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유적탐방후기☞/♣ 남한산성

[20081102]남한산성 성곽따라 일주하며 단풍유람 산행을 다녀오다 - 2부

by 맥가이버 Macgyver 2008. 11. 3.
28580
 
2008년 11월 02일 일요일
'남한산성 성곽따라 일주하며 단풍유람 산행을 다녀오다'
 
마천역-마천로-사자아파트-비호아파트-비호부대-청운사-남한산성 서문-시계방향으로 일주 시작
-서문(우익문)-매탄지-암문-북장대지-북문(전승문)-암문-동장대 암문-동장대지-장경사신지옹성
-장경사-송암정-동문(좌익문)-수문-시구문-제3옹성/암문-제2옹성/암문-남장대지-제1옹성/암문
-남문(지화문)-영춘정-수어장대-매바위-청량당-병암-서문(우익문)-이제는 서문 밖으로 나가서
-전망터-연주봉옹성 입구-연주봉 옹성 망루-산불감시탑-성불사 능선으로 하산하여-마천역
 
오늘은 단풍유람산행으로 좋을 듯한 남한산성으로 가을산행을 나선다.
마천역에서 남한산성 서문으로 올라 시계방향으로 성곽을 따라 산성일주를 하고,
서문으로 원점회귀한 후 서문 밖으로 나가 연주봉옹성을 둘러보고
성불사 능선을 타고 하산하여 마천역에서 일정을 마쳤다.
 
☞ 자세한 이야기는 맥가이버의 블로그 사진으로 대신한다.
     
 
'남한산성 성곽따라 일주하며 단풍유람 산행을 다녀오다 - 2부'를 시작하며...
  

 

 

 

 

 

 

 

 

 

 

 

 

 

 

★ 북문(戰勝門) 


성곽 북쪽의 해발 365m 지점에 있으며, 북문을 나서면 계곡으로 난 길을 따라 상사창리로 이르게 되는데

조선시대에 수운으로 옮긴 세곡을 등짐으로 이 문을 통해 산성안으로 운반하였다.

 

선조대의 기록을 보면 산성 내에 동문과 남문, 수구문의 3개의 문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북문은 인조2년(1624)에 신축된 성문이라고 생각된다.

 

정조 3년(1779) 성곽을 개보수할 때 개축하고 이름을 붙여 전승문(戰勝門)이라 칭하였다.

'전승문' 이란 싸움에 패하지 않고, 모두 승리한다는 뜻인데 현재 편액은 걸려있지 않다. 


북문은 홍예식 문이며, 홍예기석 위에 10개의 홍에돌을 쌓아 구축하였다.

문의 폭은 325cm, 높이는 365cm이다.

 

육축은 특별히 가공하거나 큰 무사석을 사용하지는 않았으며 일반 성벽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다만 성벽의 두께는 두꺼워져 약 710cm에 달한다.

 

홍예 안쪽에는 판문을 설치하였으며 철린을 박아 보강하였다.

여장은 총안이나 타가 없는 평여장을 설치하였고, 문루로 오르는 계단을 별도로 설치하지도 않았다.

 

문루는 단층이고 규모는 정면 4칸 측면2칸이며, 지붕은 겹처마를 두른 팔작지붕이다.

지붕의 용머리는 치미를 장식하였고 내림마루에도 용두를 장식하였다.

 

천장양식은 연등천정이며 기둥 양식은 주심포 양식의 민흘림 기둥이다.

 

 

 

  

 

 

 

 

 

 

 

 

 

 

 

 

 

 

 

 

 

 

 

 

 

 

 

 

 

 

 

 

 

 

 

 

 

 

 

 

 

 

 

 

 

 

 

 

 

 

 

 

 

 

 

 

 

 

 

 

 

 

 

 

 

 

 

 

 

 

 

 

 

 

 

 

 

 

 

 

 

 

 

 

 

 

 

 

 

 

 

 

 

 

 

 

  

 

 

★ 동장대 

 

동장대는 동쪽 내성의 가장 높은 곳,

즉 한봉외성으로 나가는 암문의 우측 언덕에 있는 건물 터로 해발 501m 지점에 위치한다.


동장대는 인조 2년(1624) 산성수축시 동장대가 설치되고 누각이 함께 건축되었다.

이곳에는 동서 21m, 남북 17m 정도 규모의 평탄지가 있으며 중앙에는 4개의 초석이 남아 있다.


장대의 외곽에는 높이 350cm 정도의 석축이 쌓여 있다.

수어청의 5영 중 전영장과 좌영장이 배치되어 진을 치고 휘하 장졸을 지휘하던 곳이다.


건물 지에는 와편과 잡석이 흩어져 있으며 주변에 비교적 높이 쌓은 석축이 양호한 상태로 남아 있다.

 

이곳은 숙종 때 외성이 확장되면서 외도장대와 함께

성곽의 동쪽에서 가장 높아 성곽 북쪽과 동쪽을 한눈에 감지 할 수 있는 곳이다.

 

 

 

 

 성위에 설치하는 구조물로 적의 화살이나 총알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하여 낮게 쌓은 담장을 말한다.
 
이 여장은 다른 용어로 여담, 여첩, 치첩, 타, 여원 이라고도 하고 고어로는 성각휘, 성가퀴, 살받이터 등으로 불려졌다.
 
또한 설치하는 목적에 따라 치폐, 첩담, 비예, 희장 이라고도 하였다.

여장의 종류에는 평여장과, 凸형여장, 반원형여장 등으로 구분된다.
 
평여장은 타와 타 사이에 타구를 설치하고 크기가 일정한 장방형의 형태를 하고 있는데 남한산성의 여장은 1940타 이며 모두 평여장이다.
1타의 길이는 남한산성의 경우 위치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1타의 길이는 대략 3 ∼ 4.5m 정도이며 여장의 높이는 낮은 곳은 70cm, 높은 곳은 135cm 정도이다.
 
타와 타 사이의 타구의 폭은 30cm이고 타구의 높이는 56cm로 대략 여장높이의 1/2정도이다.
여장의 폭은 76cm이고, 타와 타 사이의 간격은 15cm 정도이나 중앙부를 형태로 뾰족하게 처리하여 좁지만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의 조망이 가능하도록 하여 방어의 효율성을 높였다.

 

 

 

 

 

 

 

 

 

 

 

 

 

 

 

 

 

☞ 여기서 '남한산성 성곽따라 일주하며 단풍유람 산행을 다녀오다 - 2부'를 마치고...

 

 

2008년 11월 02일 일요일
[남한산성 성곽따라 일주하며 단풍유람 산행을 다녀오다]

 

-▥☞ 1부(마천역-비호부대-남한산성 서문/우익문-매탄지-북장대지)를 보시려면 여기를 누르세요.☜▥-


-▥☞ 2부(북장대지-북문/전승문-동장대 암문-동장대지-장경사신지옹성)를 보시려면 여기를 누르세요.☜▥-

 

-▥☞ 3부(신지옹성-장경사-송암정-동문/좌익문-수문-시구문-남장대지)를 보시려면 여기를 누르세요.☜▥-


-▥☞ 4부(남장대지-남문/지화문-영춘정-제1옹성-암문-수어장대)를 보시려면 여기를 누르세요.☜▥-

 

-▥☞ 5부(수어장대-병암-서문/우익문-연주봉옹성-청운사-마천역)를 보시려면 여기를 누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