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유적탐방후기☞/♣ 남한산성

[20081102]남한산성 성곽따라 일주하며 단풍유람 산행을 다녀오다 - 4부

by 맥가이버 Macgyver 2008. 11. 3.
28584
 
2008년 11월 02일 일요일
'남한산성 성곽따라 일주하며 단풍유람 산행을 다녀오다'
 
마천역-마천로-사자아파트-비호아파트-비호부대-청운사-남한산성 서문-시계방향으로 일주 시작
-서문(우익문)-매탄지-암문-북장대지-북문(전승문)-암문-동장대 암문-동장대지-장경사신지옹성
-장경사-송암정-동문(좌익문)-수문-시구문-제3옹성/암문-제2옹성/암문-남장대지-제1옹성/암문
-남문(지화문)-영춘정-수어장대-매바위-청량당-병암-서문(우익문)-이제는 서문 밖으로 나가서
-전망터-연주봉옹성 입구-연주봉 옹성 망루-산불감시탑-성불사 능선으로 하산하여-마천역
 
오늘은 단풍유람산행으로 좋을 듯한 남한산성으로 가을산행을 나선다.
마천역에서 남한산성 서문으로 올라 시계방향으로 성곽을 따라 산성일주를 하고,
서문으로 원점회귀한 후 서문 밖으로 나가 연주봉옹성을 둘러보고
성불사 능선을 타고 하산하여 마천역에서 일정을 마쳤다.
 
☞ 자세한 이야기는 맥가이버의 블로그 사진으로 대신한다.
     
 
'남한산성 성곽따라 일주하며 단풍유람 산행을 다녀오다 - 4부'를 시작하며...
  

 

 

★ 남장대

 

남장대는 남한산성 남쪽 제2옹성의 바로 안쪽에 있었던 장대로

주변 지형을 보더라고 장대가 위치할 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다.


수어청에 소속된 5영 중 후영장이 배치되어 진을 치고 휘하 장졸을 지휘하던 곳이다.

장대 위에는 1788년 부윤 이태영이 세운 타운루가 있었으나,

지금은 둥글게 잘 다듬어진 21개의 주춧돌만 남아있다. 


주춧돌은 높이 31cm 내외의 원형 고주초석으로 직경은 50cm 정도이고,

남-북향으로 놓여져 있으며, 한 변의 길이가 880cm인 정방형 건물이다.


성 내부로 향하는 건물터 뒤쪽에는 장대를 지을 때 쌓았던 것으로 보이는 석축이 남아 있다.

 

장대가 있는 이 지역은 성곽을 크게 돌출 시켜 장대 앞의 면적을 넓히는 한편 수성의 효과를 크게 하였다.

특히 돌출된 성곽의 끝으로는 옹성을 설치하여 그 끝에는 포혈을 설치하여 수비하도록 하였다.

 

 

 

 

 

 

 

 

 

 

 

  

 

 

 

 

  

 

 

 

 

 

 

 

 

 

 

 

 

 

 

 

 

 

 

 

 

 

 

 

 

 

 

 

★ 남문(至和門) 


성의 서남쪽 곡저부의 해발 370cm 지점에 위치한다.

 

선조대의 기록을 보면 동문, 남문, 수구문의 세 문을 수축하였다는 내용이 있는 것으로 보아

남문은 인조 2년(1624) 수축되기 이전부터 이미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남문은 정조 3년(1779) 성곽을 개보수할 때 개축하여 지화문(至和門)으로 칭하였으며

남문은 4대문 중 유일하게 현판이 남아있는 문이다.

 

병자호란으로 인조가 처음 남한산성에 들어 올 때에도 이 문을 통해서 들어 왔다.

성문은 홍예문과 문루로 구분된다.
홍예문은 높이 475cm, 너비 335cm, 길이 860cm로 홍예기석 위에 17개의 홍예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성문의 하부 육축은 일부 성벽의 배부른 현상을 제외하고는

육축의 높이와 홍예문의 높이가 동문보다는 높게 계획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성문의 문비도 두꺼운 판재에 30cm 크기의 철린을 촘촘히 박아 댄 육중한 모습이며

상하의 지도리석으로 위아래에서 지탱하도록 되어 있는 원형 그대로이다.

문짝의 뒷면에는 빗장을 지를 수 있도록 장방형 장군목 홈이 측벽의 좌우에 각각 파여져 있다.

 

성문 통로의 바닥은 바깥쪽으로 경사가 심하며 통로 위의 천장은 동문의 경우와 같이

회벽이 홍예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회벽칠로 둥글게 막아져 있다.

 

다른 성곽의 성문에서는 주로 판자널로 천장을 막고 별화단청을 한 천판을 형성하는 것이

통례임에 비추어 볼 때 이것은 이례적이라 할 수 있다.

지금의 문루는 1976년 화강석 장주초석 일부만 남아 있던 것을

주초석을 대부분 새로 보충하여 문루를 복원하고 현판을 걸었다.

 

문루는 정면 3칸, 측면 3칸으로 동문에 비해 비교적 그 규모가 크고 장초석을 사용하여

기둥높이는 낮으나 건물의 전체 높이는 약간 더 높게 지어졌다.

또한 건축양식으로 비교하면 동문보다는 공포와 가구구조,

처마부분 등에서 비교적 형식을 갖추어 지어졌다고 볼 수 있다.

 

기단은 양 측면에 있어야 하는데 이곳은 생략되어 있다. 향후 보수시에 기단이 설치 되어야 할 것이다.

화강석 장주초석 위에 세워진 기둥은 건물규모에 비하여 비교적 굵으며 약한 민흘림이 있다.

 

도리는 굴도리가 사용되었으며 공포는 주두, 소로, 초익공을 갖춘 익공계 양식으로 꾸며 졌다.

고주없이 대량 위에 동자주를 세워 중도리를 받는 5량가 형식으로서

퇴량이 없이 측면쪽에만 대량 위에 충량 2본씩이 걸쳐져 외기중도리를 받는 구조이다.

 

건물 내부의 천장은 연목의 몸이 그대로 드러나는 연등천정이며 외기반자쪽만 판재로 막아 대었다.

 

문루는 팔작지붕이며 용머리는 망와로 마감하였으나 내림마루에는 망새대신 용두를 장식하였다.

 

누대의 천정 양식은 연등 천정 양식이다.

 

주춧돌은 가로 50cm, 세로 50cm, 높이 110cm의 장주 초석을 사용하였다.

남문은 4대문 중 가장 크고 웅장한 중심문이다.

 

  

 

 

 

 

 

 

 

 

 

 

 

 

 

 

 

 

 

 

 

 

 

 

 

 

 

 

 

 

 

 

 

 

 

 

 

 

 

 

 

 

 

 

 

 

 

 

 

 

 

 

 

 

 

 

 

 

 

 

 

 

 

 

 

 

 

 

 

 

 

 

 

 

 

 

 ☞ 여기서 '남한산성 성곽따라 일주하며 단풍유람 산행을 다녀오다 - 4부'를 마치고...

 

 

2008년 11월 02일 일요일
[남한산성 성곽따라 일주하며 단풍유람 산행을 다녀오다]

 

-▥☞ 1부(마천역-비호부대-남한산성 서문/우익문-매탄지-북장대지)를 보시려면 여기를 누르세요.☜▥-


-▥☞ 2부(북장대지-북문/전승문-동장대 암문-동장대지-장경사신지옹성)를 보시려면 여기를 누르세요.☜▥-

 

-▥☞ 3부(신지옹성-장경사-송암정-동문/좌익문-수문-시구문-남장대지)를 보시려면 여기를 누르세요.☜▥-


-▥☞ 4부(남장대지-남문/지화문-영춘정-제1옹성-암문-수어장대)를 보시려면 여기를 누르세요.☜▥-

 

-▥☞ 5부(수어장대-병암-서문/우익문-연주봉옹성-청운사-마천역)를 보시려면 여기를 누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