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유적탐방후기☞/♣ 궁궐·왕릉·묘ㆍ원

[20091022]가을 나들이-'세계문화유산 종묘'와 '창경궁'에 다녀오다 - 1부

by 맥가이버 Macgyver 2009. 10. 22.

 

29307

 

 2009년 10월 22일(목)  

가을 나들이-'세계문화유산 종묘'와 '창경궁'에 다녀오다.

 

 가을나들이 - '세계문화유산 종묘'와 '창경궁' 코스 :

종로3가역→종묘공원→종묘 외대문→향대청→공민왕 신당→종묘 교육홍보관→재궁 일원→전사청 일원→종묘 정전→종묘 영녕전

→구름다리→창경궁 관천대→함인정→환경전→경춘전→통명전→풍기대→성종태실비→춘당지→팔각칠층석탑→대온실→광덕문

→홍화문→옥천교→명정문→명정전→광정문→문정문→문정전→숭문당→구름다리→종묘 정전→종묘 외삼문→종로3가역

  

 맥가이버의 '가을 나들이-'세계문화유산  종묘'와 '창경궁' 이야기

 

오늘은 가을나들이로 '세계문화유산 종묘'와 '창경궁'을 관람하고 왔다.

 

가을 나들이-'세계문화유산  종묘'와 '창경궁'에 다녀오다자세한 이야기는 맥가이버의 블로그 사진후기로 대신한다.

 

   

         

◈ 종묘에 대하여...

 

종묘는 조선왕조 역대 왕과 왕비 및 추존된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유교사당으로서 가장 정제되고 장엄한 건축물 중의 하나이다.


종묘는 태조 3년(1394) 10월 조선 왕조가 한양으로 도읍을 옮긴 그해 12월에 착공하여 이듬해 9월에 완공하였으며,

곧이어 개성으로부터 태조의 4대조인 목조, 익조, 도조, 환조의 신주를 모셨다.

56,503평의 경내에는 종묘정전을 비롯하여 별묘인 영녕전과 전사청, 재실, 향대청 및 공신당, 칠사당 등의 건물이 있다.

 

정전은 처음에 태실 7칸, 좌우에 딸린 방이 2칸이었으나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 때 불타버려 광해군 즉위년(1608)에 다시 고쳐 짓고,

그 후 영조 와 헌종때 증축하여 현재 태실 19칸으로 되어있다.

영녕전은 세종 3년(1421)에 창건하여 처음에는 태실 4칸, 동서에 곁방 각 1칸씩으로 6칸의 규모이었는데,

임진왜란 때 불타버려 광해군 즉위년에 10칸의 규모로 지었으며 그 후 계속 증축하여 현재 16칸으로 되어 있다.

현재 정전에는 19실에 49위, 영녕전에는 16실에 34위의 신위가 모셔져 있고,

정전 뜰앞에 있는 공신당에는 조선시대 공신 83위가 모셔져 있다.

조선시대에는 정전에서 매년 춘하추동과 섣달에 대제를 지냈고,

영녕전에는 매년 춘추와 섣달에 제향일을 따로 정하여 제례를 지냈으나

현재는 전주이씨 대동종약원에서 매년 5월 첫째 일요일을 정하여 종묘제례라는 제향의식을 거행하고 있으며

제사드릴 때 연주하는 기악과 노래와 무용을 포함하는 종묘제례악이 거행되고 있다. 

종묘의 주전인 정전은 건평이 1,270㎡로서 동 시대의 단일 목조 건축물로는 세계에서도 그 규모가 가장 큰 건축물로 추정되며,

종묘의 건축 양식은 궁전이나 불사의 건축이 화려하고 장식적인데 반하여 유교의 검소한 기품에 따라 건립된 특수목적용 건축물이다.

종묘는 한국의 일반 건축물과 같이 개별적으로 비대칭구조를 하고 있지만 전체적으로 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의례공간의 위계질서를 반영하여 정전과 영녕전의 기단과 처마, 지붕의 높이, 기둥의 굵기를 그 위계에 따라 달리 하였다.

중국 주나라에서 시작된 종묘제도는 7대까지 모시는 제도로 시작되어 명나라 때에 와서 9묘 제도로 확대 되었는데

중국의 태묘에서는 태실이 9실에 불과하나 한국의 종묘만은 태실이 19칸인 매우 독특한 제도를 가지고 있으며,

정면이 매우 길고 수평성이 강조된 독특한 형식의 건물모습은 종묘제도의 발생지인 중국과도 다른 건축양식으로

서양건축에서는 전혀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세계적으로 희귀한 건축유형이다.

종묘는 조선시대의 전통건물로서 일반건축이 아닌 신전건축임에도 불구하고

건축의 보편적 가치를 지니고 있어 많은 현대 건축가들의 연구대상이 되고 있으며

종묘의 뛰어난 건축적 가치는 동양의 파르테논이라 칭하여지고 있을 만큼 건축사적 가치가 크다.

종묘는 사적 제125호로 지정 보존되고 있으며 소장 문화재로 정전(국보 제227호),

영녕전(보물 제821호), 종묘제례악(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중요무형문화재 제56호)가 있으며,

1995년 12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었다.

 

▼ 이해를 돕기 위해 안내책자에서 맥가이버가 찍은 그림


 

종묘제례는 종묘인 의례공간과 함께

의례절차, 의례음식과 제기, 악기와 의장물, 의례음악과 의례무용 등이 조화되어 있으며,

1462년에 정형화된 형태를 500년이상 거의 그대로 보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재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종합적 의례문화라고 할 수 있다.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에 나타난 의례 절차, 음악, 무용 등은

중국의 고대문명을 바탕으로 형성된 하, 은, 주 시대의 의례문화에 기원을 두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동양의 고대문화의 특징과 의의를 거의 그대로 보존하고 있기 때문에

동양 고대문화를 연구하기 위한 귀중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문화유산 중의 하나이다.

종묘제례악은 기악, 노래, 춤으로 구성되는데
세종때 처음 짓고

세조때 다듬은 보태평과 정대업 22곡을 연주하고 그 동작이 단순하면서도 장엄한 것이 특징인 일무 등의 춤을 춘다.

신라향가나 고려가요가 오늘날 가사만 전하여 지는데 비하여

종묘제례악은 500년 전의 선율을 오늘날까지 그대로 전하고 있어 그 의의가 매우 크다.

 


 
 

 

☞ 종묘 배치도 ☜

  

 

1.정문       2.망묘루      3.공민왕신당      4.향대청     5.어숙실    6.판위대
7.전사청        8.제정      9.정전     10.정전동문     11.칠사당     12.공신당 
13.정전남문    14.정전서문      15.영녕전     16.영녕전동문   17.영녕전남문 
18.영녕전서문      19.제기고    20.수복방      21.악공청

 

   

        

가을 나들이-'세계문화유산  종묘'와 '창경궁'에 다녀오다의 1부를 시작하며...

▼ 

 

 

 

 

 

종묘의 정문은 남쪽에 사묘(祠廟)의 표문(表門)답게 정면 세 칸의 평삼문(平三門)으로 되었고,

정문 좌우로는 종묘외곽을 두르는 담장과 연결되어 있다.

정문 안 서쪽으로는 본래 종묘를 지키는 수복방이 있었다.

정문은 원래 전면 중앙에 난 계단으로 오르내리게 되어 있었는데,

일제시대에 도로를 조성하면서 도로 면이 높아지게 되어 땅에 묻히고 지금은 단벌의 장대석 기단만 있다.
종묘 정문은 외대문(外大門) 또는 외삼문(外三門)이라고도 한다.

정문은 궁궐 정문과는 달리 구조 형태가 아주 검박하고 단순하다.

정문밖에는 하마비(下馬碑)와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6호로 지정된 어정(御井)이 있다.

 

 

 

 

 

 

 

 

 

종묘 [宗廟, Jongmyo Shrine] 
조선시대 역대의 왕과 왕비 및 추존(追尊)된 왕과 왕비의 신주(神主)를 모신 왕가의 사당.
 
지정번호  사적 제125호 
지정연도  1963년 1월 18일 
소재지  서울 종로구 훈정동 1-2  
시대  조선 
크기  총면적 5만 6503평 
종류  사당 
 
1963년 1월 18일 사적 제125호로 지정되었다.

총면적 5만 6503평.

서울 종로구 훈정동에 있다.
원래는 정전(正殿)을 가리키며, 태묘(太廟)라고도 한다.


중국의 우(虞)나라에서 처음 시작된 종묘제도는

은(殷)·주(周) 시대에는 7대조까지 묘(廟)에 봉안하는 7묘제가 시행되다가 명(明)나라 때에는 9묘제로 바뀌었다.


한국의 경우 종묘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392년(고구려 고국양왕 9)에 보이며,

신라에서는 5묘제, 고려에서는 7묘제로 하였다.


조선 초기에는 7묘제도를 따르다가 중기 이후부터는 치적이 많은 왕은 7대가 지나도 정전에 그대로 모셨으며,

그 밖의 신주는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영녕전(永寧殿)으로 옮겨 모셨는데, 이를 조천(祧遷)이라고 하였다.

종묘의 정전에는 19실(室)에 19위의 왕과 30위의 왕후 신주를 모셨으며,
영녕전에는 정전에서 조천된 15위의 왕과 17위의 왕후 및 의민황태자(懿愍皇太子)의 신주를 모셨다.


신주의 봉안 순서는 정전의 경우 서쪽을 상(上)으로 하고 제1실에 태조가 봉안되어 있고,
영녕전에는 추존조(追尊祖)인 4왕(목조·익조·탁조·환조)을 정중(正中)에 모시고

정전과 마찬가지로 서쪽을 상으로 하여 차례대로 모셨다.
이를 소목제도(昭穆制度)라고 한다.

 

종묘의 조영(造營)은 1394년(태조 3) 12월 태조가 한양(漢陽)으로 천도할 때

중국의 제도를 본떠 궁궐의 동쪽에 영건(營建)을 시작하여 다음해 9월에 1차 완공하였다.
그 뒤 1546년(명종 1)까지 계속되었으며,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08년(광해군 즉위년) 중건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정전의 남문을 들어서면 동쪽으로 문의 동쪽으로 공신당(功臣堂), 서쪽으로 칠사당(七祀堂)이 있고, 곧바로 정전에 이른다.
정전의 서문을 나서면 영녕전의 동문과 이어지고,

영녕전에도 정전과 같이 서문·남문·동문이 있으며,

영녕전의 북동쪽에 제기고(祭器庫)가 있다.


 정전의 북동쪽에는 전사청(典祀廳)이 있고,

그 주위에 제정(祭井)·판위대(版位臺)·수복방(守僕房)이 있으며,

정전 남동쪽에 재실(齋室)이 있다.


1995년 유네스코에 의해 해인사 장경판전, 석굴암과 함께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 두산백과사전 EnCyber & EnCyber.com, 에서 - 

 

 

 

 

 

 

 

 

  

 

 

 

 

향대청 남쪽에 위치하는 망묘루는 제향(祭享)때 임금이 머물면서

사당을 바라보며 선왕(先王)과 종묘사직을 생각한다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다.
망묘루는 건물 중 한 칸이 누마루로 되어 있다.

 

 

 

공민왕 신당은 망묘루 동쪽에 있는 별당으로 고려 31대왕 공민왕을 위하여 종묘 창건시에 건립되었다고 전한다.

신당 내부에는 공민왕과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가 한자리에 있는 영정(影幀)과 준마도(駿馬圖)가 봉안되어 있다.
신당의 정식 명칭은 '고려 공민왕 영정 봉안지당(高麗 恭愍王 影幀 奉安之堂)'이다.

 

 

 

 

 

 

종묘 정문을 들어서면 지당(池塘)이 있고, 그 동쪽으로 망묘루, 공민왕 신당, 향대청 일곽이 있다.
향대청은 종묘에 사용하는 향(香)ㆍ축(祝)ㆍ폐(幣)와 제사 예물을 보관하고,

제향(祭享)에 나갈 헌관들이 대기하던 곳으로 남북으로 긴 뜰을 사이에 두고 동쪽과 서쪽에 건물이 배치되어 있다.

 

 

 

 

 

 

정전 동남쪽에 위치한 재궁은 어숙실이라고도 하며 국왕이 제사를 준비하던 곳이다.
재궁 북쪽에는 임금이 머무는 어재실, 동쪽에는 세자가 머물던 세자재실(世子齋室)이 있고,

서쪽에는 어목욕청(왕이 목욕하는 건물)이 있다.

 

 

 

 

 

 

  

 

정전 동문 북쪽에 위치한 수복방은 두벌 장대 기단위에 정면 4칸, 측면 단칸의 맞배집으로 수복들이 머무는 곳이다.

 

  

 

 

전사청은 종묘제사에 사용하는 제수의 진찬 준비를 하던 곳으로,

뜰을 가운데 두고 그 주위로 건물을 ㅁ자형으로 배치하였다.
주실은 정면 7칸, 측면 2칸이고 옆에 온돌과 마루방을 들여 행각으로 꾸몄다.

 

 

 

제정은 향제(享祭)에 사용되는 우물을 말하는데 정전 전사청(典祀廳) 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가뭄에도 물이 마르지 않고 찬게 특이하다고 한다.

네면을 담장으로 둘렀고, 남쪽에 팔작지붕의 일각문(一脚門)이 있다.

 

 

 

 

 

 

  

 

 

 

종묘 정전은 매칸마다 신위를 모신 신실인 감실 열아홉 칸, 신실 양 옆으로 각각 두 칸의 협실,

그리고 협실 양 끝에서 직각으로 앞으로 꺾여 나와 마치 신실을 좌·우에서 보위하는 듯한 형태를 취하고 있는

동·서월랑 다섯 칸으로 구성되어 있다.
남문인 신문에서 보면 동서 109미터, 남북 69미터나 되는 묘정 월대가 넓게 펼쳐있고,

월대 가운데에는 신실로 통하는 긴 신로가 남북으로 나 있으며,

그 북쪽 끝에 상월대와 기단이 설치되어있다.

종묘 건축이 다른 건물과 다른 점은 건물 내부에 모실 신위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몇 차례에 걸쳐 건물을 옆으로 증축하여 길게 늘린 점에 있다.

 

 

조선 왕조 역대 공신들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정전 울타리 안 월대 남쪽의 동쪽에 있으며 창건 때는 3칸에 불과하였으나

나중에 9칸으로 늘렸다가 지금은 16칸의 긴 건물로 되었다.
칠사당과 같은 구조 형식으로 매우 간소하게 되어 있는데

왕의 신실과 한 울타리 안에 있어서 일부러 그 형식을 낮추었다고 생각되며

16칸이라는 보기 드문 건축 형태임에도 불구하고

정전에 와서도 자칫 그냥 지나치기 쉬운 건물이다.

 

 

 

 

  

 

 

 

 

 

 

 

 

 

 

종묘 창건 때부터 정전 울타리 안 월대 남쪽의 서쪽에 있던 것으로

봄에 모시는 사명과 사호, 여름의 사조, 가을의 국문과 공려, 겨울의 국행과 그밖에 중류의 7사에 제사 지내는 곳이다.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 지붕 건물로 정면에는 판문과 격자창을 두고 나머지 3면은 전돌로 벽을 쌓았다.

 

 

 

 

 

 

영녕전은 신실 하나하나의 구성은 정전과 크게 다름이 없지만 부재의 크기가 정전보다 약간 작고

전체 건물 규모도 정전보다 작기 때문에 정전에서와 같은 장대함을 느끼기에는 뒤지는 감이 있으나

오히려 그 때문에 공간이 한눈에 쉽게 들어와 친근감을 더해 준다.
네모난 아랫부분에 원형 주좌를 둔 주춧돌에 둥근 기둥과 간단한 초각을 한 익공을 짜고,

툇간 안에 두 짝 판문을 달고 뒤는 화방벽으로 쌓고 서까래는 부연 없는 홑처마로 꾸미는 등

세부 구성은 정전과 거의 같으며 역시 부재 표면도 단청 없이 간단히 주칠로 마감하였다.

정전과 좌우 익실 앞으로 동·서월랑이 뻗어 나와 ㄷ자 형태를 이루고 있고

박석을 덮은 상·하월대가 울타리를 가득 메우는 점도 동일하다.

이곳은 부재의 처리나 건물의 규모가 전체적으로 종묘 정전보다는 작지만

건축 공간 자체의 장엄한 공간 구성은 여기서도 잘 나타나고 있으며

질박하면서도 친근감 있는 장인들의 솜씨는 이곳에서도 유감없이 발휘되고 있다.

  

 

 

 

 

 

 

 

 

 

 

 

 

 

 

 

 

 

 

 

 

 

 

 

 

☞ 여기서 가을 나들이-'세계문화유산  종묘'와 '창경궁'에 다녀오다  - 1부를 마치고...

 

 

 

2009년 10월 22일(목)

가을 나들이-'세계문화유산  종묘'와 '창경궁'에 다녀오다.

   

-▥☞ 1부[종로3가역→종묘 외대문→향대청→전사청→종묘 정전→종묘 영녕전→구름다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

 

-▥☞ 2부[구름다리→창경궁 관천대→함인정→통명전→풍기대→성종태실비→춘당지→대온실]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

 

-▥☞ 3부[대온실→광덕문→옥천교→명정전→문정전→숭문당→구름다리→종묘 외삼문→종로3가역]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