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알고 싶어요☞1161

줄장지뱀, 줄장지도마뱀, Takydromus wolteri 줄장지뱀,  줄장지도마뱀, Takydromus wolteri 분류 : 척추동물 > 파충강 > 뱀목 > 장지뱀과 > 장지뱀속원산지 : 아시아 (중국,대한민국)먹이 : 거미크기 : 약 4cm무게 : 약 50g학명 : Takydromus wolteri식성 : 잡식 요약 장지뱀과 장지뱀속에 속하는 도마뱀. 중국과 한국이 원산지이다. 크기는 4cm 정도이고, 무게는 50g 정도이다. 식성은 잡식이고, 거미를 주 먹이로 삼는다. 꼬리가 무척 길어 몸길이의 약 2.5배에 달하는 것이 특징이다. 개요파충강 뱀목 장지뱀과 장지뱀속에 속하는 척추동물. 학명은 ‘Takydromus wolteri’이다. 몸길이는 약 4cm로 상당히 작지만 몸보다 꼬리가 약 두 배 이상 길다는 것이 특.. 2024. 4. 24.
금낭화 錦囊花, Bleeding heart, 며느리주머니, 등모란 / 꽃말 : 당신을 따르겠습니다 금낭화 錦囊花, Bleeding heart, 며느리주머니, 등모란 / 꽃말 : 당신을 따르겠습니다 분류 : 양귀비과 꽃색 :담홍색 꽃말 : 당신을 따르겠습니다 학명 : Dicentra spectabilis 개화기 : 5월~6월 꽃 중에 꽃 금낭화 처음에는 중국이 원산지로 여겨졌으나 한국의 천마산, 가평, 설악산, 전북 완주 등지의 중부지역 산지에서 자생하는 것이 확인되어 한국도 원산지임이 밝혀졌다. 강원도 일대에 여행을 하다보면 집집마다 화단에 심어 가꾸는 인기 있는 원예종이다. 보통 2년은 가꾸어야 예쁜 꽃을 볼 수 있다. 꽃, 씨앗, 열매 꽃은 5∼6월에 옅은 분홍색으로 피어난다. 줄기 끝에 차례로 피어나고 꽃모양은 볼록한 주머니 모양이다. 꽃잎은 4개가 모여서 심장모양으로 되고 바깥 꽃잎 2개는 밑.. 2024. 4. 23.
등나무(꽃) 참등, 자등 紫藤 / 꽃말 : 사랑에 취함, 환영 등나무(꽃) 참등, 자등 紫藤 / 꽃말 : 사랑에 취함, 환영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콩목 > 콩과 > 등속 원산지 : 아시아 (대한민국) 서식지 : 비옥한 계곡이나 산기슭 크기 : 약 10m 학명 ; Wisteria floribunda 꽃말 : 사랑에 취함, 환영 요약 콩과에 속하는 속씨식물. 한국이 원산지이고, 비옥한 계곡이나 산기슭이 서식한다. 크기는 10m 정도이다. 꽃은 늦봄에 연한 자주색으로 피며, 꽃말은 ‘사랑에 취함’이다. 열매는 초가을에 익는다. 가지는 밤색이며, 잎은 어긋나게 자라나 마치 날개처럼 보인다. 이전에는 섬유나 종이 등을 만드는 데 쓰였지만 현재는 거의 쓰지 않고, 주로 집안의 마당이나 공원에 조경수로 심는다. 개요 쌍떡잎식물강 콩목 콩과 등속에 속하는 속씨식물.. 2024. 4. 23.
꿩고비, Cinnamon fern 꿩고비, Cinnamon fern 분류 고사리목 > 고비과 > 고비속 학명 Osmunda cinnamomea var. forkiensis Copel. 분포지역 한국·사할린·일본·타이완·중국·아무르·우수리·쿠릴열도 분포한다. 형태 여러해살이풀이다. 잎 잎은 곧추서지만 끝에서는 약간 뒤로 젖혀지는 듯하다. 영양잎과 생식잎 두 가지가 있다. 어릴 때는 적갈색 면모로 덮이나 나중에는 없어지며, 특히 포자낭이 달린 깃조각의 면모에 흑색 털이 섞여 있어 기본종과 구별된다. 영양잎은 길이 30-80cm, 너비 10-25cm로 황록색이고 1회우상복엽이며 끝이 좁아져서 예첨두로 되고 밑부분이 약간 좁아진다. 우편은 퍼지고 대가 없으며 길이 5-17cm, 나비 1.5-3cm 정도로 끝이 뾰족하고 열편은 밋밋하며 원두 이고.. 2024. 4. 23.
돌단풍(꽃), 돌나리, 바우나리 / 꽃말 : 생명력, 희망 돌단풍(꽃), 돌나리, 바우나리 / 꽃말 : 생명력, 희망 분류 : 장미목 > 범의귀과 > 돌단풍속꽃색 : 백색, 붉은색꽃말 : 생명력, 희망학명 : Mukdenia rossii (Oliv.) Koidz.개화기 : 5월 분포지역충청도 이북지역에서 자란다. 형태여러해살이풀 크기꽃대의 높이는 30cm정도로 자란다. 잎잎은 근경의 끝이나 그 근방에서 1-2개씩 비늘잎(苞鱗)에 싸여 나오지만 여러개가 한 곳에서 나온 것처럼 보이며 길이 20cm정도로서 긴 엽병끝에 5-7개로 갈라진 손모양겹잎이 달리고 열편은 달걀모양 또는 긴 달걀모양이며 예첨두로서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털이 없으며 표면은 윤채가 있다. 잎은 황록색 또는 연록색으로 신선한 감을 주며, 가을에 단풍이 .. 2024. 4. 22.
오동나무(꽃) / 꽃말 : 고상함 오동나무(꽃) / 꽃말 : 고상함 분류 : 통화식물목 > 현삼과 > 오동나무속 꽃색 : 자주색 꽃말 : 고상함 학명 : Paulownia coreana Uyeki 개화기 : 5월, 6월 분포지역 중부 이남의 따뜻한 곳에 자생한다. 형태 낙엽활엽교목, 수형 : 원형 크기 높이 15-20m, 직경 80㎝까지 자란다. 잎 잎은 마주나기하며 난상 원형 또는 아원형이지만 흔히 오각형으로 되고 첨두 심장저이다. 길이 15~23cm, 폭은 12~29cm로서 표면에 털이 거의 없고 뒷면에 갈색 성모가 있다.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나 맹아에는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9-21cm로서 잔털이 있다. 꽃 꽃은 5-6월에 피며 가지 끝의 원뿔모양꽃차례에 달리고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긴 달걀모양이고 첨두이며 서기도 .. 2024. 4. 20.
병아리꽃나무, 대대추나무 / 꽃말 : 의지, 왕성 병아리꽃나무, 대대추나무 / 꽃말 : 의지, 왕성 분류 : 장미목 > 장미과 > 병아리꽃나무속 꽃색 : 백색 꽃말 : 의지, 왕성 학명 : Rhodotypos scandens (Thunb.) Makino 개화기 : 5월, 4월 분포지역 중국, 일본; 황해도, 경기도 및 전라남북도 해안에 분포. 형태 낙엽 활엽 관목. 크기 높이 2m. 잎 잎은 마주나기하며, 긴 달걀형으로, 길이와 폭이 각 4 ~ 8cm× 2 ~ 4cm이고, 점첨두 원저이며, 뾰족한 겹톱니가 있다. 표면은 주름이 많고 뒷면은 견모(絹毛)가 있다. 잎자루 길이는 3 ~ 5mm이고, 턱잎은 가늘며 일찍 떨어진다. 꽃 꽃은 4 ~ 5월에 피고, 지름이 3 ~ 5㎝로, 소담한 백색의 꽃이, 새가지 끝에서 하나씩 피고 꽃받침은 편평하다. 꽃잎은 4.. 2024. 4. 19.
사람주나무(꽃) / 꽃말 : 겸손 사람주나무(꽃) / 꽃말 : 겸손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쥐손이풀목 > 대극과원산지 : 아시아 (대한민국,일본,중국) 꽃말 : 겸손  서식지 : 숲속크기 : 약 6m학명 : Sapium japonicum (Siebold & Zucc.) Pax & Hoffm. 요약 대극과에 속하는 낙엽 소교목. 한국과 일본, 중국이 원산지이며, 숲 속에 서식한다. 크기는 약 6m이다. 개요쌍떡잎식물강 쥐손이풀목 대극과에 속하는 속씨식물. 학명은 ‘Sapium japonicum (Siebold & Zucc.) Pax & Hoffm.'이다. 사람주나무라는 이름은 낙엽에 물이 든 색깔이 사람의 홍조와 비슷하다고 하여 ‘붉을 주(朱)’자를 써서 붙여진 것이다. 형태키는 6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가장자리는.. 2024. 4. 19.
팥꽃나무(꽃), 조기꽃나무 / 꽃말 : 달콤한 사랑 팥꽃나무(꽃), 조기꽃나무 / 꽃말 : 달콤한 사랑 분류 : 팥꽃나무목 > 팥꽃나무과 > 팥꽃나무속 꽃색 : 자주색, 주황색 꽃말 : 달콤한 사랑 학명 : Daphne genkwa Siebold & Zucc. 개화기 : 5월, 4월, 3월 분포지역 평안남도, 황해도에서 전라남도에 이르는 바닷가 근처. 형태 낙엽 활엽 관목. 크기 높이 1m. 잎 잎은 마주나기하거나 간혹 어긋나기하며 피침형이고 예두, 예형이며 길이가 2 ~ 6cm로, 톱니가 없으며 뒷면 맥 위에 융털이 있고, 잎자루 길이는 4mm이다. 꽃 꽃은 3 ~ 5월에 개화하며 연한 보랏빛의 붉은색으로 잎보다 먼저 전년지 끝에서 3 ~ 7개씩 산형으로 달리며, 열편은 4개로 타원형, 달걀형의 원형이고 넓은 거꿀달걀형이며 무딘형으로 길이와 폭이 각 4.. 2024. 4. 19.
배나무(꽃), Pear tree / 꽃말 : 환상 배나무(꽃), Pear tree / 꽃말 : 환상 분류 : 장미목 > 장미과 > 배나무속 꽃색 : 백색 꽃말 : 환상 학명 : Pyrus pyrifolia var. culta (Makino) Nakai 개화기 : 5월 분포지역 일본 원산, 전국 식재. 형태 낙엽 활엽 소교목. 크기 높이 5 ~ 10m. 잎 잎은 달걀상 원형이고, 긴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다. 길이와 폭은 각 7 ~ 12cm× 3.5 ~ 5cm이며, 가장자리는 침상의 톱니가 있다. 잎자루 길이는 3 ~ 7cm로, 털이 없으며, 가을에 황색으로 단풍이 진다. 꽃 꽃은 5월에 피며 백색이고 양성꽃이며,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꽃차례는 털이 없거나 면모가 있고 꽃은 지름 3cm정도이다. 꽃받침조각은 긴 점첨두이고 꽃잎은 난상 원형이며 암.. 2024. 4. 18.
탱자나무(꽃), 구귤나무 / 꽃말 : 추상, 추억 탱자나무(꽃), 구귤나무 / 꽃말 : 추상, 추억 분류 : 운향목 > 운향과 > 탱자나무속 꽃색 : 백색 꽃말 : 추상, 추억 학명 : Poncirus trifoliata (L.) Raf. 개화기 : 5월 분포지역 중국, 경기도 이남 식재. 형태 낙엽 활엽 관목. 크기 높이 3m. 잎 잎은 어긋나기하고 3출엽이며, 소엽은 두껍우며 거꿀달걀형, 타원형이고 무딘형 또는 작은 오목형이며 예형으로 길이는 3 ~ 6cm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잎자루의 길이는 25mm로 날개가 약간 있다. 꽃 꽃은 5월 ~ 6월에 피고 백색으로 가지 끝 또는 잎겨드랑이 1개 또는 2개씩 달리며,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각 5개가 떨어져 있고, 수술은 20개로 많으며 털은 없고 씨방은 8~10실로 나뉘고 밀모가 있다. 열매 .. 2024. 4. 18.
골담초 骨擔草, 금작화 金雀花, 금계아 金鷄兒, 선비화 禪扉花 꽃말 : 겸손, 청초 골담초 骨擔草, 금작화 金雀花, 금계아 金鷄兒, 선비화 禪扉花 꽃말 : 겸손, 청초 분류 : 장미목 > 콩과 > 골담초속 꽃색 : 노란색, 주황색 꽃말 : 겸손, 청초 학명 : Caragana sinica (Buc'hoz) Rehder 개화기 : 5월 분포지역 제주도 및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낙엽활엽관목 관화식물로 다간생장형, 수형:원형 또는 타원형. 크기 높이 2m. 잎 잎은 홀수깃모양겹잎으로 2쌍씩 붙어 있고 어긋나기한다. 엽축 끝은 대개 가시로 되고 소엽은 4개로서 거꿀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이며 두껍고 미요두 또는 원두이다. 길이 1~3cm로서 표면은 진록색이고 광택이 나며 뒷면은 회록색에 털이 없다. 탁엽은 길이가 4~8mm로 가시로 변한다. 꽃 꽃은 5월에 피고 단생하며 길이가 2.5~3m로서 .. 2024. 4. 15.
자주괴불주머니, 자주현호색, 자지괴불주머니, 자주뿔꽃 / 꽃말 : 보물주머니 자주괴불주머니, 자주현호색, 자지괴불주머니, 자주뿔꽃 / 꽃말 : 보물주머니 분류 : 현호색과 서식지 : 습기가 많은 양지나 반그늘 꽃색 : 홍자색 꽃말 : 보물주머니 크기 : 키는 약 20~50㎝ 정도 학명 : Corydalis incisa (Thunb.) Pers. 용도 : 관상용, 뿌리를 포함한 전초는 약용 분포지역 : 제주도와 전라도, 경기도, 함경북도 등지 생활사 : 두해살이풀 개화기 : 5월 결실기 : 6~7월경 자주색 꽃을 피우는 괴불주머니 괴불주머니는 옛날 어린이들이 허리춤에 차고 노는 노리개이다. 이것과 비슷한 꽃이 몇 종류 있는데, 괴불주머니라고 이름이 붙는다. 그러나 꽃을 보고 붙인 이름인지 잘록한 열매를 보고 붙인 이름인지는 정확하지 않다. 자주괴불주머니는 그중 꽃 색깔이 자주색인 .. 2024. 4. 15.
할미꽃, 백두옹, 白頭翁, 야장인, 野丈人, 백두공, 白頭公, 노고초, 老姑草, 노구초 / 꽃말 : 충성, 슬픈 추억 할미꽃, 백두옹, 白頭翁, 야장인, 野丈人, 백두공, 白頭公, 노고초, 老姑草, 노구초 / 꽃말 : 충성, 슬픈 추억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할미꽃속 꽃색 : 자주색, 붉은색, 검정색 학명 : Pulsatilla koreana (Yabe ex Nakai) Nakai Mori 개화기 : 4월 꽃말 : 충성, 슬픈 추억 분포지역 전국 각처의 산야에 분포한다.(제주도를 제외한 한반도 전역에 분포) 형태 여러해살이풀 크기 꽃대의 높이가 30-40cm정도이다. 잎 잎은 엽병이 길고 5장의 소엽으로 구성된 깃모양겹잎으로서 깊게 갈라지며 전체에 긴 백색털이 밀생하여 흰빛이 돌지만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털이 없다. 밑부분의 소엽은 길이 30-40mm로서 2-3개로 갈라지며 정열편은 폭 6-8mm로.. 2024. 4. 11.
민들레, 금잠초, 金簪草, 포공초, 안질뱅이, 포고영, 만지금, 滿地金, 도끼밥, 씬냉이, 미염둘레 / 꽃말 - 감사하는 마음 민들레, 금잠초, 金簪草, 포공초, 안질뱅이, 포고영, 만지금, 滿地金, 도끼밥, 씬냉이, 미염둘레 분류 : 초롱꽃목 > 국화과 > 민들레속 꽃색 : 노란색 학명 : Taraxacum platycarpum Dahlst. 개화기 : 4월, 5월 꽃말 : 감사하는 마음 분포지역 • 한국, 일본, 대만,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크기 높이가 30cm 정도 자란다. 잎 잎은 도피침상 선형이며 길이 6-15cm, 나비 1.2-5cm로서 무 잎처럼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6-8상으로서 털이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은 둥글게 배열되며 대개 땅에 누워서 자란다. 꽃 꽃은 4-5월에 피고 잎보다 다소 짧은 화경이 나와서 그 끝에 1개의 꽃이 달리며 백색 털로 덮여 있지.. 2024. 4. 11.
진달래, 두견화 杜鵑花, 참꽃, Korean rhododendron / 꽃말 : 절제, 청렴, 사랑의 즐거움 진달래, 두견화 杜鵑花, 참꽃, Korean rhododendron / 꽃말 : 절제, 청렴, 사랑의 즐거움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진달래목 > 진달래과 > 진달래속 원산지 : 아시아 서식지 : 산지 크기 : 약 2m ~ 3m 학명 :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var. mucronulatum 꽃말 : 절제, 청렴, 사랑의즐거움 용도 : 장식용, 양조용, 약용 등 요약 진달래과에 속하는 낙엽관목. 진달래는 한국에서 오래 전부터 개나리와 함께 봄을 알리는 대표적인 나무의 하나로 사랑받아 왔다. 봄에 한국의 산 어디에서나 꽃을 볼 수 있을 만큼 널리 퍼져 있다. 키는 2~3m 정도로 무리 지어 자란다. 분홍색의 꽃은 잎이 나오기 전인 4월부터 가지 끝에 2~5송.. 2024. 3. 28.
남산제비꽃 / 꽃말 : 성실, 교양, 품위 있는 가인, 나를 생각해 다오, 소박함, 순진무구한 사랑 남산제비꽃 / 꽃말 : 성실, 교양, 품위 있는 가인, 나를 생각해 다오, 소박함, 순진무구한 사랑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측막태좌목 > 제비꽃과 > 제비꽃속 원산지 : 아시아 (대한민국, 일본) 서식지 : 산지 크기 : 약 5cm ~ 20cm 학명 : Viola dissecta var. chaerophylloides 꽃말 : 성실, 교양, 품위 있는 가인, 나를 생각해 다오, 소박함, 순진무구한 사랑 요약 제비꽃과 제비꽃속의 다년생초. 대한민국과 일본이 원산지이고, 산지에 서식한다. 크기는 5~20cm 정도이다. 꽃은 봄에서 늦봄 사이에 하얀색으로 핀다. 꽃말은 ‘성실’, ‘교양’, ‘품위 있는 가인’, ‘나를 생각해 다오’, ‘소박함’, ‘순진무구한 사랑’이다. 개요 쌍떡잎식물강 측막태.. 2024. 3. 27.
부활절 復活節 Easter (날짜, 역사, 의식, 관습) 부활절 復活節 Easter (날짜, 역사, 의식, 관습) 날짜 춘분 뒤의 첫 만월 다음에 오는 일요일(2024년은 3월 31일) 요약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기념하는 절기. 부활절의 기원은 그리스도교가 시작된 시기까지 소급해 볼 수 있다. 초기에는 유대인들의 절기였던 유월절과 함께 기념되었기 때문에 라틴어와 그리스의 명칭은 유월절이라는 의미를 중의적으로 띠고 있다. 영어명 'Easter'의 기원은 게르만족의 신화에 나오는 에오스테라는 여신에서 비롯되었는데, 역시 독일의 봄철 절기에 맞추었던 것으로 보인다. 오늘날 부활절은 제1회 니케아 공의회에서 결정된 것으로 춘분 후 최초의 만월 다음에 오는 첫째 일요일이며, 보통 3월 22일부터 4월 26일 사이에 든다. 개요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기념하는 그리스도.. 2024. 3. 25.
히어리, 송광납판화, 조선납판화 / 꽃말 : 봄의 노래, 희망, 새로운 시작 히어리, 송광납판화, 조선납판화 / 꽃말 : 봄의 노래, 희망, 새로운 시작 분류 : 조록나무과 희어리속 원산지 : 한국 서식지 : 지리산을 중심으로 한 전라남도 산지 성격 : 식물, 나무 유형 : 동식물 꽃말 : 봄의 노래, 희망, 새로운 시작 크기 : 2∼4m 학명 : Corylopsis coreana Uyeki 분야 : 과학/식물 개화기 : 3∼4월 요약 조록나무과 히어리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 내용 희어리는 지리산을 중심으로 한 전라남도 지역의 산지에 집중 분포하고 있다. 중부 지방에서도 가끔 발견된다. 개나리, 산수유 등과 함께 봄을 가장 먼저 알리는 나무로도 유명하다. 학명은 Corylopsis coreana Uyeki이다. 잎은 원형에 가까운 하트 모양이다. 잎맥이 뚜렷하고 가장자리에 .. 2024. 3. 22.
청서 (靑鼠), 청설모, 날다람쥐, 조선다람쥐 청서 (靑鼠), 청설모, 날다람쥐, 조선다람쥐 분류 : 척추동물 > 포유강 > 쥐목 > 다람쥐과 > 청서속 원산지 : 아시아 (일본,대한민국) 먹이 : 상수리나무, 가문비나무, 잣나무 등의 열매, 나뭇잎, 나무껍질 크기 : 약 21cm ~ 25cm 식성 : 잡식 천적 : 담비, 여우 임신기간 : 약 35~40일 멸종위기등급 : 낮은위기 요약 쥐목 다람쥐과의 포유동물. 유라시아의 삼림·공원 등에 서식한다. 날카로운 발톱으로 미끄러운 줄기도 잘 기어오르며, 가느다란 가지 위에서도 균형을 잘 잡을 수 있는 등 나무 위에서 살기에 알맞은 몸을 가지고 있다. 개체들 사이에 색깔의 변이를 보여 적갈색·갈색·검은색 개체들이 나타난다. 초식성인데 먹이는 계절에 따라 변한다. 가을에는 과일이나 열매를 먹지만 겨울에는 소.. 2024. 3. 22.
청서 靑鼠 청설모 청서 靑鼠 청설모 분류 :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data), 포유강(Mammalia), 쥐목(Rodentia), 다람쥐과(Sciuridae) 서식지 : 전국 성격 : 동물, 포유류 유형 ; 동식물 크기 : 몸길이 20∼25㎝, 꼬리길이 16∼20㎝ 학명 : Sciurus vulgaris Linnaeus 요약 쥐목 다람쥐과의 포유류. 개설 청설모는 전 세계적으로 190종 및 아종이 알려져 있으며 유럽과 동북아시아에 넓게 분포한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종은 제주도 및 도서지방을 제외한 전국에 분포한다. 청설모라고도 부르는데 이는 청서의 털을 가리키는 이름이다. 예로부터 한방에서는 약재로 쓰였으며, 털은 붓을 만드는데 쓰이기도 했다. 2010년에 유해동물로 지정되었다. 내용 청서는 등에 .. 2024. 3. 22.
개나리, golden-bell tree, 연교, 連翹, 황춘단, 황화수, 황금조, 신이화, 어리자, 어아리, 어사리, 개나리나무 / 꽃말 : 희망 개나리, golden-bell tree, 연교, 連翹, 황춘단, 황화수, 황금조, 신이화, 어리자, 어아리, 어사리, 개나리나무 / 꽃말 : 희망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용담목 > 물푸레나무과 > 개나리속 원산지 : 아시아 (대한민국) 서식지 : 양지바른 산기슭 크기 : 약 3m 학명 :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꽃말 : 희망 요약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 한국 거의 모든 곳에서 자란다. 키는 3m 정도이며 많은 줄기가 모여난다. 줄기는 초록색이나 자라면서 회색빛이 도는 흙색이 되며 끝이 점점 아래로 휘어진다. 잎은 타원형으로 마주 나고 잎 가장자리는 톱니처럼 생겼다. 노란색 꽃은 통꽃이나 꽃부리의 끝이 4갈래로 갈라졌다. 개화 시기는 3월 말~.. 2024. 3. 19.
계곡산개구리 Huanren brown frog 계곡산개구리 Huanren brown frog 분류 : 양서류 > 개구리목 > 산개구리과 서식지 : 산림 및 산골짜기의 시냇물 먹이 : 곤충, 거미와 같은 절지동물과 지렁이 등 크기 : 몸길이 45~65mm 학명 : Rana huanrensis 분포지역 : 중국 동북부, 우리나라 전국의 내륙 산지 특히 백두 대간, 지리산 국립공원 번식 : 2월~4월, 겨울잠 11월~1월 형태 '산개구리'에 비해 몸빛이 검은 갈색으로 다소 어두운 편이고, 수컷은 배 부분이 노란색을 띠며 잔 점무늬가 많다. '산개구리'에 비해 몸길이가 평균 1~2cm 정도 작으며, 몸통에 비해 머리가 크고 머리 앞쪽이 둥그렇다. 뒷다리 물갈퀴는 '산개구리'보다 잘 발달되었다. 생태 계곡의 여울과 같은 물 흐름이 느린 곳에 알을 낳는 대표적.. 2024. 3. 18.
큰개불알풀, Bird's eye, 봄까치꽃, 큰지금, 왕지금꼬리풀, 왕지금, 봄가리꽃, 땅비단 / 꽃말 : 기쁜소식 큰개불알풀, Bird's eye, 봄까치꽃, 큰지금, 왕지금꼬리풀, 왕지금, 봄가리꽃, 땅비단 / 꽃말 : 기쁜소식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현삼목 > 현삼과 > 개불알풀속 서식지 : 경작지 주변, 들판 학명 : Veronica persica Poir. 꽃말 : 기쁜소식 국내분포 : 남부지방 해외분포 : 유럽 개요 유럽 원산으로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난다. 줄기는 가지가 갈라져서 아래쪽이 비스듬히 자라며, 높이 10-40cm이다. 잎은 아래쪽에서는 마주나지만 위쪽에서는 어긋나며, 난상 원형으로 길이 7-18mm, 폭 6-15mm이고, 가장자리에 끝이 둔한 톱니가 3-5개씩 있다. 잎 양면은 털이 드문드문 난다.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달리며, 하늘색.. 2024. 3. 13.
민물가마우지, Great Cormorant, 자연이 선택한 낚시꾼 민물가마우지, Great Cormorant, 자연이 선택한 낚시꾼 분류 : 사다새목>가마우지과 서식지 : 해안, 하구, 호수 먹이 : 어류 크기 : 약 82cm 학명 : Phalacrocorax carbo 특징 • 2m 이상의 수심까지 잠수하여 물고기를 잡아먹으며, 가마우지 등과 함께 번식한다. • 번식기에는 머리에 가느다란 흰색의 깃이 나오며 옆구리에 흰색의 깃털이 있다. • 날 때 날개의 위치가 몸 중앙에 있어 멀리서는 기러기처럼 보이기도 한다. • 먹이를 구하는 곳과 휴식하는 곳의 이동시 기러기처럼 일정한 대형을 유지하며, 무리지어 날아다닌다. • 연해주, 사할린에서 일본의 규슈 북부까지 국지적으로 번식한다. 번식정보 • 나무에 무리지어 번식한다. • 둥지는 암초나 죽은 나뭇가지를 이용하여 접시모양.. 2024. 3. 13.
노루귀, hepatica, 장이세신(獐耳細辛), 설할초(雪割草), 파설초(破雪草) / 꽃말 : 인내 노루귀, hepatica, 장이세신(獐耳細辛), 설할초(雪割草), 파설초(破雪草) / 꽃말 : 인내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노루귀속 서식지 : 산의 숲 아래 학명 : Hepatica asiatica Nakai 꽃말 : 인내 국내분포 :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해외분포 : 중국, 러시아 우수리 지역 개요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숲 속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중국, 러시아 우수리 지역에도 자란다. 식물체는 높이 8-20cm, 전체에 희고 긴 털이 많이 난다. 잎은 뿌리에서 나며 3-6장이다. 잎몸은 3갈래로 갈라진 삼각형이며, 밑은 심장형, 끝은 둔하다. 잎 앞면에 보통 얼룩무늬가 없지만 있는 경우도 있다. 꽃은 3-5월에 잎보다 먼저 피는데, 뿌리에서 난 1-6.. 2024. 3. 12.
물닭 Common(Eurasian) Coot / 물에 살면서 닭과 유사하게 생긴 새 물닭 Common(Eurasian) Coot / 물에 살면서 닭과 유사하게 생긴 새 분류 : 두루미목>뜸부기과 서식지 : 호소, 강, 하구 등 습지 먹이 : 잡식성(수초, 무척추동물, 어류 등) 크기 : 약 40cm 학명 : Fulica atra 수명 : 약 5~10년 특징 • 우리나라 강이나 호수, 저수지에서 흔히 관찰된다. • 전체적으로 몸이 통통하며 깃털 색은 검은색이다. • 물갈퀴와 유사한 판족과 날카로운 발톱을 가지고 있어 수영과 잠수에 능하며, 위험할 경우 수면을 박차며 물위를 뛰면서 날아간다. • 겨울에는 많은 수가 오리류 등과 무리를 지어 월동한다. 번식정보 • 저수지나 하천 등 습지 주변의 풀숲에서 5월에서 7월 사이에 번식을 시작한다. • 둥지는 수면과 약간의 경사도가 있도록 입구를 만.. 2024. 2. 28.
쇠백로 little egret 쇠백로 little egret 분류 : 척추동물 > 조강 > 황새목 > 백로과 원산지 : 아시아 (대만,대한민국,인도,중국,미얀마,일본),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유럽 서식지 : 논, 하천, 간척지, 늪 먹이 : 새우, 개구리, 가재, 뱀 크기 : 약 58cm ~ 61cm 무게 : 약 450g ~ 550g 학명 : Egretta garzetta 식성 : 잡식 임신기간 : 약 23일 멸종위기등급 : 낮은위기 요약 황새목 백로과에 속하는 작은 백로. 온몸이 흰색이고 부리는 검고 길다. 다리도 검지만 발가락은 노란색이다. 여름깃은 뒷머리에 두 개의 긴 관우가 있으며 등 끝에는 위로 약간 감긴 장식깃이 나 있다. 대만과 한국, 인도 등이 원산지이고, 논과 하천, 간척지에 서식한다. 식성은 잡식이며, 새우와 .. 2024. 2. 24.
[등산 사전] 산속의 거대한 돌강, 너덜을 소개합니다 [등산 사전] 산속의 거대한 돌강, 너덜을 소개합니다 (11) 너덜 “이번 산행은 설악산 귀떼기청 너덜로 가기로 했어. 다치지 않도록 조심해!” “응? 너덜이 뭐야? 그렇게나 위험해?” 산에 다니다보면 한 번씩은 지나게 되는 너덜. 너덜은 너덜겅의 준말로 많은 돌들이 깔려 있는 산비탈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너덜은 동결과 융해가 풍화작용으로 반복되면서 형성된다. 너덜과 비슷한 단어로는 애추崖錐, 돌서렁, 스토니 슬로프Stony Slope, 테일러스Talus, 스크리Scree가 있다. 이 중 테일러스는 넓은 지역에 깔려 있는 돌무더기, 스크리는 좁은 지역에 쌓여 있는 돌무더기를 뜻하는데, 엄격하게 구분할 필요는 없다. 우리나라에서는 테일러스보다는 스크리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많이 쓰인다. 우리나라 산지에서는.. 2024. 2. 22.
[등산왕] 백두대간 상식 7가지 [등산왕] 백두대간 상식 7가지 1 한반도의 가장 큰 산줄기 백두대간白頭大幹은 백두산에서 시작되어 지리산까지 이어지는 한반도의 가장 크고 긴 산줄기. 남한 구간 687km, 북한 구간 955km이며 총 거리 1,642km이다. 항간에 1,400km라는 설이 있으나 이는 잘못된 내용이다. 2 태백산맥과 백두대간은 같다? 다르다. 태백산맥은 20세기 초 일본 지리학자가 한반도를 답사한 후 지질 성분을 기초로 정립하고 이름 지은 개념이다. 백두대간은 조선의 지리체계인 에 따른 것으로 이름만 다른 것이 아니라 산줄기 위치도 상당 부분 다르다. 3 백두대간은 누가 지은 이름인가? 조선시대 지리 족보인 에 수록된 명칭이다. 누가 이름 지었는지 알 수 없으나, 수 백 년 전부터 불리던 한반도 대표 산줄기 이름이다. .. 2024. 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