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천·경기 도보후기☞/☆ 인천·부천의 길

[20100125]인천 구경(인천역→차이나타운→자유공원→홍예문→인천역)-2부

by 맥가이버 Macgyver 2010. 1. 25.

 

29508

 

 2010년 01월 25일(월) 

인천 구경(인천역→차이나타운→자유공원→홍예문→인천역)을 다녀오다.

 

 '인천 구경(인천역→차이나타운→자유공원→홍예문→인천역)' 코스


인천역→차이나타운 제1패루 중화문→북성동 주민센터→공화춘 앞→자장면 거리삼국지 벽화거리→화교중산학교공자상

→청ㆍ일조계지경계계단→한중문화관→왕희지상→청ㆍ일조계지 경계계단→공자상→석정루→연오정→한ㆍ미수교100주년기념탑

→자유공원 광장→장미정원맥아더장군 동상→인천학도의용대호국기념탑→홍예문→자유공원 산책로→벚꽃길→제3패루 선린문

→스카이힐→중저가상품거리의선당→달마사→경극→'부엔부(富&富)'공화춘 앞→북성동 주민센터제1패루 중화문인천

 

맥가이버의 '인천 구경(인천역→차이나타운→자유공원→홍예문→인천역)' 이야기

 

오늘은 오후나들이로 인천 차이나타운과 자유공원을 둘러보고 왔다. 

지난 2008년 여름에 다녀왔던 코스 그대로 다녀왔다.

 

 '모든 만남은 걷고 있을 때 이루어진다'라는 말이 있는데,

길을 걷다보면 새로운 풍광을 보게 되고, 새로운 사람을 만나게 되고, 새로운 경험을 하고, 새로운 것을 알게 된다.

 

☞ 인천 구경(인천역→차이나타운→자유공원→홍예문→인천역)을 다녀오다
자세한 이야기는 맥가이버의 블로그 사진후기로 대신한다.
 
맥가이버가 '때론 함께, 때론 홀로' 산행이나 여행, 도보여행를 하면서 후기를 주로 사진으로 작성함은
인간의 기억력이 유한함을 알기에 훗날 그 당시의 풍광과 그리고 함께 했던 님들과의 추억을 되살리고자 함이고,
인간의 만남이 또한 유한함을 알기에 어떤 연유로 비록 언젠가 헤어지더라도 추억 속에서 함께 하고자 함이고,
또 하나 이유가 있다면 걸으면서 보고 느낀 것을 글로 다 표현치 못하는 무능함에 있습니다.
그리고 한 가지를 더 든다면 누군가가 같은 길을 걷고자 할 때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입니다.
  
   
        
인천 구경(인천역→차이나타운→자유공원→홍예문→인천역)을 다녀오다 - 2부를 시작하며...

 

 

 

 

자유공원 [自由公園] 

인천광역시 중구 송학동 응봉산(鷹鳳山)에 조성한 공원. 
  
응봉산 전체를 자유공원이라 부르는데 조성연대는 서울의 파고다공원(1897)보다 몇 년 앞서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인천항 개항 뒤 외국인 거류민단(居留民團)에서 관리 운영하여 당시 시민들은 이를 만국공원(萬國公園)이라 불렀고,

그 뒤 일본의 세력이 커지면서 1914년 각국 거류지의 철폐와 함께 공원 관리권이 인천부(仁川府)로 이관되자

그 때부터는 서공원(西公園:일본인들이 이른바 神社를 지어놓은 동공원이 따로 있었음)으로 불렀다.

자유공원으로 이름이 바뀐 것은 인천상륙작전을 지휘한 맥아더 장군의 동상이 응봉산 정상에 세워진 1957년 10월 3일부터이다.
지난날 이곳에는 인천각·청광각(淸光閣) 등의 건조물이 들어서 있었으나 6·25전쟁 때 없어졌다.
충혼탑을 비롯하여 석정루(石汀樓)·연오정(然吾亭) 등이 있으며, 학익고인돌[鶴翼支石墓]을 옮겨 보존하고 있다.
자유공원은 인천 시가지와 주위의 연산(連山)·항만·앞바다 등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시민의 휴식·위락장소이며,

미술대회·글짓기대회 같은 각종 행사도 자주 열린다.
 
 - ⓒ 두산백과사전 EnCyber & EnCyber.com 에서 -

 

 

 

 

 

 

 

 

  

 

 

 

 

  

 

 

 

 

 

 

 

 

 

 

 

 

 

 

 

 

홍예문 [虹霓門] 

1908년에 축조된 석문(石門)으로 인천광역시 중구 송학동 자유공원 근처에 있다.
 
지정번호  인천유형문화재 제49호 
지정연도  2002년 12월 23일 
소재지  인천광역시 중구 송학동 20번지 외 4필지  
시대  대한제국 
수량  1기 
종류  석문 
 
2002년 12월 23일 인천유형문화재 제49호로 지정되었다.
인천 홍예문(虹霓門; 윗부분을 무지개 모양으로 반쯤 둥글게 만든 문)은

응봉산 산허리를 잘라 높이 약 13m, 폭 약 7m의 화강암 석축을 쌓고 터널처럼 만든 석문(石門)이다.

 

대한제국 시대에 철도 건설을 담당했던 일본 공병대가 1906년 착공하여 1908년 준공하였다.
당시 인천 중앙동과 관동 등에 거주하던 일본인들의 수가 급격히 늘자

만석동 방면으로 자신들의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이 홍예문을 뚫었는데 일본인들은 혈문(穴門)이라 불렀다.

공사를 진행할 때 예기치 못한 거대한 암석을 만나 공사 기간이 오래 걸렸다 한다.
당시 일본의 토목공법을 알 수 있는 사료로서 원형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자유공원 근처에 있는 홍예문은 지역주민과 관광객들이 즐겨 찾는 인천의 명물이다.
홍예문을 통과하여 폭이 좁은 2차선 도로가 지나가며 홍예문 위쪽 길에 서면 인천항이 한눈에 내려다보인다.
 
  - ⓒ 두산백과사전 EnCyber & EnCyber.com 에서 -

 

 

 

 

 

 

 

 

 

 

 

 

 

 

 

 

 

 

 

 

 

 

 

 

 

 

 

 

 

 

  

 

 

 

 

 

 

 

 

 

제3패루 선린문


경사가 급한 오름길로 4층의 계단으로 이루어졌다.

오르며 계단 양옆에 그려진 그림을 보면 중국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처음 계단을 오르면 양쪽 면에 자금성내의 태화전과 만리장성이 그려져 있는데, 모두 중국을 대표하는 상징물이다.
2층으로 오르는 계단에도 이상한 그림이 그려져 있는데 중간의자부분에 앉아 사진을 찍으면

옛날 진나라 병사가 양쪽에서 호위하는 용상에 앉은 모습이 나온다.

2층에 오르면 갑골문자와 고대 둔황 유적의 그림이 있다.

모두 중국의 유구한 역사를 대표하는 유물들이다.
이곳에는 화표도 세워져 있는데, 역시 중국인들의 상징물이다.


3층의 벽면에는 분장한 경극배우와 부귀영화를 상징하는 어린아이와 고기그림으로 중국인의 문화, 전통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선린문이라고 쓰인 파란색 패루는 주위 사람들과 잘 어울려 살자는 뜻으로 옛날 이곳의 지명이기도 하다.

패루로 오르기 전 오른쪽에는 인천교회가 있는데 인천에서 중국어로 예배를 보는 곳이다.
원래 이곳은 1917년에 설립된 중화기독교 터로 한국에 세웠어도

중국 본토의 선교를 목적으로 한 교두보 역할을 하였기에 선교사들이 매우 오고 싶어 하는 교회의 하나였다고 한다. 

 

 

 

 

 

 

 

 

 

 

 

 

 

 

 

 

의선당


인천 개항 후 인천에 거주하는 중국인들이 불어남에 따라 교화 및 정신적 안녕을 기리는 중국식 사당을 지었다.
산동지방의 도교 식으로 1893년경 세워졌다고 추정된다.
안에는 사후 안식을 기원하는 관음보살, 돈을 벌어준다는 관우상, 자식을 점지해준다는 삼신 할미상,

중국을 왕래할 때 뱃길의 안녕을 보살펴 주는 용왕상,

그리고 원행길이나 산길을 보호해 준다는 호산할아버지(산신령)의 다섯 분이 모셔져 있다.
한국전쟁 후 화교들의 수도 줄어들고 찿는 이들이 줄어들며 무술수련장으로도 쓰이다가,

2006년 5월 수리를 거친 후 지금의 모습을 가추고 있다.

 

 

 

 

 

 

 

 

 

 

 

 

 

 

 

 

 

 

 

 

 

 

 

 

 

 

 

 

 

 

 

 

 

 

 ☞ 이것으로 인천 구경(인천역→차이나타운→자유공원→홍예문→인천역)을 다녀오다를 마친다.

 

 

 2010년 01월 25일(월) 

인천 구경(인천역→차이나타운→자유공원→홍예문→인천역)을 다녀오다.

 

-▥☞ 1부[인천역→중화문→삼국지 벽화거리→청ㆍ일조계지계단→석정루→연오정→한미수교100주년 기념탑]는 여기를 클릭.☜▥-

 

-▥☞ 2부[자유공원광장→맥아더장군동상→홍예문→선린문→의선당→달마사→부엔부→공화춘→중화문→인천역]는 여기를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