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춘[立春]
24절기 중 첫째 절기로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있는 절기.
|
입춘은 새해의 첫째 절기이기 때문에 농경의례와 관련된 행사가 많다.
입춘축은 글씨를 쓸 줄 아는 사람은 자기가 붙이고, 글씨를 쓸 줄 모르는 사람은 남에게 부탁하여 써서 붙인다.
입춘이 드는 시각에 맞추어 붙이면 좋다고 하여 밤중에 붙이기도 하지만
상중(喪中)에 있는 집에서는 써 붙이지 않는다. 입춘축을 쓰는 종이는 글자 수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가로 15센티미터 내외,
세로 70센티미터 내외의 한지를 두 장 마련하여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두루 쓰는 것은 다음과 같이 대구(對句)·대련(對聯)·단첩(單帖, 단구로 된 첩자)으로 되어 있다.
입춘날 붙이는 대구를 보면
‘국태민안 가급인족(國泰民安 家給人足)’,
‘기주오복 화봉삼축(箕疇五福 華封三祝)’,
‘문신호령 가금불상(門神戶靈 呵噤不祥)’,
‘우순풍조 시화년풍(雨順風調 時和年豊)’ 등이며,
대련을 보면
‘거천재 내백복(去千災 來百福)’,
‘수여산 부여해(壽如山 富如海)’,
‘요지일월 순지건곤(堯之日月 舜之乾坤)’,
‘개문만복래 소지황금출(開門萬福來 掃地黃金出)’,
‘계명신세덕 견폐구년재(鷄鳴新歲德 犬吠舊年災)’ 등이다.
단첩으로는
‘상유호조상화명(上有好鳥相和鳴)’,
‘일진고명만제도(一振高名滿帝都)’,
‘일춘화기만문미(一春和氣滿門楣)’,
‘춘광선도길인가(春光先到吉人家)’,
‘춘도문전증부귀(春到門前增富貴)’ 등을 붙인다.
입춘축은 붙이는 곳에 따라 내용이 다르다.
큰방 문 위의 벽, 마루의 양쪽 기둥, 부엌의 두 문짝,
곳간의 두 문짝, 외양간의 문짝에 붙이는 입춘축은 각기 다르다.옛날 대궐에서는 입춘이 되면 내전 기둥과 난관에 문신이 지은 연상시(延祥詩) 중에 좋은 것을 뽑아 연잎과 연꽃 무늬를 그린 종이에 써서 붙였는데, 이를 춘첩자(春帖子)라 하였다.
『경도잡지(京都雜志)』에 의하면, 입춘이 되기 열흘 전에
“승정원에서는 초계문신(抄啓文臣, 당하문관 중에서 문학에 재주가 뛰어난 사람을 뽑아서 다달이 강독·제술의 시험을 보게 하던 사람)과 시종신(侍從臣)에게 궁전의 춘첩자를 지어 올리게 하는데, 패(牌)로써 제학(提學)을 불러 운(韻)자를 내고 채점하도록 한다.” 하였다. 춘련을 써서 붙이게 된 유래는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의하면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입춘날에는 의춘(宜春) 두 자를 써서 문에다 붙인다”고 하였으니 지금의 춘련은 여기에서 비롯되었다고 하였다. 입춘부의 글 내용은 후한(後漢) 때 계동대나의(季冬大儺儀)에 진자(侲子, 아이 초라니)가 화답하던 말이니,
곧 “갑작은 흉한 것을 잡아먹고 필위는 호랑이를 잡아먹고 웅백은 귀신을 잡아먹고
등간은 상서롭지 못한 것을 잡아먹고 남제는 재앙[咎]을 잡아먹고 백기는 꿈을 잡아먹고 강양과 조명은 함께 책사와 기생을 잡아먹고 위수는 관을 잡아먹고 착단은 큰 것을 잡아먹고 궁기와 등근은 함께 뱃속 벌레를 잡아먹는다. 대저 열두 신을 부려 흉악한 악귀들을 내쫓고 너의 몸을 으르고 너의 간과 뼈를 빼앗고 너의 살을 도려내고 너의 폐장을 꺼내게 할 것이니, 네가 빨리 달아나지 않으면 열두 신들의 밥이 되리라. 빨리 빨리 법대로 하렸다 (甲作食凶 胇胃食虎 雄伯食魅 騰簡食不祥 覽諸食咎 伯奇食夢 强梁祖明共食磔死寄生 委隨食觀 錯斷食巨 窮奇騰根共食蠱 凡使十二神 追惡鬼凶 赫汝軀 拉汝肝節 解汝肌肉 抽汝肺腸 汝不急去 後者爲粮 急急如律令).”이다.
|
의례 |
입춘은 새해에 드는 첫 절후이므로 궁중과 지방에서 여러 의례를 베풀었다.
① 입춘하례(立春賀禮) : 『고려사(高麗史)』 「예지(禮志)」 입춘하의조(立春賀儀條)에 의하면, “인일(人日)의 축하 예식과 동일하나 다만 입춘에는 춘번자(春幡子)를 받는다.”고 하였다.입춘날에 백관이 대전에 가서 입춘절을 축하하면 임금이 그들에게 춘번자를 주고, 이날 하루 관리에게는 휴가를 주었다.
② 토우를 내는 일(出土牛事) : 『예기(禮記)』에 의하면 계동(季冬)에 궁중의 역귀를 쫓는 행사인 대나의(大儺儀) 때 “토우를 만들어 문 밖에 내놓아 겨울의 추운 기운을 보낸다(出土牛以送寒氣).”고 하였는데, 고려 때는 입춘에 토우를 내는 일이 시행되었다.③ 목우(木牛) : 함경도에서는 입춘날 나무로 만든 소를 관청으로부터 민가의 마을까지 끌고 나와 돌아다니는 의례를 갖는데, 이는 흙으로 소를 만들어 겨울의 추운 기운을 내보내는 중국의 옛 제도를 모방하고 풍년을 기원하는 뜻에서 행한다고 하였다. 해마다 입춘 전날에 무당들이 주사(州司)에 모여 나무로 만든 소에게 제사를 지내고,
입춘날 아침에는머리에 월계수 꽃을 꽂고 흑단령 의복을 차려 입은 호장(戶長)이
나무소에 농기구를 갖추어 나와 무격들로 하여금 화려한 비단 옷을 입고 앞장서서 호위하여 대오를 인도하게 하며 큰 징과 북을 치며 행진하여 관덕정 앞마당에 이르면 호장은 무격들을 나누어 여염집에 들어가서 쌓아둔 보릿단을 뽑아오게 하여 뽑아온 보릿단으로 실(實)·부실(不實)을 판단하여 새해의 풍흉을 점친다.
또 돌아서 객사에 이르면 문 밖에 있던 호장은 쟁기를 잡고 밭을 간다.
또한 아주 크고 붉은 가면에 긴 수염을 달아 농부로 차린 한 사람이 등장하여 오곡의 씨를 뿌린다. 이어서 초라니 광대처럼 채색한 새 탈을 쓴 다른 한 사람이 등장하여 곡식을 주워 쪼아 먹는 시늉을 한다.
또 두 사람이 여자 배우의 가면을 쓰고 등장한다.
처첩이 투기하여 서로 다투는 장면을 남편인 듯한 탈을 쓴 광대가 등장하여 거짓으로 서로 말리는 양하면 관중은 모두 이를 드러내고 웃는다. 이어 무격들이 한 떼를 이루어 어지럽게 춤을 추며 신을 놀리는 등 태평을 즐긴다.
동헌에 돌아와서도 그와 같이 한다.
이는 대개 탐라왕이 몸소 백성들 앞에서 밭을 갈아 풍년을 기원하던 유습이 전해 내려온 것이라 한다.
|
점복 및 속신 |
또 써 붙이지 않고 그냥 글귀를 외워도 좋다고 한다.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에 보리뿌리점[麥根占]이라 하여
농가에서는 입춘날 보리뿌리를 캐어보아 그해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데,보리뿌리가 세 가닥 이상이면 풍년이고, 두 가닥이면 평년이고, 한 가닥이면 흉년이 든다고 한다. 다섯 뿌리에 차지 못하면 흉년이 든다고 한다.
보리뿌리가 많이 나면 길하고 적게 나면 그해 보리가 안 된다고 한다.
입춘날 날씨가 맑고 바람이 없으면, 그해 풍년이 들고 병이 없으며 생활이 안정되나,
눈이나 비가 오거나 바람이 불면 흉년이 든다고 한다.
‘치’는 접미사로 보름·그믐·조금 또는 일진의 진사(辰巳)·술해(戌亥) 같은 것에 붙여
그 날 무렵에 날씨의 나빠짐을 나타내는 말이다. 전남 무안에서는 “입춘날 눈이 오면 그해 며루가 쓰인다.”고 하여,
그해 여름 벼농사에 며루(자방충)가 많이 생겨 해농(害農)한다 하고, 제주도에서는 입춘날 바람이 불면 그해 내내 바람이 많고 밭농사도 나쁘다고 한다.
또 이날 집안 물건을 누구에게도 내주는 일이 없는데,
만일 집 밖으로 내보내면 그해 내내 재물이 밖으로 나가게만 된다고 한다. 삼재를 당한 사람의 속옷에 ‘삼재팔난(三災八難)’이라 쓰고 부처님 앞에 빌고 난 후 속옷을 가져다가 불에 태운다.
경남 창녕군 영산에서는 이날 새알심을 넣지 않은 팥죽을 끓여 먹고 집안 곳곳에 뿌려 벽사(辟邪)를 한다. 충청도에서는 이날 보리뿌리가 내리기 때문에 보리밥을 먹어야 좋다고 하여 보리밥을 해 먹으며, 함남 북청에서는 이날 무를 먹으면 늙지 않는다고 하여 무를 먹고, 잡곡밥은 먹지 않고 흰쌀밥을 먹으며, 함남 홍원에서는 이날 남자들이 명태를 통째로 쪄서 먹으면 등심이 난다고 해 먹는다. |
절식 |
『경도잡지』와 『동국세시기』에 의하면
“경기도 산골지방(畿峽)의 육읍[양근(楊根), 지평(砥平), 포천(抱川), 가평(加平), 삭녕(朔寧), 연천(漣川)]에서는 총아(葱芽, 움파)·산개(山芥, 멧갓)·신감채(辛甘菜, 승검초) 등 햇나물을 눈 밑에서 캐내어 임금께 진상한다. 궁중에서는 이것으로 오신반(다섯 가지의 자극성이 있는 나물로 만든 음식)을 장만하여 수라상에 올렸다. 오신반은 겨자와 함께 무치는 생채요리로 엄동(嚴冬)을 지내는 동안
결핍되었던 신선한 채소의 맛을 보게 한 것이다.
|
구비전승 |
대한을 지나 입춘 무렵에 큰 추위가 있으면, “입춘에 오줌독(장독·김칫독) 깨진다.”
또는 “ 입춘 추위에 김칫독 얼어 터진다.”라 하고,입춘이 지난 뒤에 날씨가 몹시 추워졌을 때에는 “입춘을 거꾸로 붙였나.”라고 말한다.
|
의의 |
입춘은 24절기 가운데 첫 절기로, 이날부터 새해의 봄이 시작된다.
따라서 이날을 기리고, 닥쳐오는 일년 동안 대길(大吉)·다경(多慶)하기를 기원하는
갖가지 의례를 베푸는 풍속이 옛날에는 있었으나, 근래에는 더러 입춘축만 붙이는 가정이 있을 뿐, 그 절일(節日)로서는 기능을 상실하고 말았다. |
|
•京都雜志, 高麗史, 東國歲時記, 歲時風謠, 呂氏春秋, 洌陽歲時記, 禮記 •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 (文化財管理局, 1969~1981) •韓國歲時風俗硏究 (任東權, 集文堂, 1985) •韓國의 歲時風俗Ⅰ (국립민속박물관, 1997) •韓國의 歲時風俗Ⅱ (국립민속박물관, 1998) •함경도의 민속 (전경욱,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9) •탐라국입춘굿놀이 (문무병, 제주전통문화연구소, 2000) •한국의 벽사의례와 연희문화 (황경숙, 月印, 2000) |
입춘방[立春榜:(입춘축, 입춘서, 입춘축, 춘축, 입춘부)]
대문이나 대들보·천장 등에 좋은 뜻의 글귀를 써서 붙이는데 이를 춘축(春祝)이라고 한다.
입춘일은 천세력(千歲曆)에 정해져 있는데 연초인 경우가 많다.
상중(喪中)인 집에서는 하지 않는다.
널리 씌어지는 입춘방으로는 대개
입춘대길(入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국태민안(國泰民安),
개문만복래(開門萬福來, 춘만건곤만복가(春滿乾坤萬福家) 등이 있다.
대궐에서는 원일(元日)에 내전의 기둥과 난간에다 문신들이 지은 연상시(延祥詩) 중에서
좋은 것을 뽑아 써붙였는데 이를 특별히 춘첩자(春帖子)라고 불렀다.
〈열양세시기〉에 의하면 입춘이 되기 며칠 전에
승정원의 정3품 이하와 시종을 뽑아서 임금께 아뢰고 5언절구로 각각 1편씩 시를 짓는다.
마치 과거를 뽑는 것과 같이 3등급 이상을 뽑아 합격시키며
글머리에 가로로 줄을 그어 나누는 표지를 하고 그 수대로 써서 올리도록 한다.
〈형초세시기 荊楚歲時記〉에서도 "입춘일에 봄에 합당한 문자를 써서 문에다 붙인다"고 했으니
〈동국세시기〉에서는 "관상감에서는 주사(朱砂)로 벽사문을 써서 대궐 안으로 올려 문설주에 붙인다.
이는 곧 〈후한서 後漢書〉에서 12월 1일
대대적으로 나례(儺禮)를 하여 귀신을 쫓을 때 하던 일이 입춘날의 부적으로 된 것이다.
단오날에도 이것을 붙인다.
정조 때는 은중경의 진언을 인쇄하여 나누어주고 문에 붙여 액을 막도록 했다.
단오날에는 문에 붙이는 첩자에 신다울첩(神茶鬱疊)의 4글자를 쓴다"고 했다.
입춘의 의미와 입춘방의 예문들
우리나라 24절기중 제일 처음 절기인 입춘은 그 명칭이 지칭하듯 봄으로 접어드는 절기이다.
입춘은 대게 음력 설날이 지나고 며칠후에 들수가 있고 혹은 설날이전인 섣달에 들수가 있다
이런 경우 입춘이 1년에 두번 드는 경우인데 재봉춘(再逢春) (즉 봄을 두번 맞이한다는 뜻)이라 일컷게 되는데,
요즈음에 와서는 사전에도 없는 쌍춘절이라 말하는데 이는 재봉춘을 마음대로 해석한 맞지 않는 단어이다.
입춘이 되면 입춘축 혹은 입춘방이라하는 입춘체를 써서 그 집안으로 들어오는 대문이나 기둥에 붙이는데
주의할 것은 상가나 3년상 등이 있는 집에서는 입춘체를 써서 붙이지 않는것이 우리 풍습의 예이다.
입춘은 앞서도 말했듯이 새해 처음 시작되는 절기이고 이날부터 봄의 시작이 되는 절기 이므로
우리 조상님들은 이날을 매우 뜻깊게 여겼습니다 그래서 이날에 입춘방이라 일컷는 입춘체를 써서 붙이게 되었는데
그 내용은 복을 나타내는 글귀나 행운과 행복을 염원하는 글들이다.
입춘방을 살펴보면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이 가장 많이 쓰였지만
그 외에도 여러가지 글귀들이 사용되었다.
다음은 예전에 사용하였던 입춘방의 글귀와 그 뜻을 살펴보면...
입춘대길(立春大吉) 입춘을 맞이하여 집안에 즐겁고 길한 일만 생기길 기원.
건양다경(建陽多慶) 집안에 경사스러운일들이 많이 생기고,
따듯한 햇빛처럼 행복한가정이 세워지길 바라는 기원.
국태민안(國泰民安)나라는 크게 번성하여 태평하고 백성은 평안하길 기원.
가급인족(家給人足) 집집마다 생활 형편이 부족함이 없이 넉넉하기를 기원.
자손만세영(子孫萬世榮) 자손이 대대로 영화롭게 살아가길 기원.
소지황금출(掃地黃金出) 마당을 쓸다 황금이 나온다는 말로 집안에 재물이 차고 넘쳐 부족함이 없기를 기원.
소문만복래(笑門萬福來) 웃으면 만복이 들어온다는 뜻으로 집안에 웃음이 가득하길 기원.
용륜오복(龍輪五福) 용의 바퀴에 오복이 있다는 뜻으로 자손들이 등과 하기를 기원.
부모천년수(父母千年壽) 부모님들의 만수무강을 기원 .
천재춘절소(千災春雪消) 천가지 재앙은 봄 눈녹 듯 사라지다라는 뜻으로
집안의 모든 재앙은 봄눈처럼 녹아 집안이 평안하길 기원.
만복운집기(萬福雲集起) 만복이 구름처럼 밀려들어오길 기원.
이러한 글귀들을
대문에는 두개의 문장을 八자형으로 붙이고
기둥에는 한장의 문장을 세로로 붙인다.
立春大吉 建陽多慶 입춘대길 건양다경
國泰民安 家給人足 국태민안 가급인족
雨順風調 時和年豊 우순풍조 시화풍년
堯之日月 舜之乾坤 요지일월 순지건곤
壽如山 富如海 수여산 부여해
父母千年壽 子孫萬代寧 부모천년수 자손만대녕
天下泰平春 四方無一事 청하태평춘 사방무일사
天上近三陽 人間五福來 천상근삼양 인간오복래
鳳鳴南山月 麟遊北岳風 봉명남산월 인유북악풍
掃地黃金出 開門萬福來 소지황금출 개문만복래
開門萬福來 閉門三災厄 개문만복래 폐문삼재액
春到門前增富貴 춘도문전증부귀
春光先到古人家 춘광선도고인가
一家和氣滿門楯 일가화기만문순
人情富貴如將得 인정부귀여장득
玉洞桃花萬樹春 옥동도화만수춘
四海太平春 사해태평춘
陽春布德澤 양춘포덕택
春運五色開 춘운오색개
年豊人樂 년풍인락
瑞氣集門 서기집문
和氣集門 화기집문
'▣알고 싶어요☞ > ?? 알고싶어요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고지도에서 본 강화산성/강화외성/정족산성(삼랑성)에 대해서 (0) | 2010.02.25 |
---|---|
안양천에서 만난 갈매기를 닮은 새의 이름은?? 괭이갈매기!! (0) | 2010.02.13 |
우리말 어원 (0) | 2010.01.29 |
친인척간의 계촌법과 호칭 (0) | 2010.01.29 |
2010년 새해 사자성어는 `강구연월'(康衢煙月) (0) | 2009.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