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유적탐방후기☞/♣ 궁궐·왕릉·묘ㆍ원

[20091022]가을 나들이-'세계문화유산 종묘'와 '창경궁'에 다녀오다 - 3부

by 맥가이버 Macgyver 2009. 10. 22.

 

29309

 

 2009년 10월 22일(목)  

가을 나들이-'세계문화유산 종묘'와 '창경궁'에 다녀오다.

 

 가을나들이 - '세계문화유산 종묘'와 '창경궁' 코스 :

종로3가역→종묘공원→종묘 외대문→향대청→공민왕 신당→종묘 교육홍보관→재궁 일원→전사청 일원→종묘 정전→종묘 영녕전

→구름다리→창경궁 관천대→함인정→환경전→경춘전→통명전→풍기대→성종태실비→춘당지→팔각칠층석탑→대온실→광덕문

→홍화문→옥천교→명정문→명정전→광정문→문정문→문정전→숭문당→구름다리→종묘 정전→종묘 외삼문→종로3가역

  

 맥가이버의 '가을 나들이-'세계문화유산  종묘'와 '창경궁' 이야기

 

오늘은 가을나들이로 '세계문화유산 종묘'와 '창경궁'을 관람하고 왔다.

 

가을 나들이-'세계문화유산  종묘'와 '창경궁'에 다녀오다자세한 이야기는 맥가이버의 블로그 사진후기로 대신한다.

 

   

         

◈ 창경궁에 대하여...

 

사적 제123호. 이 궁궐에서 장조(莊祖)·정조(正祖)·순조(純祖)·헌종(憲宗) 등 여러 왕들이 태어났다.

조선시대 5대 궁궐 가운데 다른 궁궐은 모두 남향하고 있으나 이 궁궐만은 풍수지리설에 의해 동향하여 있다.

 

본래 태종이 아들 세종에게 임금자리를 물려주면서 자신이 거처할 궁궐로 지은 수강궁(壽康宮)에서 시작되었다.

그후 1484년(성종 15) 이 수강궁 자리에 새로이 별궁인 창경궁을 건립했다.

임진왜란 때 화재로 소실된 것을 1616년(광해군 8) 다시 세웠다.

 

이때 동향으로 세워졌던 명정전(明政殿)을 남향으로 고쳐야 한다는 김일손의 상소가 있었으나

도감(都監)에서는 만약 남향으로 할 경우에는 경복궁·창덕궁·창경궁·종묘의 내청룡으로 이어지는 맥이

함춘원(含春苑)의 남쪽 지맥을 끊게 된다면서 그대로 둘 것을 주장했다고 한다.

 

1624년(인조 2) 이괄의 난으로 소실된 많은 전각들이 1633년에 중건되었다.

1656년(효종 7)에 요화당(瑤華堂)·난향각(蘭香閣)·취요헌(翠耀軒)·계월각(桂月閣) 등

4개의 전각을 지어 효종의 네 공주들을 머물게 했다.

 

1909년에는 일제가 강제로 궁 안에 동물원과 식물원을 만든 다음 일반인들에게 관람시켰으며,

1911년에는 박물관을 짓고 이름을 창경원(昌慶苑)으로 격을 낮추어 불렀다.

 

1984년 일제에 의해 철거되었던 문정전(文政殿)과 월랑(月廊) 등을 복원하고 정비하면서 다시 이름을 창경궁이라고 했다.


동향한 궁궐의 정문인 홍화문(弘化門)을 들어서면 금천(禁川)이 북에서 남으로 흐르고

이 개천 위에는 금천교(禁川橋)인 옥천교(玉川橋)가 있다.

옥천교를 건너면 정전의 정문인 명정문(明政門)에 이르고,

이 문을 들어서면 높은 월대(月臺) 위에 서 있는 정전인 명정전과 마주하게 된다.

 

동서로 길게 뻗은 월랑은 홍화문과 명정문의 남북 양쪽에서 뻗어나온 월랑과 합쳐져 'ㅂ'자 모양을 이루면서 정전의 좌우 앞쪽을 둘러싸고 있다.

 

명정전의 남서쪽에는 편전인 문정전과 그 월랑이,

북서쪽에는 많은 내전과 행각들이 자리잡고 있으며 나머지 수천 간의 전각과 행각 등은 일제에 의해 철거되었다.

 

이 궁궐의 전체적인 배치는 창덕궁처럼 지형의 높고 낮음을 그대로 두고

꼭 필요한 곳만을 골라 집터를 잡고 정원을 꾸민 것이 특징이다.

 

〈동궐도 東闕圖〉(국보 제249호, 고려대학교 박물관)를 통하여 1830년대의 창경궁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 창경궁 안내도 ☜

 

   

   

        

가을 나들이-'세계문화유산  종묘'와 '창경궁'에 다녀오다의 3부를 시작하며...

▼ 

 

대온실(식물원)
1909년에 준공된 우리나라 최초의 식물원이다.

건축 당시 한국 최대의 목조구조 식물원이었으며, 열대지방의 관상식물을 비롯한 희귀한 식물을 전시하였다.

1986년 창경궁 복원공사를 계기로 자생목본류를 중심으로 야생화와 함께 전시하고 있다.

현재 대온실은 2004년 2월 6일에 등록문화재 제83호로 지정되었다. 

 

 

 

 

 

 

 

 

 

 

 

 

 

 

 

 

 

 

 

 

 

 

 

 

 

 

 

 

 

 

 

 

 

 

 

 

춘당지는 1909년에 조성된 원지(苑池)이다.

두 개의 연못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위의 것이 1,107평방미터, 아래 것이 6,483평방미터이다.

연못 속의 섬(366평방미터)과 1986년에 조성한 것이다.

춘당지는 현재 큰 연못과 작은 연못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아래쪽의 큰 연못은 원래 내농포(內農圃)라고 부르던, 왕이 직접농사를 지으며 농정을 살피던 논이었다.

1909년 일본인들이 이곳을 파서 연못을 만들었고 이후 1986년에 한국식 연못으로 재조성한 것이다.

춘당지 북쪽에 인접한 작은 연못이 조선시대 춘당지라 부르던 원래의 연못이다.

 

 

 

 

 

 

 

 

 

 

 

 

 

 

  

 

홍화문 
 창경궁의 정문으로 명정전과 마찬가지로 동향하였다.

조선 성종 15년에 창건되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고 광해군 8년에 재건되어 오늘에 이른 것으로 추정된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중층 우진각지붕의 건물로, 기둥 위에는 창방(昌枋)과 평방(平枋)이 놓이고,

다포계 양식(樣式)의 공포를 짰는데, 견실한 구조와 공포의 짜임은 조선 초기 형식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정면의 3칸에는 각각 판문을 달고 그 위로는 홍살을 하였으며, 북쪽에 이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마련돼 있다.

이층은 우물마루에 연등천장을 꾸몄다. 홍화문의 좌우로는 궁장(宮墻)이 남북십자각을 지나 궁역을 형성하였다. 

 

 

 

 

 

옥천교
 옥천교는 명당수가 흐르는 어구(御溝) 위에 설치한 다리다.

조선 왕궁은 모두 명당수 위의 석교를 건너서 정전으로 들어가도록 만들어졌다.

옥천교는 길이가 9.9미터, 폭6.6미터와 두 개의 홍예로 구성되었는데,

홍예가 연결되는 중앙에 귀면(鬼面)이 조각되어 잡귀를 쫓고 있다.

다리 좌우에는 돌난간이 조각되었는데, 난간 가장자리에 법수(法首)를 세우고

네 개의 연잎 동자주(童子柱)를 세워 5칸을 형성하고, 한 장의 돌로 만든 풍혈판이 설치되었으며 돌란대가 얹혀 있다.

교상(橋床)은 장마루 같은 청판돌로 짜고 중앙에는 어도(御道)를 한 단 높게 만들었다.

이 다리는 1483년 조성되었다. 

 

 

 

 

 

명정문 
 이 문은 명정전을 둘러싼 월랑 중 명정전과 마주보고 있는 동월랑의 중앙부에 있으며,

창경궁의 외문인 홍화문보다 안쪽에 놓여 중문의 기능을 갖는 평삼문이다.

위치로 보아서 명정전의 동서 중심축선상에 정확히 놓이지 않고 남쪽으로 약 1.2미터 벗어나 있다.

문의 좌우에 연결된 동월랑을 어느 정도 명정문에 맞추어 배치하였기 때문에,

이에 의하여 둘러싸인 명정전의 중정(中庭)은 정확한 방형이 아니고 기울어져 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다포계 건물인데,

잘 다듬은 원형 주초석 위에 중앙열의 주열(柱列)에는 각 칸마다 2매씩의 육중한 판문을 달아 안으로 열리게 하였다.

 이 건물은 포작(包作)과 건축의 형식으로 보아 명정전과 함께 광해군 때 재건되어 지금까지 보존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명정전 
 조선 성종 15년(1484)에 창경궁이 조성되고, 그 정전으로서 명정전이 세워졌다.

이때 명정전은 경복궁이나 창덕궁의 정전과는 달리 남향이 아닌 동향이었다. 이는 창경궁의 지세에 따른 것이다.

그후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광해군 8년(1616)에 복원되어 오늘에 이른다.

다른 궁의 정전과 같이 이중의 월대를 두어 그 위에 건물 기단을 마련하고,

큰 사각 주초 위에 원형의 운두 높은 주좌(柱座)를 조각하여 초석을 배열하였다. 

월대의 형식은 다른 궁의 것과 달리 지형에 맞추어

전면 동쪽과 북쪽 일부만을 이중단으로 하고, 건물 좌우와 뒷편에서는 1단으로 하였다.

평면으로 보아 정면 5칸, 측면 3칸에 후퇴(後退)를 한 단층 팔작기와지붕으로 겹처마이다.

평주 위에는 모서리를 많이 굴린 창방이 놓이고 운두가 낮은 평방 위에 다포계 양식의 외삼출목, 내사출목의 공포를 짜았다.

 

건물 사면은 모두 꽃살창으로 돌려져 있는데, 그 위로는 교살창이 있다.

내부 바닥에는 전(塼)을 깔았고, 뒤편 중앙부에는 어좌인 용상이 있는데 그 뒤로 일월도의 병풍이 놓였다.

그 위로는 닫집으로 짠 보개(寶蓋)가 있고 천정의 중앙부에는

한층을 접어올린 쌍봉문(雙鳳紋)이 있는 보개천정을 장식했으며,

그 주위는 우물반자를 하였다. 단청은 모로단청을 하고,

특히 천정판에는 화려한 연화문의 반자초 단청(丹靑)을 시문했다.

 

월대의 전면에는 명정전 어간에 맞추어 중앙에 삼도의 이중계단이 놓였다.

가운데 어계의 폭은 2.4미터이고, 양측 협계(挾階)의 폭은 각 1.3미터이다.

상하 계단은 모두 6단씩으로, 어간의 답도(踏道) 석판 중앙에 사분심엽형(四分心葉形) 윤곽을 양각(陽刻)한 후

그 안에 날개를 활짝 편 한쌍의 봉황을 조각해 장식했고,

챌판에도 당초(唐草)와 보상화(寶相華), 운문(雲紋) 등을 정교하게 조각하였다.

하층 계단 앞에는 명정문과 연결되는 어도가 있고 좌우에 24개의 품계석(品階石)이 있다. 

 

 

 

 

 

 

 

 

 

 

 

 

 

 

문정전 
 문정전은 창경궁 창건 때 편전으로 건립되었다.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것을 명정전과 함께 중건하였다.

1930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조선고적도보(朝鮮古蹟圖譜)》에 실린 명정전 정면 사진에

동측면의 일부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그때까지 이 전각이 존속했던 것으로 알 수 있으나,

그후의 자세한 기록은 찾아 볼 수 없다.

 

1984년부터 시행한 복원을 위한 발굴조사에서 건물의 기단과 동쪽에 두 곳, 서쪽 한 곳의 계단이 확인되었는데,

기단의 규모는 남북 20미터, 동서 18미터였다. 
1986년 창경궁 중창공사 때 중건되었는데, 발굴조사와 문헌 고증에 의하여

네모기둥으로 정면 3칸, 측면 3칸, 내삼출목, 외이출목, 단층 팔작집(38평)으로 겹처마이며 남향하여 세웠다.

이 건물의 서쪽에서, 숭문당 남쪽면으로는 경사진 자연지세를 이용하여

남북 방향으로 아름다운 2단의 화계(花階)를 꾸몄고 동쪽행각사이에는 문정문이 있다.  
 

 

  

 

 

 
숭문당 
 이 건물은 조선 경종 때 건립되었으며, 순조 30년에 큰 불로 소실된 것을 그해 가을 중건하여 오늘에 이른다.

'崇文堂'의 현판과 '日監在玆'라 쓴 게판은 영조의 어필이다.

영조는 특히 학문을 숭상하고 영재를 양성하였는데, 이곳에서 친히 태학생을 접견하여 시험하기도 하고

때로는 주연(酒宴)를 베풀어 그들을 격려하기도 하였다. 
정면 4칸, 측면 3칸의 단층 팔작기와집으로 홑처마이며, 지형에 따라 앞면에만 방형의 장초석을 사용하여 누각처럼 세웠다.

기둥 위에는 간단한 초익공의 공포를 짜았고, 기둥 사이에는 화반 없이 굴도리 밑에 장여를 받고 있는 소로만을 끼워 장식하였다.

평면으로 보아 전후와 남쪽에 퇴간을 두고 마루를 깔았으며, 가운데칸의 마루와 동선을 연결시켰고 그 좌우에 방을 놓았다. 

 

  
빈양문 
 숭문당 북쪽에 연접되어 있는 이 문은 치조공간(외전)과 연조공간(내전)을 연결하는 통로의 개폐 기능을 갖는 문으로

명정전의 뒷면 중앙 어칸 앞으로 설치된 복도를 따라가다 이 문을 나서면

바로 내전으로 들어서게 되어 북쪽으로 함인정, 경춘전, 환경전이 눈에 들어온다.

이 문은 빈양문의《궁궐지(宮闕志)》에 간단한 규모가 기록되어 있고 1986년 중건공사 때 발굴 조사를 토대로 재건하였다. 

 

 

 

 

 

 

 

 

 

 

 

 

 

 

 

 

 

 

 

 

 

 

 

☞ 이것으로 가을 나들이-'세계문화유산  종묘'와 '창경궁'에 다녀오다를 마친다.

 

 

 

2009년 10월 22일(목)

'가을 나들이-'세계문화유산  종묘'와 '창경궁'에 다녀오다.

   

-▥☞ 1부[종로3가역→종묘 외대문→향대청→전사청→종묘 정전→종묘 영녕전→구름다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

 

-▥☞ 2부[구름다리→창경궁 관천대→함인정→통명전→풍기대→성종태실비→춘당지→대온실]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

 

-▥☞ 3부[대온실→광덕문→옥천교→명정전→문정전→숭문당→구름다리→종묘 외대문→종로3가역]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