목-청계천-중랑천 합수부.. 2022. 8. 4.
[20220731] 북한산 계곡 피서산행(우이동계곡-선운각-소귀천계곡-대동문-북한산성계곡-북한산성입구)을 다녀오다. 7월 31일(일) 북한산 계곡 피서산행(우이동계곡-선운각-소귀천계곡-대동문-북한산성계곡-북한산성입구)을 다녀오다. '북한산 계곡 피서산행(우이동계곡-선운각-소귀천계곡-대동문-북한산성계곡-북한산성입구)' 코스 북한산우이역→우이동계곡→선운각→옥류교→소귀천공원지킴터→소귀천계곡→진달래능선 갈림길→대동문→대남문갈림길→북한산성계곡→행궁지→산영루→노적교→중성문(시구문)→새마을교→수문지→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북한산성입구 정류장 오늘은 '북한산 계곡 피서산행(우이동계곡-선운각-소귀천계곡-대동문-북한산성계곡-북한산성입구)'을 위해 길을 나선다. ▼ 북한산우이역에서... ☞ 이것으로 '북한산 계곡 피서산행(우이동계곡-선운각-소귀천계곡-대동문-북한산성계곡-북한산성입구)' 이야기를 마친다. 2022. 7. 31.
8월의 시 / 오세영 2022. 7. 28.
8월 마중 / 윤보영 2022. 7. 28.
[20220727] 피서도보(종로3가역에서 도심을 거쳐 백사실계곡-홍제천-경의선숲길-한강산책로 따라 노량진역까지) - 4부 7월 27일(수)피서도보(종로3가역에서 도심을 거쳐 백사실계곡-홍제천-경의선숲길-한강산책로 따라 노량진역까지)를 다녀오다.'피서도보(종로3가역에서 도심을 거쳐 백사실계곡-홍제천-경의선숲길-한강산책로 따라 노량진역까지)' 코스 종로3가역→단성사터→종묘공원→동순라길→율곡로(창경궁-종묘 연결구간)→창덕궁→서울우리소리박물관→북촌1경→재동초교 앞→백인제가옥→북촌5경/6경→삼청경로당→춘추관 앞→청와대 앞길→사랑채→봉황분수대→무궁화동산→청운초교 앞→경기상고 앞→청운문학도서관→서시정→시인의언덕→자하문고개→부암동돈까스→동양방아간→환기미술관→산모퉁이→응선사→백석동천 각자바위→백사실계곡/별서터→현통사→일붕선원→불암→세검정터→홍지문(오간수문)→옥천암/보도각 백불→포방터시장→홍제천 인공폭포→유진상가/홍제유연→홍은사거리→가좌역/.. 2022. 7. 27.
[20220727] 피서도보(종로3가역에서 도심을 거쳐 백사실계곡-홍제천-경의선숲길-한강산책로 따라 노량진역까지) - 3부 7월 27일(수)피서도보(종로3가역에서 도심을 거쳐 백사실계곡-홍제천-경의선숲길-한강산책로 따라 노량진역까지)를 다녀오다.'피서도보(종로3가역에서 도심을 거쳐 백사실계곡-홍제천-경의선숲길-한강산책로 따라 노량진역까지)' 코스 종로3가역→단성사터→종묘공원→동순라길→율곡로(창경궁-종묘 연결구간)→창덕궁→서울우리소리박물관→북촌1경→재동초교 앞→백인제가옥→북촌5경/6경→삼청경로당→춘추관 앞→청와대 앞길→사랑채→봉황분수대→무궁화동산→청운초교 앞→경기상고 앞→청운문학도서관→서시정→시인의언덕→자하문고개→부암동돈까스→동양방아간→환기미술관→산모퉁이→응선사→백석동천 각자바위→백사실계곡/별서터→현통사→일붕선원→불암→세검정터→홍지문(오간수문)→옥천암/보도각 백불→포방터시장→홍제천 인공폭포→유진상가/홍제유연→홍은사거리→가좌역/.. 2022. 7. 27.
[20220727] 피서도보(종로3가역에서 도심을 거쳐 백사실계곡-홍제천-경의선숲길-한강산책로 따라 노량진역까지) - 2부 7월 27일(수)피서도보(종로3가역에서 도심을 거쳐 백사실계곡-홍제천-경의선숲길-한강산책로 따라 노량진역까지)를 다녀오다.'피서도보(종로3가역에서 도심을 거쳐 백사실계곡-홍제천-경의선숲길-한강산책로 따라 노량진역까지)' 코스 종로3가역→단성사터→종묘공원→동순라길→율곡로(창경궁-종묘 연결구간)→창덕궁→서울우리소리박물관→북촌1경→재동초교 앞→백인제가옥→북촌5경/6경→삼청경로당→춘추관 앞→청와대 앞길→사랑채→봉황분수대→무궁화동산→청운초교 앞→경기상고 앞→청운문학도서관→서시정→시인의언덕→자하문고개→부암동돈까스→동양방아간→환기미술관→산모퉁이→응선사→백석동천 각자바위→백사실계곡/별서터→현통사→일붕선원→불암→세검정터→홍지문(오간수문)→옥천암/보도각 백불→포방터시장→홍제천 인공폭포→유진상가/홍제유연→홍은사거리→가좌역/.. 2022. 7. 27.
[20220727] 피서도보(종로3가역에서 도심을 거쳐 백사실계곡-홍제천-경의선숲길-한강산책로 따라 노량진역까지) - 1부 7월 27일(수)피서도보(종로3가역에서 도심을 거쳐 백사실계곡-홍제천-경의선숲길-한강산책로 따라 노량진역까지)를 다녀오다.'피서도보(종로3가역에서 도심을 거쳐 백사실계곡-홍제천-경의선숲길-한강산책로 따라 노량진역까지)' 코스 종로3가역→단성사터→종묘공원→동순라길→율곡로(창경궁-종묘 연결구간)→창덕궁→서울우리소리박물관→북촌1경→재동초교 앞→백인제가옥→북촌5경/6경→삼청경로당→춘추관 앞→청와대 앞길→사랑채→봉황분수대→무궁화동산→청운초교 앞→경기상고 앞→청운문학도서관→서시정→시인의언덕→자하문고개→부암동돈까스→동양방아간→환기미술관→산모퉁이→응선사→백석동천 각자바위→백사실계곡/별서터→현통사→일붕선원→불암→세검정터→홍지문(오간수문)→옥천암/보도각 백불→포방터시장→홍제천 인공폭포→유진상가/홍제유연→홍은사거리→가좌역/.. 2022. 7. 27.
행복을 즐겨야 할 시간은 지금이다. 행복을 즐겨야 할 장소는 여기이다.- 로버트 인젠솔 2022. 7. 26.
[식물 이야기 - 눈잣나무] 줄기가 옆으로 누워서 자라… 다 커도 높이 3m 정도밖에 안 된대요 [식물 이야기 - 눈잣나무] 줄기가 옆으로 누워서 자라… 다 커도 높이 3m 정도밖에 안 된대요 눈잣나무 ▲ 3m 이하로 자라는 눈잣나무(왼쪽)와 20~30m 정도 자라는 잣나무의 모습. /천리포수목원·위키피디아 나무는 키를 기준으로 크게 세 부류로 나뉜답니다. 줄기가 곧고 굵으며 통상 높이가 8m 넘게 자라는 나무를 '교목(喬木)', 진달래나 앵두나무처럼 보통 3m 이하로 자라는 키가 작은 나무를 '관목(灌木)', 교목과 관목의 중간 높이를 '아교목(亞喬木)'이라 하지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잣나무는 키가 20~30m 정도로 자라는 교목에 해당해요. 반면 키가 1~3m 정도로 작은 관목에 해당하는 '눈잣나무'도 있답니다. 눈잣나무라는 이름은 평안북도 방언에서 비롯한 것으로, '줄기가 누워서 자라는 .. 2022. 7. 25.
[20220725] 한강야행(노량진역-사육신공원-한강대교-노들섬-미루나무길-잠수교-달빛무지개분수쇼-세빛섬-서래섬-동작역)을 다녀오다. 7월 25일(월) 한강야행(노량진역-사육신공원-한강대교-노들섬-미루나무길-잠수교-달빛무지개분수쇼-세빛섬-서래섬-동작역)을 다녀오다. '한강야행(노량진역-사육신공원-한강대교-노들섬-미루나무길-잠수교-달빛무지개분수쇼-세빛섬-서래섬-동작역)' 코스 노량진역→사육신공원→한강대교→노들섬→미루나무길→잠수교→달빛무지개분수쇼→세빛섬→서래섬→동작역 오늘은 '한강야행(노량진역-사육신공원-한강대교-노들섬-미루나무길-잠수교-달빛무지개분수쇼-세빛섬-서래섬-동작역)'을 위해 길을 나선다. ▼ 노량진역에서... ☞ 이것으로 '한강야행(노량진역-사육신공원-한강대교-노들섬-미루나무길-잠수교-달빛무지개분수쇼-세빛섬-서래섬-동작역)' 이야기를 마친다. 2022. 7. 25.
[20220724] 삼성산&관악산 계곡 피서산행(삼막천계곡ㆍ삼막사계곡ㆍ망월암계곡ㆍ삼성천계곡ㆍ관양계곡ㆍ숨은계곡) - 3부 7월 24일(일)삼성산&관악산 계곡 피서산행(삼막천계곡ㆍ삼막사계곡ㆍ망월암계곡ㆍ삼성천계곡ㆍ관양계곡ㆍ숨은계곡)을 다녀오다.'삼성산&관악산 계곡 피서산행(삼막천계곡ㆍ삼막사계곡ㆍ망월암계곡ㆍ삼성천계곡ㆍ관양계곡ㆍ숨은계곡)' 코스 관악역→신촌교→삼막5교→삼막천계곡→삼막사등산로입구→삼막사계곡→삼막사 일주문→삼막사→칠성각(남녀근석/마애삼존불)→상불암갈림길→용궁각→우물→망월암→망월암계곡→망월암계곡/삼성천계곡 합수부→삼성천계곡→서울대수목원 후문→비산동 도요지→삼성천보→관양계곡→넝쿨숲→헬기장→관악산철봉→숨은계곡→숨은폭포→관악산둘레길 목교→백운사(용운암) 입구→산불감시초소→홍촌 마애승상(용운안 마애승용군)→세심교/세심탕→국사편찬위원회→과천시청→정부과천청사역오늘은'삼성산&관악산 계곡 피서산행(삼막천계곡ㆍ삼막사계곡ㆍ망월암계곡ㆍ삼성.. 2022. 7. 24.
[20220724] 삼성산&관악산 계곡 피서산행(삼막천계곡ㆍ삼막사계곡ㆍ망월암계곡ㆍ삼성천계곡ㆍ관양계곡ㆍ숨은계곡) - 2부 7월 24일(일)삼성산&관악산 계곡 피서산행(삼막천계곡ㆍ삼막사계곡ㆍ망월암계곡ㆍ삼성천계곡ㆍ관양계곡ㆍ숨은계곡)을 다녀오다.'삼성산&관악산 계곡 피서산행(삼막천계곡ㆍ삼막사계곡ㆍ망월암계곡ㆍ삼성천계곡ㆍ관양계곡ㆍ숨은계곡)' 코스 관악역→신촌교→삼막5교→삼막천계곡→삼막사등산로입구→삼막사계곡→삼막사 일주문→삼막사→칠성각(남녀근석/마애삼존불)→상불암갈림길→용궁각→우물→망월암→망월암계곡→망월암계곡/삼성천계곡 합수부→삼성천계곡→서울대수목원 후문→비산동 도요지→삼성천보→관양계곡→넝쿨숲→헬기장→관악산철봉→숨은계곡→숨은폭포→관악산둘레길 목교→백운사(용운암) 입구→산불감시초소→홍촌 마애승상(용운안 마애승용군)→세심교/세심탕→국사편찬위원회→과천시청→정부과천청사역오늘은'삼성산&관악산 계곡 피서산행(삼막천계곡ㆍ삼막사계곡ㆍ망월암계곡ㆍ삼성.. 2022. 7. 24.
[20220724] 삼성산&관악산 계곡 피서산행(삼막천계곡ㆍ삼막사계곡ㆍ망월암계곡ㆍ삼성천계곡ㆍ관양계곡ㆍ숨은계곡) - 1부 7월 24일(일)삼성산&관악산 계곡 피서산행(삼막천계곡ㆍ삼막사계곡ㆍ망월암계곡ㆍ삼성천계곡ㆍ관양계곡ㆍ숨은계곡)을 다녀오다.'삼성산&관악산 계곡 피서산행(삼막천계곡ㆍ삼막사계곡ㆍ망월암계곡ㆍ삼성천계곡ㆍ관양계곡ㆍ숨은계곡)' 코스 관악역→신촌교→삼막5교→삼막천계곡→삼막사등산로입구→삼막사계곡→삼막사 일주문→삼막사→칠성각(남녀근석/마애삼존불)→상불암갈림길→용궁각→우물→망월암→망월암계곡→망월암계곡/삼성천계곡 합수부→삼성천계곡→서울대수목원 후문→비산동 도요지→삼성천보→관양계곡→넝쿨숲→헬기장→관악산철봉→숨은계곡→숨은폭포→관악산둘레길 목교→백운사(용운암) 입구→산불감시초소→홍촌 마애승상(용운안 마애승용군)→세심교/세심탕→국사편찬위원회→과천시청→정부과천청사역오늘은'삼성산&관악산 계곡 피서산행(삼막천계곡ㆍ삼막사계곡ㆍ망월암계곡ㆍ삼성.. 2022. 7. 24.
[20220721] 서울도심나들이(문화ㆍ역사유적ㆍ맛집 탐방)을 다녀오다 - 2부 7월 21일(목) 서울도심나들이(문화ㆍ역사유적ㆍ맛집 탐방)을 다녀오다.'서울도심나들이(문화ㆍ역사유적ㆍ맛집 탐방)' 코스 시청역→시민청→서울도서관→서울광장→환구단→덕수궁돌담길→서울시립미술관(서소문본관)→정동제일교회→고종의길→댓짱돈까스→돈의문박물관마을→국립기상박물관→경희궁→서울역사박물관→새문안교회→종교교회→서촌→이상의집→대오서점→통인시장→신교동→궁정동 무궁화동산→칠궁→백악정→만세동방약수터→청와대전망대→춘추관→삼청동수제비→감사원→북촌한옥마을→헌법재판소 백송→안국역→서울공예박물관→조계사→삼백집→종각역오늘은 '서울도심나들이(문화ㆍ역사유적ㆍ맛집 탐방)'을 위해 길을 나선다.  ▼ 종교교회에서... ☞ 이것으로 '서울도심나들이(문화ㆍ역사유적ㆍ맛집 탐방)' 이야기를 마친다. '서울도심나들이(문화ㆍ역사유적ㆍ맛집 탐방)을.. 2022. 7. 21.
[20220721] 서울도심나들이(문화ㆍ역사유적ㆍ맛집 탐방)을 다녀오다 - 1부 7월 21일(목) 서울도심나들이(문화ㆍ역사유적ㆍ맛집 탐방)을 다녀오다.'서울도심나들이(문화ㆍ역사유적ㆍ맛집 탐방)' 코스 시청역→시민청→서울도서관→서울광장→환구단→덕수궁돌담길→서울시립미술관(서소문본관)→정동제일교회→고종의길→댓짱돈까스→돈의문박물관마을→국립기상박물관→경희궁→서울역사박물관→새문안교회→종교교회→서촌→이상의집→대오서점→통인시장→신교동→궁정동 무궁화동산→칠궁→백악정→만세동방약수터→청와대전망대→춘추관→삼청동수제비→감사원→북촌한옥마을→헌법재판소 백송→안국역→서울공예박물관→조계사→삼백집→종각역오늘은 '서울도심나들이(문화ㆍ역사유적ㆍ맛집 탐방)'을 위해 길을 나선다.  ▼ 시청역에서... ☞ 여기서 '서울도심나들이(문화ㆍ역사유적ㆍ맛집 탐방) - 1부'를 마치고... '서울도심나들이(문화ㆍ역사유적ㆍ맛집 탐방).. 2022. 7. 21.
[식물 이야기 - 해바라기] 작은 꽃 모여 한 송이처럼 보여… 국화 닮은 돌연변이도 있대요 [식물 이야기 - 해바라기] 작은 꽃 모여 한 송이처럼 보여… 국화 닮은 돌연변이도 있대요 해바라기▲ 일반적인 해바라기(왼쪽)의 모습과 돌연변이 품종인 선골드 해바라기의 모습. /국립생물자원관·위키피디아 네덜란드의 화가 빈센트 반 고흐(1853~ 1890)는 커다란 노란색 해바라기가 꽂힌 화병 정물화를 비롯해 여러 해바라기 그림을 남겼습니다.그중에는 우리에게 좀 낯선 해바라기도 있는데요.복슬복슬한 노란 꽃잎이 빼곡히 난 모습으로, 흔히 알고 있는 해바라기보다는 국화를 닮았어요.우리에게 익숙한 해바라기는 노란 꽃잎이 어두운 중앙부를 둘러싸고 있는 모양인데요.두 해바라기는 어떤 차이가 있는 걸까요? 국화과 식물인 해바라기는 여러 작은 꽃이 빼곡하게 한데 붙어 꽃을 피워요.작은 꽃이 모여 하나의 꽃처럼 보이는.. 2022. 7. 18.
[20220718] 한강야행(신도림역-도림천-신정교-안양천-안양천합수부-한강산책로-선유도공원-물빛광장-여의나루역)을 다녀오다 7월 18일(월) 한강야행(신도림역-도림천-신정교-안양천-안양천합수부-한강산책로-선유도공원-물빛광장-여의나루역)을 다녀오다. '한강야행(신도림역-도림천-신정교-안양천-안양천합수부-한강산책로-선유도공원-물빛광장-여의나루역)' 코스 신도림역→도림천 뚝방길→신정교→안양천 뚝방길→안양천합수부→한강산책로→선유도공원→물빛광장→여의나루역 오늘은 '한강야행(신도림역-도림천-신정교-안양천-안양천합수부-한강산책로-선유도공원-물빛광장-여의나루역)'을 위해 길을 나선다. ▼ 신도림역에서... ☞ 이것으로 '한강야행(신도림역-도림천-신정교-안양천-안양천합수부-한강산책로-선유도공원-물빛광장-여의나루역)' 이야기를 마친다. 2022. 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