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행·도보여행정보☞/♡ 산행·여행 지도 & 정보

[수도권 전철 확장으로 더욱 가까워진 양평의 산들 ] 양평 추읍산 & 고래산

by 맥가이버 Macgyver 2011. 4. 16.

 

[특별부록지도 코스가이드] 양평 추읍산 & 고래산
 
수도권 전철 확장으로 더욱 가까워진 양평의 산들

한강기맥 금물산(774m)에서 남서로 갈라져 나와 성지봉(787m)을 빚은 다음, 계속 이어지는 능선이 성지지맥이다(박성태 저 <신산경표> 참조). 성지지맥은 약 15km 거리인 삼각산(539.3m)에 이르면 남으로 방향을 틀어 약 30km 거리인 자산(248.5m)에 이르러 여맥을 남한강과 섬강에 가라앉힌다.

삼각산에서 성지지맥을 이탈해 거의 서쪽으로 가지 치는 능선이 있다. 이 능선이 수리봉(359m)~한치고개(지평면-양동면 경계)를 지나면 방향을 남으로 틀어 약 3km 거리 전양고개를 지나 약 3km 더 나아가면 445m봉에 이른다. 이 봉에서 능선이 남과 북으로 갈라지는데, 남으로 향하는 능선이 약 1.5km 거리에 들어올린 산이 고래산(541.1m)이다.

고래산에서 남진하는 능선은 양평군 지제면과 여주군 북내면 경계를 이루며 약 2km 거리 우두산(牛頭山·484m)을 지나 약 10km 남진, 싸리산(192m·대신면 천남리 장승백이고개 37번 국도 남쪽 1km 거리)과 봉미산(156.2m·북내면 신남리)~신륵사에 이르러 여맥들을 남한강변으로 가라앉힌다.

445m봉에서 북으로 향하는 능선은 약 3.5km 거리 배미산(396m)에 이르면 방향을 서쪽으로 틀어 약 8km 거리에다 추읍산(趨揖山·582m)을 들어올린다. 추읍산을 지나는 능선은 약 5km 더 나아간 개군산(239m)에 이른 다음, 잔릉이 남한강과 흑천으로 스며든다. 추읍산과 고래산은 남동~북서향으로 약 9km 거리를 두고 마주보고 있다.

추읍산은 양평군 용문면과 개군면 경계를 이룬다. 이 산은 북쪽 흑천 건너 용문산을 바라보고 읍(揖)하고 있는 형상이라 하여 추읍산으로 불리게 되었다는 설이 전해진다.

다른 이름으로는 이 산 정상에서 사위를 둘러보면 양평, 개군, 옥천, 강상, 지제, 용문, 청운 모두  7곳에 달하는 고을이 보인다고 해서 일곱 칠(七)과 고을 읍(邑) 자를 써서 칠읍산으로 불리기도 한다. 또는 일곱 고을이 양근, 지평, 여주, 이천, 양주, 광주, 장호원이라는 설도 전해진다.

옛날 추읍산 정상은 ‘마당재’로 불렸다 한다. 여주에 세종대왕 능을 쓸 때의 일이다. 묘자리를 파고 보니 땅속에서 물이 솟아올랐다. 이에 지관을 잡아 가두려 하자, 지관이 말하기를 “나를 잡지 말고 칠읍산 마당재에 우물을 파도록 하시오. 그러면 마당재에서 물이 나오고 그 대신 세종대왕 능 자리의 물기가 싹 가실 것이오”라고 말했다는 설이 전해진다.

아무튼 25년 전인 1986년 6월 주말산행코스로 이 산을 답사했을 때 산 아래 삼성리에서 만났던 양효석(당시 72세·삼성리에서 6대째 살았던 분)씨에 의하면, 그가 어렸을 때만 해도 정상에 물이 마르지 않는 샘터가 있었으나 묘하게도 6·25 후에 자취를 감추었다고 말했었다. 당시 양씨는 추읍산은 풍수적으로 산세가 ‘갈마음수형(渴馬飮水形·목마른 말이 물을 먹는 모습)으로 정상에서 사방으로 산을 에워싼 물줄기가 내려다보이는 조망이 일품이라고 말하기도 했었다.

추읍산은 양평에서 용문 방면으로 오고갈 때 원덕역 뒤 흑천 건너로 지붕 용마루처럼 올려다보이는 산이다. 그러나 이 산은 남쪽 내리나 주읍리 방면에서는 마치 임산부의 배처럼 둥그런 돔형을 이뤄 보인다.

추읍산 북쪽 삼성리 일원은 예전부터 여름철 물놀이장소로 인기 있는 곳이다. 특히 산 남서쪽 내리와 남동쪽 주읍리 일원은 수령이 400~500년가량 되는 산수유(山茱萸)  나무 약 1만5,000주가 자생하고 있는 산수유마을로 유명하다. 이 마을에서는 매년 4월 초 노란 산수유꽃이 온 마을을 뒤덮을 때를 맞춰 ‘개군 산수유축제’가 열리고 있다. 축제 때에는 길놀이, 산수유 백일장, 추읍산 등산대회 등 다채로운 행사가 열린다. 따라서 추읍산은 4월 산수유꽃 만발할 때 찾으면 더욱 좋을 듯하다.

고래산은 양평군 지평면과 여주군 북내면 경계를 이룬다. 고래산은 예전부터 경기도의 곡창이라 할 여주들녘에서 바라볼 때 바다 수면 위에 뜬 고래등처럼 보여 산이름을 그리 불렀다는 설이 있다. 또는 옛날 이 산이 고려장터로 이용되었기 때문에 ‘고려산’으로 불렀다가 일본인들의 지형도 제작과정에서 고래산으로 오기(誤記)되었다는 설도 있다. 실제로 답사팀이 1990년 2월 이 산을 주말산행코스로 소개할 때만 해도 산 아래 촌로나 원주민들은 이구동성으로 ‘고려산’으로 부르고 있었다.

고래산을 가리켜 고달산(高達山)이라 불렀다는 기록도 전해진다. 고달산이라는 이름은 남한강가 절터들 가운데서 가장 오랜 연조를 지닌 고달사(高達寺)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다. 산 북쪽 지평면 무왕리와 일신리 등 세 곳의 기점에다 양평군에서 세워 놓은 등산안내도에는 한문으로 ‘高崍山’으로 표기하고 있다.

추읍산이 산수유 군락으로 무장했다면, 고래산은 산자락에 1,180여 년 전 창건되었다가 조선조에 들어와 스러진 고달사지가 다이아몬드처럼 박혀 있다. 따라서 고달사지에 남아 있는 국보 고달사지부도와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쌍사자석등, 혜진탑비 귀부 및 이수, 원종대사혜진탑 등을 보는 것만으로도 이 산을 찾은 보람을 느낄 수 있다.

추읍산과 고래산은 정상에서 남으로 조망되는 남한강과 북으로 펼쳐지는 한강기맥을 이루는 용문산 일원을 휘둘러보는 풍광이 일품이다. 여기에다 수도권에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해 당일로 다녀오기에 부담이 없는 산들이다. 또한 산세가 부드러운 육산에 가까워 위험구간이 거의 없기 때문에  남녀노소 누구나 편안하게 산행을 즐길 수 있다    


▲ 추읍산 정상에서 남동쪽 지평리 분지 건너 약 9km 거리로 보이는 고래산. / 원덕역에서 남동으로 본 추읍산. 왼쪽부터 질마재~정상~두레마을(오른쪽).

등산코스


추읍산은 대중교통편이 편리한 중앙선 전철역인 양평읍 원덕역(추읍산역)에서 흑천 건너 두레마을~북서릉, 산 북쪽인 용문면 삼성리 중성마을~북릉, 산 남쪽 개군면 주읍리~남동릉, 주읍리~남릉, 산 남서쪽 내리 추읍산 산림욕장~북서릉을 경유해 정상에 오르는 코스가 대표적이다. 산 북동쪽 화전리 능골 방면으로도 산길이 있으나 이용도가 매우 낮다.

고래산은 정상 남쪽 여주군 대신면과 북내면 경계인 뺑치고개에서 우두산 남릉~남서릉(국사령 능선), 서쪽에서는 양평군 지평면 대평저수지 평장마을에서 북릉 헬기장~북릉, 산 북쪽에서는 무왕2리 마을회관에서 골안공원~북릉과 북동릉, 동쪽에서는 일신3리 거문골~동릉을 경유하는 코스가 대표적이다.


상기 코스들을 추읍산부터 시계방향으로 소개한다.


추읍산


원덕역(추읍산역)~두레마을~북서릉(면계 능선)~북릉~정상
〈약 3.5km·2시간20분 안팎 소요〉


원덕역을 기점으로 하는 이 코스는 중앙선 수도권 전철로 쉽게 접근할 수 있어 등산인들이 가장 많이 찾는 코스다. 두레마을에서 오르는 북서릉은 용문면(북쪽)과 개군면(남쪽) 경계를 이루는 능선이다. 능선 상단부 전망쉼터인 383m봉에서는 원덕역 일원이 시원하게 조망된다. 이후 내리 갈림길부터 북릉으로 이어지는 길은 급경사에다 계속 밧줄이 이어져 있다.


▲ 1 삼성리 중성마을 느티나무 가로수. 오른쪽은 흑천이다. 2 질마재 아래에 있는 약수터.

원덕역(추읍산 1.4km→푯말)-(남서쪽으로 약 4분)→원덕1리(덤바위마을) 원덕부동산 앞 삼거리(오른쪽은 금강슈퍼)-(왼쪽 원덕구판장 지나는 흑천변 길로 6분)→두레마을 입구 다리-(다리 건너)→추읍산 등산로 안내판(ㅓ자 삼거리)-(왼쪽 흑천변 길로 6분)→오른쪽 지계곡 입구-(지계곡 안으로 약 25m)→왼쪽 밧줄 사면길 하단부-(약 35m 밧줄 오름)-북서릉 진입-(13분)→묵묘-(10분)→묘 1기-(12분)→383m봉(전망장소·나무 벤치 2개)-(약 20m)→마답재(ㅏ자 삼거리·산림목장 0.2km→, 원덕역 5.2km→푯말)-(약 30m)→ㅓ자 삼거리( 푯말)-(5분)→내리 갈림길(←정상 0.45km, 내리 행사장 1.5km→푯말)-(왼쪽 지그재그 급경사 오르막으로 약 80m 밧줄 난간)-왼쪽 사면길 시작-(사면 길로 약 130m)→북릉 T자 삼거리(←용문 방면 중성 등산로 입구 2.43km, 정상 170m→푯말)-(3분)→헬기장-(약 70m)→정상.

삼성리(중성마을)~400m봉 북서릉~질마재(약수터)~북릉~정상
〈약 4.5km·2시간20분 안팎 소요〉


삼성리 마을회관에서 남쪽 천변길은 수령이 100년은 넘어 보이는 느티나무 가로수가 눈길을 끈다. 예전에는 느티나무 아래 흑천변에 빨래터가 있었으나 세월 따라 빨래터는 쓰레기더미로 흔적을 감추었다. 400m봉 북서릉을 경유해 닿는 계곡 상단부 약수터에 이르면 질마재가 올려다보인다. 예전에는 질마재까지 올라간 다음, 오른쪽 북릉으로 향했으나 요즘은 약수터 남쪽 지름길을 타고 북릉으로 향한다.

원덕역을 기점으로 두레마을~북서릉으로 정상에 오른 경우 북릉을 타고 삼성리로 하산, 또는 삼성리에서 정상에 오른 경우에도 하산을 북서릉~두레마을 경유 원덕역으로 원점회귀하는 등산인들이 가장 많다.  


원덕역-(35분)→삼성리 마을회관(경로당)-(남쪽 흑천변 느티나무 가로수 길로 4~5분)→중앙선 고가다리 아래 ㅓ자 삼거리-(왼쪽 고가다리 밑으로 평행하는 길로 약 100m)→ㅏ자 삼거리(교각 P23과 P24 사이)-(오른쪽 25m)→추읍산 등산안내도-(계곡길로 5분)→오른쪽 사면길 진입-(5분)→400m봉 북서릉 능선 안부-(북서릉으로 18분)→오른쪽 사면길 진입-(3분)→계곡 도착-(4분)→약수터(정상 0.9km→푯말·나무벤치 2개)-(사면길로 5분)→ㅓ자 삼거리(←정상0.65km, 내리·원덕역 3.4km↑푯말)-(왼쪽으로 10분)→북릉 진입-(27분)→두레마을 방면 북서릉과 만나는ㅏ자 삼거리. 이후 계속 직진, 정상으로 향한다. 


주읍리 마을회관~산수유펜션 앞 삼거리~무쇠말백이~남동릉~정상
〈약 2.5km·1시간40분 안팎 소요〉


주읍리(注邑里)는 국립지리정보원 발행 지형도에 나오는 행정지명이다. 그런데 마을회관에는 한문으로 ‘趨揖里(추읍리)’라고 쓰인 간판이 붙어 있다. 주읍리는 수백 년 세월을 견뎌온 산수유나무들이 계곡을 따라 또는 논두렁 밭두렁을 따라 지천으로 자생하고 있는 마을이다. 이 마을은 봄이면 온 마을이 노란색으로 물들고, 가을이면 새빨간 산수유 열매로 염색되는 곳이다. 

주읍리는 양성 이씨 집성촌이다. 산수유나무는 양성 이씨들이 500여 년 전 이 고을로 처음 들어와 정착하면서 심기 시작했다고 한다. 이 마을에서 17대째 살고 계시는 이제민(80세) 옹에 의하면 이곳에서는 산수유 열매를 서울에 내다 팔아 그 돈으로 자식들 모두 대학공부 시켰다고 한다. 대학공부 시킨 자식들은 현재 모두 도시로 나가고 양성 이씨 14 가구 중 남자 홀로 사는 집 7가구, 여자 홀로 사는 집이 7가구라 한다.  어려서부터 추읍산으로 나무하러 다닌 것을 시작으로 추읍산을 심심하면 오른다는 이옹께서는 마을회관에서 정상까지 1시간에 오를 정도로 건강하다. 평생 산수유를 드신 덕이라고 한다. 


마을회관-(11분)→산수유펜션 앞 삼거리(←내리 새상골 등산로 입구, 추읍산 정상 1.72km↑ 푯말과 ←내리 희망 볼랫길 2.5km 푯말 있음)-(직진 5분)→칠보산장-(약 60m)→합수점(대형 추읍산 등산로 안내도)-(6분)→푯말(↑정상 1.25km)-(10분)→전주 김씨 묘역 비석(↑정상 0.87km 푯말)-(30분)→무쇠말백이(←정상 750m 푯말)-(5분)→120m 밧줄 하단부(등산안내도)-(급경사 5분)→밧줄 상단부(등산안내도)-(6분)→ㅓ자 삼거리(←내리 등산로 입구 1.35km, ↓주읍리 등산로 입구 2.2km, 정상 0.15km↑ 푯말)-(7분)→정상.


 


▲ 1‘추읍리(趨揖里)’ 마을회관 현판 앞에 포즈를 취한 이제민(80세) 옹(가운데). 이 고을에서 17대째 살아오신 분이다. 2 추읍산 정상비석. 이제민 옹과 당숙이 되는 주읍리 방앗간집 주인 이선효씨의 6남매가 모두 부부동반으로 정상에 올랐다. 3 마을회관을 지나 마주보이는 정상과 무쇠말백이(오른쪽 안부).

주읍리~산수유펜션 앞 삼거리~희망볼랫길~남릉~정상
〈약 2.5km·1시간30분 안팎 소요〉


차단기에서 7~8분 거리인 남릉 T자 삼거리에서 ‘←내리 등산로 입구 0.34km’라고 쓰인 내용은 남서쪽 임도와 만나는 곳까지 짧은 거리를 말한다. 화살표 방면 임도에서 남서쪽 능선길은 새상골 마을로 이어진다. 따라서 새상골 마을에서 남릉으로 산행을 시작해도 된다. 남릉 움막 이후로는 계속 급경사 길이다.

산수유펜션 앞 삼거리-(왼쪽 희망볼랫길〔임도〕로 10분)→차단기-(5분)→ㅏ자 삼거리-(오른쪽 사면길로 약 80m)→남릉 T자 삼거리(←내리 등산로 입구 0.34km, 정상 1.17km→ 푯말)-(오른쪽 남릉으로 10분)→움막(↓내리 등산로 입구 4.9km, 정상 1.02km↑ 푯말)-(18분)→오른쪽 사면길 진입-(15분)→무쇠말백이 방면 남동릉 삼거리. 이후 6~7분 더 오르면 정상이다.

 

내리 내동~추읍산 산림욕장~북서릉~북릉~정상
 〈약 2.9km·2시간 안팎 소요〉


내리는 개군에서 동쪽 주읍리 입구 방면 자연리 삼거리에서 북으로 들어간다. 그런데 답사팀이 이곳을 찾았을 때(2월 9일) 삼거리 북쪽 약 200m 거리에 이르러 차를 다시 되돌려나와야 했다. 왜냐하면 구제역으로 외부인 출입을 막기 위해 농기구와 통나무로 도로를 가로막아 놓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답사팀은 주읍리 마을회관에다 주차 후, 추읍산 남측을 가로지르는 희망볼랫길을 걸어서 내리로 향했다(1시간10분 소요).
  
돌탑동산 상단부 삼거리에서 오른쪽 급경사 길로 접근하는 약물장은 약 10m 수직 절벽 바위틈에서 샘솟는 약수터다. 추읍산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이 약수는 남향이다. 그래서 한겨울에도 얼지 않는다. 그런데 지난 겨울은 유난히 추웠기 때문에 절벽에서 내린 물줄기가 빙벽을 이루고 있었다. 이 약수는 돌탑동산 상단부 기도터에서 기도를 드릴 때 우물 역할을 했던 곳이다.  

내동-(10분)→ㅏ자 삼거리(정상 2.14km·내리 새상골 등산로 입구→ 푯말·오른쪽 임도는 주읍리 산수유펜션 앞으로 이어지는 희망볼랫길)-(약 200m)→주차장-(2분)→추읍산 산림욕장 출입문-(3분)→연두색 펜스 앞 삼거리-(오른쪽 길로 약 100m)→제당(등산로 안내판)-(3분)→운동시설 왼쪽 삼거리(일명 산림욕장 아카시아숲·↑정상 1.5km 푯말)-(오른쪽 둔덕 방면으로 10분)→ㅓ자 삼거리(왼쪽 길은 진달래동산 사각정자 방면)-(4분)→돌탑동산-(약 100m)→돌탑동산 상단부 ㅓ자 삼거리( ↑정상 0.59km, ↓내리 등산로 입구 1.56km, 약물장 80m→ 푯말·나무의자 2개)-(북서쪽 사면길로 7분)→두레마을 방면 북서릉과 만남. 이후 오른쪽 급경사 사면길로 북릉을 경유해 정상으로 향한다. 


추읍산 정상에서는 북으로 용문산, 북동으로 용문 번화가가 조망된다. 용문 뒤로는 중원산 도일봉이 하늘금을 이룬다. 도일봉에서 오른쪽으로는 비룡산과 삼각산 뒤로 한강기맥인 갈기산 금물산이 하늘금을 이룬다. 금물산 오른쪽으로는 성지지맥을 끌고 나오는 성지봉도 보인다. 남동으로는 지평 분지 건너 고래산이 마주보인다. 고래산 뒤 멀리로는 원주 치악산, 백운산, 십자봉 등이 펼쳐진다. 남으로는 여주 방면 남한강, 남서로는 남한강 건너 이천 방면 원적산, 천덕봉, 앵자봉이 조망된다. 앵자봉 오른쪽으로는 개군산 뒤로 양자산이 하늘금을 이룬다. 북서로는 해협산과 청계산 사이를 흐르는 남한강 뒤로 검단산, 예봉산, 운길산이 눈에 와닿는다.
     


고래산


뺑치고개~우두산 남릉~국사령~남서릉~정상
 〈약 4.5km·2시간30분 소요 / 상교리 정류소 기점 약 6km·3시간 소요〉


상교리 입구 벌들 버스정류소에서 고달사지 방면으로 약 100m 거리에 이르면 상교교를 건너간다. 상교교 오른쪽 논바닥 가운데에 소나무숲을 뒤집어 쓴 둔덕이 눈길을 끈다. 마치 수박을 반으로 잘라 엎어 놓은 듯한 이 둔덕은 ‘신털이봉’이다. 논바닥 위로 약 10m 높이에 길이 약 40m, 폭이 20m가량 되는 규모다. 지형도상 해발 높이로는 100m가량 된다.

신털이봉은 옛날 고달사 스님들이 외지를 다녀오던 길에 이곳에 이르러 다리쉼을 했다는 장소다. 그때 이곳에서 짚신을 털어 나오는 흙가루가 쌓여 생긴 봉우리라 신털이봉으로 불리었다 전해진다. 그만큼 옛날 고달사가 번창했을 때 스님들이 많았다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신털이봉을 지나 도로를 따라 5~6분 가면 고달사지 입구 삼거리(고달사지→ 안내판)가 나온다. 삼거리에서 직진하는 길로 20분 오르면 뺑치고개(해발 240m)에 닿는다. 뺑치고개는 옛날 이 고장으로 시집 온 새댁이 시집살이가 너무 힘들어 견디지 못하고 이 고개를 넘어 뺑소니를 쳤다고 해서 그런 이름이 붙었다는 설이 전해진다.   
   
우두산에서 정상, 정상에서 남동쪽 옥녀봉으로 이어지는 능선은 양평군 지평면과 여주군 북내면 경계다.

국사령은 옛날 북서쪽 지평면 대평리에서 동쪽 상교리 고달사와 주암리 방면으로 넘나들던 큰 고개였다. 그러나 국사령 서쪽 산골에 골프장이 들어선 이후로는 폐도가 되었고, 이곳을 넘던 등산로도 흔적을 감추었다. 

상교리 벌들 정류소-(약 100m)→상교교(신털이봉)-(6~7분)→고달사지 입구 삼거리-(20분)→뺑치고개-(25분)→ㅏ자 삼거리(고달사 갈림길→)-(15분)→함몰지대-(3분)→335m봉-(5분)→360m봉-(20분)→면계능선 삼거리 공터(우두산 정상은 왼쪽 능선 방면)-(10분)→국사령-(16분)→얹힌 바위-(6분)→474m봉-(12분)→정상(삼각점〔여주 24〕과 양평군산악연맹에서 세운 정상비석).


▲ 1 뺑치고개와 고달사지 들목인 상교리 도로변에 있는 신털이봉. 오른쪽 봉우리는 고래산 정상. 2 골프장 안내석이 세워진 뺑치고개 기점. 나무 뒤로 우두산 남릉이 보인다. 3 고달사지 석조대좌(보물 제8호)에서 북으로 본 정상 남서릉. 4 정상에서 남으로 조망되는 고달사지 방면 상교리. 나뭇가지에 가려 남서릉은 시야에 안 들어온다.
고달사지~우두산 남릉~국사령~남서릉~정상
〈약 4.5km·2시간30분 안팎 소요 / 상교리 정류소 기점 약 5.5km·3시간 안팎 소요〉

현재의 고달사 절집은 1973년에 지은 양옥 법당이다. 법당 왼쪽에 산신각이 자리하고 있다. 산신각도 현대식 건물이다. 산신각 왼쪽 푯말(혜목산 등산로↑)을 지난 합수점에서 양쪽 지계곡 사이 지능선으로 오르는 길이 오솔길처럼 뚜렷하다. 혜목산(慧目山)은 옛날 우두산 이름이다. 

상교교(신털이봉)-(6~7분)→고달사지 입구 삼거리-(오른쪽 길로 약 100m)→주차장-(약 2분)→큰 느티나무 삼거리(고달사지 안내판·왼쪽 목책 안쪽이 고달사지)-(고달사지 오른쪽 길로 약 250m)→고달사 대웅전 앞마당-(30m)→  산신각 왼쪽 등산로 푯말-(지능선길로 15분)→뺑치고개 방면 길과 만나는 우두산 남릉 도착. 이후 오른쪽 우두산 남릉을 타고 정상으로 향한다.


대평리 평장~헬기장 서릉~513m봉~북릉~정상
〈평장 기점 약 2.5km·1시간20분 안팎 소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 대평리 기점인 평장마을까지는 지평~대신을 잇는 70번 국지도가 지나는 곡수 삼거리에서 약 30분 걸어 들어가야 한다. 이 코스는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다. 평장마을은 하루에 두 차례(09:40〔09:00 여주 발〕, 13:20〔12:20 양평 발〕) 버스편이 있지만 외지인들이 이용하기에는 크게 도움이 안 된다. 아무튼 대평리는 고래산 일원에서 대중교통편이 가장 불편한 곳이다.

곡수삼거리-(10분)→대평2리 마을회관-(6~7분)→대평저수지 둑-(10분)→대평2리 평장마을 버스정류소 삼거리-(15분)→평장마을 골프장 입구(←고래산 정상 2.07km푯말)-(왼쪽 산길로 약 100m)→Y자 삼거리(양봉·더덕밭 안내판)-(왼쪽 묘역 지나는 헬기장 서릉길로 18분)→휴식장소(긴 통나무의자 1개·오른쪽 아래로 골프장 주차장 보임)-(1분)→20m 밧줄 하단부-(급경사 10분)→두 번째 밧줄 상단부-(25분)→북릉 헬기장-(2~3분)→513m봉(통나무 의자)-(3분)→북동릉 갈림길(←절골 산림욕장 1.9km, 정상 0.2km↑,↓절골 산림욕장 1.7km, ↓무촌회관 3.9km 푯말)-(7분)→정상. 


 


무왕2리 마을회관~골안공원~북릉~정상 〈약 4km·2시간 안팎 소요〉


임도나 북릉 중요 기점에 세워진 푯말에 쓰여 있는 ‘절골 산림목장’은 골안공원을, ‘무촌회관’은 무왕2리 마을회관을 일컫는다. 골안공원에는 원두막형 정자, 각종 운동기구를 구비한 체육시설, 족구장, 화장실 등이 있다. 두 번째 합수점에서 오르면 나오는 임도는 무왕2리 마을회관 북쪽에서 북릉 동쪽 사면을 휘돌아 이어진다. 이 임도는 북동릉 456m봉 북단에 이르러 남쪽으로 휘어져 동릉 하단부(거문골)를 지나 동쪽 일신리 금동마을 입구까지 약 12km 길이로 이어진다. 따라서 이 임도는 산악자전거 코스로도 손색이 없다. 


무왕2리 버스정류소-(남동쪽 도로 150m)→거치리마을 들목 삼거리(무왕2리 거치리마을→, 고래산→ 푯말)-(약 200m)→무왕2리 마을회관-(10분)→거치리마을 입구 창고-(왼쪽 다리 건너 2분)-나무판 안내 푯말(골안공원→)-(오른쪽 다리 건너는 길로 10분)→골안공원-(약 150m)→왼쪽 계류 건너 고래산 등산안내도-(약 20분)→첫 번째 합수점-(오른쪽 계곡길로 5분)→두 번째 합수점-(약 50m)→지능선길 시발점(약 30m 통나무 계단)-(7분)→휴식장소(통나무 의자 1개)-(8분)→임도(↓무촌회관 2.9km, ↓절골 산림욕장 1.1km,↑정상 1.5km 푯말)-(임도 건너 10m 절개지 통나무계단 오른 후 12분)→북릉 T자 삼거리(←고래산 정상, ↓절골 산림욕장 푯말)-(1분)→ㅏ자 삼거리(서쪽 배잔마을 방면 갈림길)-(6~7분)→헬기장(평장마을 갈림길→). 이후 513m봉을 경유해 정상으로 향한다. 

또는 골안공원을 지난 등산안내도에서 20분 거리인 첫 번째 합수점에서 왼쪽 계곡길로 20분이면 닿는 임도를 경유해 올라도 된다. 임도를 가로질러 약 50m(약 60m 길이로 밧줄 설치되어 있음) 오르면 북동릉 안부에 닿는다. 이후 북동릉을 타고 25분이면 닿는 북릉을 타고 정상으로 향하면 된다.


 


▲ 1 합수점에서 20분가량 오른 임도 푯말에서 남으로 보이는 정상. 2 정상에서 북으로 조망되는 무왕2리. 오른쪽으로 삼각산(539m)이 보인다. 3 금동마을에서 바라본 거문골과 정상. 가운데 튀어나온 봉우리가 동릉이다. 4 정상에서 뒤돌아본 헬기장 방면 513m봉(앞)과 북릉.

일신3리(금동)~거문골~동릉~정상 〈약 3.5km·2시간30분 소요〉


금동마을에 들어서면 정면으로 고래산 정상이 마주보인다. 정상 아래로 보이는 봉우리는 동릉이다. 정상 오른쪽으로는 513m봉과 북동릉도 함께 눈에 와닿는다.


일신3리 금동마을 입구(고래산 안내도)-(13분)→금동농장-(5분)→거문골 들목 철문-(10분)→합수점-(오른쪽 길로 4분)→임도 T자 삼거리-(왼쪽으로 약 100m)→동릉 절개지 하단부(정상 1km→푯말)-(오른쪽 동릉으로 23분)→385m봉-(25분)→정상.


고래산 정상에서는 북서로 대평저수지를 가둔 대평리 분지가 추읍산과 함께 조망된다. 추읍산 오른쪽으로는 용문산이 보인다. 북동으로는 노기산 비룡산 삼각산이 멀리 한강기맥을 이루는 성지봉 갈기산과 함께 눈에 와닿는다. 동으로는 소군산, 남동으로는 섬강 건너 치악산이 하늘금을 이룬다. 치악산 오른쪽으로는 명봉산 뒤로 백운산 십자봉, 미륵산 줄기가 넘실거린다. 남서로는 남한강 건너 이천 방면 원적산과 천덕봉, 서쪽으로는 앵자봉과 양자산 정상이 조망된다.

 

고달사지


사기에 고달사(高達寺)는 신라 경덕왕 23년(764)에 창건되었다 전한다. 이 절은 고려 초기에 국가가 관장하는 3대 선원 가운데 하나로 왕실의 보호를 받는 중요한 사찰이었다. 이후 975년에 세워진 원종대사 비문에 의하면 당시에는 고달원(高達院) 또는 고달선원(高達禪院)으로 불렸다고 한다. 1530년에 간행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고달사가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 초기까지는 번창했으나, 1799년에 편찬된 범우고(梵宇攷)에는 폐사된 것으로 나타난다.


▲ 고달사지 상단부에 위치한 원종대사 혜진탑비 귀부 및 이수(보물 제6호).

기록으로 확실한 것은 조당집(祖堂集)(제17권)이 처음이다. 조당집에 의하면 대개 830년 말에 혜목산 화상(和尙)이라 일컬어졌던 현욱(玄昱) 스님이 혜목산에 와서 고달사를 짓고, 거기 경문왕이 스님을 머무르게 했다고 나오고 있다.

고달사 창건주인 현욱 스님(신라 원성왕 3년~경문왕 8년·787~868)은 국사로서, 불교사상 한국 최초의 선종 출신으로 그 선종을 지방호족세력과 연결시킨 고승이다. 그의 법맥은 제자 진경(眞鏡)대사 심희(審希)를 거쳐 마침내 그 아래 혜진탑의 주인인 원종대사 찬유(璨幽)에 와서 완성되었다.

원종대사 찬유(신라 경문왕 9년~고려 광종 9년·869~956)는 속성이 김씨, 경남 하동 출신으로 경북 상주 공산의 삼랑사(三郞寺)에서 공부하다가 당나라 유학에서 돌아와 여기 고달사에서 입적할 때 나이 90세. 그 때 광종이 원종이라 시호(諡號)하고 또 탑호를 혜진이라 내렸다고 전한다.

고달사지는 사적 제382호이다. 고달사지 경내에는 하단부터 상단부 방향으로 쌍사자석등(보물 제282호·1959년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이전), 고달사지 석조대좌(보물 제8호), 원종대사 혜진탑비 귀부 및 이수(보물 제6호), 원종대사 혜진탑(보물 제7호), 고달사지부도(국보 제4호) 등이 차례로 시야에 들어온다. 출입구 오른쪽 현 고달사로 들어서는 길 오른쪽 산사면 쪽으로는 원종대사 혜진탑(元宗大師慧眞塔·보물 제7호), 고달사지 부도 등이 자리하고 있다.

1988년부터 시작한 발굴조사는 현재 6차까지 완료되었으며, 향후 7~9차 발굴조사를 더 진행한 후에 정비사업을 진행할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교통·숙식


●서울→양평역·원덕역·용문역  용산역 발 평일 1일 40회(05:13~23:15), 공휴일 39회(05:55~22:30) 운행하는 용문행 중앙선 수도권 전철 이용. 이 전철은 용산역(국철 및 1호선 전철 환승)~이촌역(4호선 환승)~옥수역(3호선 환승)~왕십리역(2호선, 5호선 환승)~청량리역(국철 환승)~회기역(1호선 환승)~신상봉역(7호선 및 경춘선 전철 환승) 등에서 갈아탈 수 있다.

●용문역→용산역  평일 1일 40회(05:18~23:20〔청량리역 종착〕), 공휴일 39회(05:20~22:29) 운행.

●양평→원덕리·삼성리·용문   15~25분 간격(06:30~21:00·1일 26회)으로 운행. 요금 1,100원.

●양평→화전리  1일 4회(07:50〔삼성~화전〕, 10:30〔삼성~화전〕, 15:10〔화전~삼성〕, 17:20〔화전~삼성〕) 운행.

●양평→주읍리  개군 경유 1일 2회(12:30, 18:20) 운행. 40분 안팎 소요. 요금 1,200원.

●주읍리→양평  개군 경유 1일 2회(13:10, 19:00) 운행.

●양평→내리  개군 경유 1일 3회(06:30, 11:10, 19:10) 운행. 25~30분 소요. 요금 1,200원.

●내리→양평  개군 경유 1일 3회(07:30, 11:35, 19:40) 운행. 버스 노선 안내 031-772-2342(금강고속 양평사무소).

시내버스편이 불편한 주읍리 및 내리 방면으로 하산했을 경우 택시를 불러 양평으로 나오면 된다. 택시요금 양평역까지 주읍리에서 1만5,000원 안팎, 내리에서 1만3,000원 안팎. 개군택시 031-774-1800.


◎ 고래산

●여주→주암리(고달사지)·일신리·무왕리  1일 21회(06:00~20:50) 운행. 이 버스는 주암에서 대부분 양동으로 나간다. 주암리에서 고달사지 입구 상교리까지 도보 35분 소요. 이 버스편 중 1일 2회(15:00, 18:40)만 상교리(고달사지 입구)로 운행하므로 이용하기 쉽지 않다. 이 버스편 중 주암리에서 동쪽 양동으로 가지 않고, 북쪽 용문으로 1일 5회(여주발 시간 06:40, 10:30, 12:30, 15:30, 17:40) 운행한다. 이 버스편이 일신리~무왕리를 경유한다. 요금 1,500원.

●주암리→여주  1일 22회(06:45~21:10) 운행.

●여주→곡수 삼거리  1일 8회(07:15, 07:30, 09:00〔대평리 착 09:40〕, 10:50, 12:00, 13:30, 15:10, 16:40) 운행. 요금 2,000원. 40분 소요. 이 버스는 곡수에서 지평~용문 경유 양평으로 운행.

●곡수 삼거리→여주  1일 8회(09:00, 10:30, 11:50, 13:10, 15:10, 16:10, 17:22, 19:10) 운행. 이 시각은 양평 터미널을 출발한 버스가 곡수 삼거리에 도착하는 시간이다. 양평발 시각에서 50분 후 시간이다.

●양평~곡수 삼거리  용문~지평 경유 여주행  1일 8회(08:10, 09:40, 11:00, 12:20〔대평리 착 13:20〕, 14:20, 15:20, 16:40, 18:20) 운행. 요금 1,800원. 50분 소요.

●용문→곡수 삼거리  1일 8회(08:35, 10:05, 11:20, 12:40〔대평리 착 13:20〕, 14:40, 15:40, 17:00, 18:40〔수곡리 감 여주 안감〕)

●곡수 삼거리→양평  지평~용문 경유 1일 9회(07:55, 08:10, 09:40, 11:30, 12:40, 14:10, 15:40, 17:20, 18:30) 운행. 금강고속 시내버스 안내 031-772-2342.

●용문→무왕리·일신리  1일 6회(07:50~19:00) 운행. 요금 1,300원. 50분 소요.


◎ 택시편

무왕리 일신리 방면은 택시를 이용해도 된다. 택시요금 용문~일신리 1만7,000원. 용문택시부 031-4608, 771-1848, 개인택시 010-2034-7590, 지평택시 031-774-8582.


◎ 열차편

●청량리역→구둔역 1일 3회(07:00〔구둔 착 07:56〕, 12:00〔12:52〕, 19:00〔19:54〕) 운행. 요금 4,500원(주말 4,700원). 구둔역→일신리 도보 20분 소요. 

●구둔역→청량리역 1일 4회(06:40〔청량리 착 07:38〕, 08:18〔09:17〕, 12:23〔13:14〕, 18:13〔19:08〕) 운행.



식사(지역번호 031)


원덕역 방면 금강슈퍼(774-6371), 원덕구판장(773-2390), 두레마을 입구 하우스먹거리집(774-1650), 원덕역 동쪽 반딧불이농원(010-8967-1174) 등 이용.

용문역 방면 용문파출소에서 시내버스터미널 방면 도로 왼쪽에 위치한 정육점을 겸한 제일식당(773-3204)에서 파는 생등심, 특수부위, 생삼겹, 갈비탕, 두루치기 등이 인기 있다. 용문 기점 등산 후 귀경길에 이 식당에서 해단식하는 산꾼들이 많다.
용문 시내버스터미널 건물 1층 매표소 옆에 자리한 진향기사식당(773-0162)을 이용해도 괜찮다. 이 식당은 이곳을 경유하는 버스기사들이 많이 찾는다.  

주읍리 방면 칠보산장(차와 식사·민박·771-6537) 이용.

주암리 방면 삼거리식당(882-0157), 만리향(882-8210) 등 이용.

곡수리 방면 곡수 삼거리 남서쪽 곡수리 일원에 미사랑설렁탕(772-1667), 풍만가든(772-6392), 곡수소라집(772-9679) 등이 있다.

곡수 삼거리 북쪽 지평 방면 옥현리 70번 국지도 변에 보배특돼지갈비(772-7743), 행랑채(774-1770), 삼태기마당(772-2583), 암소한우한마리(774-2196) 등 식당들은 주차시설들이 있어 자가용 이용 시 찾을 만한 곳들이다.

대평리 방면 대평저수지 옆에 위치한 녹수청산(771-7640)에서는 아침식사가 된다. 예전부터 이 부근 골프장 이용객들과 낚시꾼들 단골식당이다. 이 식당에서 황태해장국, 아욱국, 청국장, 황태찜, 삼겹살, 손두부, 두부전골 등을 판다.



/ 글·사진 박영래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