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행·도보여행정보☞/♡ 산행·여행 지도 & 정보

[저명산ㆍ설봉산 등산지도] 저명산ㆍ설봉산 등산코스 도드람산(저명산)ㆍ설봉산 산행지도

by 맥가이버 Macgyver 2013. 6. 5.

[저명산ㆍ설봉산 등산지도] 저명산ㆍ설봉산 등산코스 도드람산(저명산)ㆍ설봉산 산행지도 [저명산ㆍ설봉산 등산지도] 저명산ㆍ설봉산 등산코스 도드람산(저명산)ㆍ설봉산 산행지도[저명산ㆍ설봉산 등산지도] 저명산ㆍ설봉산 등산코스 도드람산(저명산)ㆍ설봉산 산행지도

[이천 저명산ㆍ설봉산 지도] 저명산ㆍ설봉산 등산코스 도드람산(저명산)ㆍ설봉산 산행지도 도드람산(저명산)ㆍ설봉산 산행지도 모음

 

 

▼ 아래 '저명산ㆍ설봉산 등산지도, 저명산ㆍ설봉산 등산코스, 도드람산(저명산)ㆍ설봉산 산행지도'를 클릭하면 확대됨.

 

도드람산(저명산)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목리에 있는 산.
 

높이 349m. 높이도 낮고 길이도 짧지만 전체가 암릉이라 '바위맛'만은 수도권서 손꼽는 산이다.
바위맛이란 손발과 온몸으로 바위뿌장귀 등을 잡고 가는 등산의 참맛을 뜻하는 동호인들의 은어다.
서울에서 가깝고 산정의 능선이 바위라 트레킹하는 묘미가 있다.

 

표교리 정류소와 관고저수지 남쪽의 고개를 넘어 주막거리에서 가는 두 길이 있다.
영보사 뒤쪽부터 곧장 손발을 모두 써야 하는 바윗길이며 능선 양쪽이 벼랑이라 스릴이 있다.
제1봉에 오르면 중부고속도로 건너편 설봉산(雪峰山:394m)과 푸른 들판이 내려다보인다.

제3봉 안부의 내리막 바윗길은 바위를 안고 쉽게 통과할 수 있다.
제4봉에서 돼지굴(여우목)로 가려면 15m의 절벽을 내려가야 한다.
밧줄이 있지만 이끼 낀 바위가 미끄럽고 절벽길이 끝났다고 안심하면 안 된다.
집채 바위에 한 사람이 빠져나갈 만큼 비좁은 '돼지굴'이 있으며 능선 왼쪽의 오솔길로 돌 수도 있다.
미끄러운 계곡길을 두고 온 길을 되짚어 내려가는 편이 낫다.

 

한자명은 돋 저[돼지:猪], 울 명(鳴)의 저명산이다.
지금은 멧돼지가 없지만 도로 등이 산맥을 끊기 전에는 남으로 설봉산,
북으로 양각산 해룡산 태화산까지 이어져 멧돼지가 살았다 한다.
또 '돋을 암(岩)' 즉 바위가 도드라졌다는 뜻의 이름이 생겼다는 설도 있다.

 

옛날 한 고승(효자라고도 함)이 절벽에 매달려 석이를 뜯다가
멧돼지 울음소리를 듣고 이상히 여겨 절벽에 올라가 보니
몸을 매단 밧줄이 바위 모서리에 닳아 거의 끊어져 가고 있었다.
산신령이 멧돼지를 시켜 효심이 뛰어난 효자의 목숨을 구해줬다는 얘기를
효자가 아닌 고승의 이야기로 전해내려 오기도 한다.

 

이천은 나트륨 온천도 유명한데 원탕은 현재의 미란다호텔 자리다.
물기를 안 닦고 말리면 피부가 매끄러우며 노천온천에는 140m의 물미끄럼틀 '아큐브슬라이더'도 있다.
민속도자기촌에서 나무를 때는 전통가마도 볼 수 있고
서울 인사동보다 30%쯤 싼값에 도기 등을 구입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도드람산 (두산백과)

 

 

▼ 아래 '저명산ㆍ설봉산 등산지도, 저명산ㆍ설봉산 등산코스, 도드람산(저명산)ㆍ설봉산 산행지도'를 클릭하면 확대됨.

 

 

저명산[猪鳴山도드람산:347m,Jeomyeongsan]

 

경기도 이천시의 설봉산 남서쪽 마장면에 위치산 산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저명산은 부 서쪽 15리에 있다."고 하여 관련 기록이 처음 등장한다.
또 불우 항목에는 저명산에 정악사(定岳寺)라는 사찰이 있음을 기록해 주고 있는데,
현재 산의 남쪽 기슭에는 영보사(永保寺)가 있다.


지명유래와 관련해 전해지는 이야기로 "옛날 근처 마을에 병든 홀어머니를 모시는 효자가 살고 있었는데,
이 산 절벽에만 나는 약초를 뜯어다가 쓰면 신효할 것이라 하여
밧줄에 몸을 묶고 깎아지는 절벽에 내려가 약초를 뜯고 있었다.
그 때 어디선가 산돼지 울음소리가 들려 이상하게 여겨 절벽을 올라가보니
산돼지는 온데간데없고 효자의 몸을 매달았던 밧줄이 바위모서리에 긁혀 끊어질 지경이 되었음을 보고
비로소 하늘이 돼지 울음소리로 효자를 살려냈다."하여
돼지저(猪)자에 울음명(鳴)자를 붙여 저명산이라 했다는 전설이다.


효자 대신 고승이 이야기 주인공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또 산의 능선 전체가 바위로 이루어져 있어 바위가 도드라져 있다는 의미에서 그렇게 불렸다고도 한다.


 출처 : 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 2008.12, 국토지리정보원
 

 

▼ 아래 '저명산ㆍ설봉산 등산지도, 저명산ㆍ설봉산 등산코스, 도드람산(저명산)ㆍ설봉산 산행지도'를 클릭하면 확대됨.

 

설봉산[雪峯山]
경기도 이천시 관고동(官庫洞)에 있는 산.
 

높이는 394.3m이다.

이천시를 수호하는 진산(鎭山)으로서 이천 시가지를 둘러싸고 있으며,

부악산·무학산·부학산이라고도 부른다.
험준하지는 않으나 산세가 오밀조밀하여 운치가 있고,

주봉(主峰) 부근에는 혼합림이 울창하게 들어서 있으며, 기암괴석이 많다.
특히 봄에 흐드러지게 피어나는 진달래 군락은 전국에 널리 알려져 있어 많은 관광객이 모여든다.

 

주위에 높은 산이 없으므로 정상에 서면 중부고속도로 너머로 도드람산(349m)과 야산들이 잘 내려다보인다.
주봉에서 동쪽으로 약 1.5㎞ 떨어진 지점에는 칼 모양의 날카롭고 거대한 칼바위가 있고,
신라 때 의상(義湘)이 창건한 영월암(향토유적 14) 동쪽에는 고깔을 쓴 중이 바라를 진 모습의 큼직한 고깔바위가 있다.

삼국시대에 이 일대가 전략 요충지였던 탓에 산성터가 여러 군데 있다.

칼바위를 중심으로 한 3만여 평의 고원지대에 포곡식(包谷式) 산성인 이천 설봉산성(사적 423)이 있고,
신라시대 성터로 여겨지는 곳에 남천정(南川停) 터와 봉화대 터가 있다.

그 밖에 고려 때 건립된 영월암 대웅전 뒤쪽의 커다란 자연 암석을 다듬어

바위면 전체에 조각한 영월암 마애여래입상(보물 822),

설봉서원지(雪峰書院址), 3층석탑 등 유물과 법왕정사라는 절이 있다.


산중턱에는 여름철 피서지와 소풍지로 유명한 폭포와 약수터가 있어 휴식처로 유명하며,

등산로도 잘 정비되어 있다.
봄철이면 영월암과 장승이마을을 잇는 고개에서 정상으로 이어지는 능선 양쪽 사면과

363봉에서 사기막골로 이어지는 능선의 북사면에는 진달래가 군락을 이룬다.

 

2003년에는 세계적 희귀종인 흰색 진달래 한 그루가 보고되어 학계의 관심을 모았다.

산행은 관고저수지를 기점으로 하여 현충탑·영월암·설봉산성을 거쳐 칼바위로 내려오는 코스가 있다.

산행 뒤에는 온천욕을 즐길 수 있고,

인근 장암리에서는 이천국제조각심포지엄에 참가했던 작가들의 작품을 전시해 놓은 설봉조각공원을 둘러볼 수도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설봉산 [雪峯山] (두산백과)

 

 

 

 

아래 '저명산ㆍ설봉산 등산코스도'를  '클릭' 하시면 

 

맥가이버가 2010년 12월 10일(토)에 다녀온 저명산ㆍ설봉산 연계산행' 사진후기를 볼 수 있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