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유적탐방후기☞/♣ 남한산성

[20081102]남한산성 성곽따라 일주하며 단풍유람 산행을 다녀오다 - 3부

by 맥가이버 Macgyver 2008. 11. 3.
28581
 
2008년 11월 02일 일요일
'남한산성 성곽따라 일주하며 단풍유람 산행을 다녀오다'
 
마천역-마천로-사자아파트-비호아파트-비호부대-청운사-남한산성 서문-시계방향으로 일주 시작
-서문(우익문)-매탄지-암문-북장대지-북문(전승문)-암문-동장대 암문-동장대지-장경사신지옹성
-장경사-송암정-동문(좌익문)-수문-시구문-제3옹성/암문-제2옹성/암문-남장대지-제1옹성/암문
-남문(지화문)-영춘정-수어장대-매바위-청량당-병암-서문(우익문)-이제는 서문 밖으로 나가서
-전망터-연주봉옹성 입구-연주봉 옹성 망루-산불감시탑-성불사 능선으로 하산하여-마천역
 
오늘은 단풍유람산행으로 좋을 듯한 남한산성으로 가을산행을 나선다.
마천역에서 남한산성 서문으로 올라 시계방향으로 성곽을 따라 산성일주를 하고,
서문으로 원점회귀한 후 서문 밖으로 나가 연주봉옹성을 둘러보고
성불사 능선을 타고 하산하여 마천역에서 일정을 마쳤다.
 
☞ 자세한 이야기는 맥가이버의 블로그 사진으로 대신한다.
     
 
'남한산성 성곽따라 일주하며 단풍유람 산행을 다녀오다 - 3부'를 시작하며...
  

  

 

 

 

★ 옹성

 

성문을 보호하기 위하여 성문 밖으로 또 한 겹의 성벽을 둘러쌓아 이중으로 쌓은 성벽을 말한다.

 

성내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이 옹성을 먼저 통과해야만 하고,

성벽에서 밖으로 돌출되어 있어 성문으로 접근하는 적을 3면에서 입체적으로 공격할 수 있는 시설물이다.
 
남한산성에는 모두 5개의 옹성이 있지만 성문을 방어하기 위한 시설이 아니기 때문에

엄밀한 의미에서 옹성이라기보다는 치나 용도, 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실록을 비롯한 조선시대의 지지자료에 이것들을 옹성이라고 명명하고 있음을 볼 때,

옹성의 개념은 단순히 성문을 보호하는 시설이라기보다는 체성벽의 보호를 위하여

이중으로 성벽을 구축한 시설을 의미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남한산성의 옹성은 남쪽에 3개, 동쪽과 북쪽에 각각 1개씩 설치되었다.

 

남쪽에 가장 많은 옹성이 설치된 것은

북쪽이나 동쪽, 서쪽에 비해 남쪽의 경사가 가장 완만하여 방어에 취약하여

검복리 방면에서 계곡의 완경사면을 따라 올라와 해발 537.7m인 검단산 정상을 확보하거나

계곡에서 화포를 쏠 경우 산성의 방어에 치명적인 약점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옹성은 모두 능선으로 연결되어 방어에 취약한 지점에 축조되어 있다.
옹성은 치성과는 달리 모두 체성과 직접적인 연결됨이 없이

체성벽의 기저부를 옹성의 상단으로 하여 축조하였고, 암문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였다.

 

옹성의 말단부에는 포루를 설치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이 옹성들은 연주봉 옹성을 제외하고 다른 옹성은 원성축조 시에 쌓은 것이 아니라

병자호란 이후에 적의 화포공격에 대응할 목적으로 축조되었다.


1남옹성은 둘레가 426m이며 옹성 끝에는 7개의 포루가 설치되어 있다.

원성과 연결되는 시축지점은 약간 넓게 벌어졌다가 가운데는 잘록하고 끝부분은 다시 넓어져 뭉툭하며

옹성 중간 부분에는 장대가 구축되어 있다.
 
 2남옹성은 둘레가 318m이며 옹성 끝에 87개의 여장이 있었다.

이 옹성은 다른 옹성과는 달리 이중으로 되어 있는 것이 특색이다.

옹성 끝에는 포루가 있는데, 그곳으로 들어가는 홍예문이 있다.


포루는 동서남 3방향으로 3개씩 9개가 설치되어 있다.
3남옹성은 시축 부분에서 축조가 끝나는 부분의 양쪽 벽이 거의 평행이다.

둘레는 125m이고, 31개의 여담이 있었다.

끝부분엔 5개의 포루가 남쪽에 3개 동쪽과 서쪽에 각각 1개씩 설치되어 있다.

이 옹성의 포혈은 방형이 아니라, 凸자 모양으로 구축된 것이 특이하다. 
 
장경사 신지옹성은 둘레가 159m이며 여장이 40개였다.

옹성 끝에는 2개소의 포루가 구축되었다.

포루 좌측 벽에는 '이방' 이라 불리는 무기나 화약을 저장하는 시설이 있었다.


연주봉 옹성은 둘레가 315m에 73개의 여담이 있었다.

이 옹성에도 포루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현재 확인되지는 않는다.

암문을 통하여 성내로 출입할 수 있었으며, 옹성의 끝부분에는 원형의 석축구조물이 있다. 

 

 

 

  

 

 

  

 

 

  

 

 

 

 

 

 

 

  

  

 

 

 

★ 장경사

 

성내에 존재했던 9개의 사찰 중 당시의 모습으로 남아 있는 현존한는 유일한 사찰이며,

남한산성 동문 안에서 동북쪽으로 약 350m거리의 해발 360m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망월봉의 남사면 중턱 곡저부이 완경사면을 이용하여 비교적 넓은 대지를 구축하였다.


이 사찰은 인조 2년(1624) 남한산성 수축시 승군의 숙식과 훈련을 위해 건립한 군막 사찰이다.

 

사찰내의 건물로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진남누(鎭南樓), 칠성각, 대방, 요사채 등이 있는데,

그중 대웅전이 가장 화려하게 지어진 고건축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지붕은 겹처마를 두른 팔작지붕이며, 다포양식의 정면 3칸, 측면 3칸의 건물로

측면의 칸은 정면의 칸보다 약간 좁아서 건물의 전체 평면은 장방향을 이룬다.

 

건물의 정면에는 각 칸마다 4쪽 여닫이 교자문을 달았다.

종무소는 홑처마를 두른 맞배지붕 양식에 주심포식 4가가 모기둥을 썼다.


이 건물은 정면 6칸, 측면 1칸으로 되어 있는데

앞으로는 짧은 툇마루를 내었으며 2쪽 미닫이 卍자문을 달았다.

 

요사는 홑처마를 두른 맞배지붕 양식의 지붕에 정면 3칸, 측면 1칸 규모의 건물이다.

 

산신각은 홑처마를 두른 맞배지붕 양식으로 좌우에는 밑이 둥근 바람막이를 하였다.


건물은 정면 2칸, 측면 1칸의 규모인데 정면 2칸에는 2쪽 여닫이 卍자문을 달았다.

현재 장경사만이 유일하게 옛 모습이 남아 있다.

 

 

 

 

 

 

  

 

 

 

 

 

  

 

 

 

  

 

 

 

 

 

 

 

 

 

 

 

 

 

 

 

 

 

 

 

 

 

 

 

 

 

 

★ 송암정

 

성밖의 동문에서 성벽을 따라 동쪽으로 오르면 바위절벽과 그 사이에 말라죽은 소나무가 서 있는 곳이다.


이곳은 산성리 산 8-1번지에 해당되며 송암정 표지석은 성 안에,

송암정의 바위와 고사목은 성 밖에 서 있다.


옛날 황진이가 금강산에서 수도를 하다가 하산하여 이곳을 지나는데

남자 수명과 기생들이 술을 마시고 있었다.

이 때 술에 취한 사내가 황진이를 희롱하자

황진이는 개의치 않고 그 사내에게 심오한 불법을 설파하였다.
이때 그 무리 중 감명을 받은 기생 한사람이 갑자기 절벽으로 뛰어 내려 자결하였다.


이 바위에 서 있는 고사목(소나무)은 정조가 여주 능행길에

'대부' 벼슬을 내렸으므로 '대부송' 이라고 부르는 그 소나무이다.

송암정은 우리말의 '솔바위 정자'라는 뜻이다.

 

  

 

 

 

 

 

 

 

  

 

 

 

 

 

 

★ 동문(左翼門)


산성의 남동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남문과 함께 가장 사용빈도가 높았던 성문 중의 하나이다.

 

이 성문은 선조 때에 이미 보수하였고 인조 2년 새로 수축된 이후,

정조 3년(1779) 성곽 보수시에 이 성문도 보수하였다.

이때 다른 문과 마찬가지로 이름이 하나씩 붙여졌는데, 동문은 좌익문(左翼門)이라 하였다.

 동문을 '좌익문' 이라 한 것은 국왕은 남면(南面)하여 나라를 다스리는 것이므로 동쪽이 왼쪽이 되기 때문이다.


성문은 홍예식이며, 폭은 310cm, 높이는 400cm 이다.

홍예는 홍예기석 위에 9개의 홍예돌을 쌓아서 구축하였다.

홍예 안쪽에는 두께 12cm의 목재 판문을 달고 겉에는 가로 31cm, 세로 16cm의 철린을 붙여 보강하였다.

 

문 뒷면에는 가로 40cm, 세로22cm의 장방형 홈을 파서 장군목을 걸칠 수 있도록 하였다.

일반적으로 성문의 육축(陸築)은 크고 정교하게 가공된 무사석(武砂石)쌓기를 하는 것이 보통인데,

동문의 경우 일반 성돌에 비해 오히려 덜 가공된 약 2배 정도 크기의 성돌을 사용하여 쌓았다.

 

성돌의 형태나 축성상태를 보면 개구부의 바깥쪽에서 보았을 때

홍예의 좌측 부분이 여러 번 수축되었음이 확인된다.

 

성문의 여장은 타의 구분이 없이 하나로 연결한 평여장이며 총안도 설치되지 않았다.

성문 좌측 부분은 경사가 급해 계단으로 처리된 부분의 여장은 가운데에 한 개의 총안이 있는 층단형 여장이며,

우측은 경사면을 따라 올라가는 성벽과 평행하여 옥개정상부도 사선을 이루도록 하였다.

 

문루는 단층이며, 규모는 정면 3칸, 측면 2칸이다.

 

지붕은 홑처마를 두른 팔작지붕 양식으로 용머리는 망와로 마감하고 문루의 천정은 연등천정을 하였다.

 

기둥 양식은 주심포 양식의 민흘림 기둥이며 그 위에 굴도리 가구(架構)를 둘렀다.

 

다른 문에 비해 동문은 가장 낮은 지대에 축조되어 있기 때문에

성문은 지면에서 높여 계단을 구축하여 우마차의 통행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따라서 물자의 수송은 수구문 남쪽에 있는 11암문이 이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 수구문과 수구

 

해발370∼400m 정도의 산능선을 따라 축성되어 있고,

분지형태의 성내부는 서고동저(西高東低)의 지형에 가깝다.

산성 내에 80개의 우물과 45개의 연못이 있을 정도로 수원이 풍부하였다.

 

성내에는 크게 네 개의 개울이 있었다.

계곡에서 각각 흘러내린 물이 지수당 부근에서 합류되어 동벽에 구축된 수구문을 통하여 성밖으로 흐른다.

 해방 전까지만 해도 이 개울물로 물레방아 8개를 돌릴 수 있을 정도로 풍부하였다고 한다.
 
수구문은 동쪽에서 서남쪽 70m 지점의 해발 300m 지점에 위치한다.

수구문은 110×50×157cm 정도의 대형 암괴를 이용하여 축조하였는데

양측 벽에 2단, 또는 3단으로 쌓았으며, 강회몰탈을 빈공간에 채워 넣었다.

천장은 180×80×115cm 정도의 대형 암괴 4매를 덮어서 구축하였다.

 

수구 폭은 188cm이고, 높이는 205cm로서 산성내의 일반적인 암문의 크기보다 더 크다.

 

수구문의 바닥에 깔린 돌에는

폭 23cm 정도 간격으로 직경 9∼12cm, 길이 6∼9cm 정도의 구멍이 파여 있고,

천장석에도 직경 7cm, 깊이 9cm정도의 홈이 파여 있는데,

철심이 박혀 있는 것으로 보아 수구문을 통한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쇠창살을 가로질러 놓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외에 성내에는 축성 위치에 따라 부분적으로 우수가 모이게 되는 지점에는

별도로 작은 수구를 설치하여 성벽 안으로 물이 스며들어 성벽을 약화시키는 것을 방지하였다.

 산성내에는 현재 성벽이 무너져서 확인이 어려운 지점을 제외하고

가시적으로 확인되는 수구는 모두 28개에 달한다.

 

일반적으로 수구는 낮은 곳으로 모여든 물을 성밖으로 배출하였기 때문에

배수구의 위치는 외면에서 볼 때 출수구의 위치가 성벽의 중간에 있는 경우도 많다.

 

남한산성의 경우도 출수구의 위치가 바닥에서 100∼150cm 지점에 위치하는 것이

가장 많으며 2m가 넘는 것도 있다.

 

 

 

 

 

 

 

  

 

 

★ 망월사

 

장경사 뒤편에 위치하고 있으며 9개 사찰중 가장 오래된 고찰로 망월암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이사찰은 태조 이성계가 한양에 도성을 정할 때 한양에 있었던 장의사를 허물고

그 불상과 금자 화엄경 한벌, 금정 하나를 이리로 옮겨 창건하였다고 한다.


옛 망월사는 일제에 의하여 모두 소실되었고 4종의 복원된 건물의 규모가 옛터의 규모를 짐작케 한다.

대웅전, 금당, 요사체 2동, 13층 적멸보궁탑과 병풍석은 망월사의 자랑이다. 
 
망월사의 돌축대는 옛 망월사의 규모와 건물의 배치를 대략 짐작할 수 있게 하며

대형 맷돌이 유물로 보존되어 있다.

 

 

 

 

 

 

 

 

 

 

 

 

 

 

 

 

 

 

 

 

 

 

 

 

 

 

 

 

 

 

 

 

 

 

 

 

 

 

 

 

 

 

 

 

☞ 여기서 '남한산성 성곽따라 일주하며 단풍유람 산행을 다녀오다 - 3부'를 마치고...

 

 

2008년 11월 02일 일요일
[남한산성 성곽따라 일주하며 단풍유람 산행을 다녀오다]

  

-▥☞ 1부(마천역-비호부대-남한산성 서문/우익문-매탄지-북장대지)를 보시려면 여기를 누르세요.☜▥-


-▥☞ 2부(북장대지-북문/전승문-동장대 암문-동장대지-장경사신지옹성)를 보시려면 여기를 누르세요.☜▥-

 

-▥☞ 3부(신지옹성-장경사-송암정-동문/좌익문-수문-시구문-남장대지)를 보시려면 여기를 누르세요.☜▥-


-▥☞ 4부(남장대지-남문/지화문-영춘정-제1옹성-암문-수어장대)를 보시려면 여기를 누르세요.☜▥-

 

-▥☞ 5부(수어장대-병암-서문/우익문-연주봉옹성-청운사-마천역)를 보시려면 여기를 누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