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유적탐방후기☞/♣ 북한산성

[20100606]현충일에 다녀온 북한산성 16(14+2)성문 순례 - 3부

by 맥가이버 Macgyver 2010. 6. 7.

 

29749

 

 2010년 06월 06일(일)  
현충일에 다녀온 북한산성 16(14+2)성문 순례를 다녀오다
   
  맥가이버의 '현충일에 다녀온 북한산성 16(14+2)성문 순례' 이야기 

 

  '현충일에 다녀온 북한산성 16(14+2)성문 순례' 코스 
 
구파발역→북한산성 입구→북한산성 탐방안내소→1수문지→2서암문(시구문)→원효암→전망바위→원효봉→3북문→상운사
→대동사→약수암→4백운봉암문(위문)→노적봉안부→5용암봉암문(용암문)→북한산대피소→동장대→6대동문→칼바위 갈림길
→7보국문→8대성문→9대남문→문수봉→10청수동암문→715.7봉→나한봉→나월봉→11부왕동암문→증취봉→용혈봉→용출봉
→12가사당암문→국녕사→법용사→13중성문→14중성 수문→15중성 시구문→16대서문→북한산성 탐방안내소→구파발역

 

  

 

※ 북한산성 16성문에 대하여 

 

북한산성 축성은 숙종 37년(1711) 4월 3일에 많은 논란 끝에 착수되었다.

 

축성은 놀라울 정도로 신속히 진행되어 불과 6개월만인 그해 10월 19일 백운봉, 만경봉, 용암봉, 문수봉, 의상봉,

원효봉, 영취봉(염초봉) 등 북한산의 연봉을 연결하는 석성을 완료하였으며, 길이는 21리 60보에 이르렀다.

 

이렇게 단기간에 대규모의 축성이 가능했던 이유는 바로 직전에 도성을 수축한 경험이 있었고,

농번기나 장마철에도 중단 없이 공사를 강행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그 당시 창궐했던 해적의 침략에 대비해서도 한시가 급했고,

드러내 놓고 도성 옆에 대규모 성곽을 쌓는 일도 청(淸)에 빌미를 잡힐 꼬리가 될지 몰라 지체할 상황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 이것이 가장 큰 이유였을 것이다.

 

이 기간동안 도성의 백성들은 먹을 것을 갖고 집집마다 한두 명씩 축성에 참여하였으니,

북한산성은 한양 백성들의 피와 땀으로 이룩되었다.

 

한편 축성 현장을 보고 싶어하던 숙종은 성곽이 준공되고 행궁의 영건도 거의 마무리 된

숙종 38년(1712) 4월 10일 드디어 북한산성 시찰길에 나섰다. 

전란 대피용인 북한산성은 이후 한번도 왕이 행차한 일이 없었다고 한다.


북한산의 계곡을 따라 올라가면 어김없이 성문(城門)을 만나게 된다.
 

숙종 37년 축성 당시 수문(水門), 서암문(西暗門), 북문(北門), 백운봉암문(白雲峰暗門), 용암봉암문(龍巖峰暗門),

소동문(小東門), 동암문(東暗門), 대동문(大東門), 소남문(小南門), 청수동암문(靑水洞暗門), 부왕동암문(扶旺洞暗門),

가사당암문(袈裟堂暗門), 대서문(大西門) 등 13개의 성문을 만들었다.

 

그 후 숙종 40년에는 취약지점에 대한 보완공사 때 중성(重城)을 쌓으면서,

중성문(中城門), 시구문(尸柩門), 수문(水門)을 추가로 만들어 성문의 수는 모두 16개에 이르렀다.

 

현재 대서문, 북문, 중성문 정도만 본래의 이름대로 불려지고 있는 반면에 서암문은 시구문으로, 백운봉암문은 위문으로,

용암봉암문은 용암문으로, 소동문은 대동문으로, 동암문은 보국문으로, 대동문은 대성문으로, 소남문은 대남문으로,

부왕동암문은 원각문으로, 가사당암문은 국녕문으로 불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서암문이 시구문으로 불리는 이유는 성내에서 발생한 시신을 내보내던 문이라 하여 그렇게 불렸고,

나머지 보국문, 원각문, 국녕문이라는 별칭은 가까이에 그런 이름을 가진 사찰이 있었기 때문이다.

 

성문은 홍예 형식에 유축을 갖춘 채 문루가 있는 큰 문과,

문루도 없이 성벽 높이에 맞추어 조그맣게 맞춘 암문(暗門),

그리고 수문(水門)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문루가 있는 큰 성문에는 대서문, 북문, 대동문, 대성문, 대남문, 중성문이 있고,

암문(暗門)에는 서암문(산성 시구문), 위문, 용암문, 보국문, 청수동암문, 부왕동암문, 가사당암문, 중성의 시구문이 있고, 

수문(水門)에는 산성 수문과 중성 수문이 있다.  


바로 아래에 있는 작은 사진을 클릭하시면
2007년 6월 06일(수) 현충일에 북한산성 16(14+2)성문 순례를 다녀와서 작성한 산행후기를 보실 수 있습니다.

 


 

오늘은 지난 2007년 6월 6일 현충일에 다녀온 이후 3년만에 다시 '북한산성 16(14+2)성문 순례'를 나선다.

구파발역 1번 출구에서 모여 버스를 타고 북한산성입구 정류장에서 하차하여 북한산성 탐방안내소를 지나 수문지로 향한다.
  
'현충일에 다녀온 북한산성 16(14+2)성문 순례'자세한 이야기는 맥가이버의 블로그 사진후기로 대신한다.

  

 

 
누군가가 '누우면 죽고, 걸으면 산다(臥死步生)'고 했다.
맥가이버는 '산 따라 강 따라 길 따라' 걷는 것을 죽고사는 차원이 아닌 즐기는 차원에서 걷는다.
즉, 좋은 길을 걷다가 새로운 환경이나 상황, 사람을 만나면서 알게 되고, 느끼고, 감동 받고, 깨닫는 것을 즐긴다.

 

 
 

'모든 만남은 걷고 있을 때 이루어진다'라는 말이 있는데,

길을 걷다보면 새로운 풍광을 보게 되고, 새로운 사람을 만나게 되고, 새로운 경험을 하고, 새로운 것을 알게 된다.

 
맥가이버가 '때론 함께, 때론 홀로' 산행이나 여행, 도보를 하면서 후기를 주로 사진으로 작성함은
인간의 만남이 또한 유한함을 알기에 어떤 연유로 비록 언젠가 헤어지더라도 추억 속에서 함께 하고자 함이고,
또 하나 이유가 있다면 걸으면서 보고 느낀 것을 글로 다 표현치 못하는 무능함에 있습니다.
그리고 한 가지를 더 든다면 누군가가 같은 길을 걷고자 할 때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입니다.
 


'현충일에 다녀온 북한산성 16(14+2)성문 순례' - 3부를 시작하며...



 

▼ 14시 13분 - 북한산 대피소

 

 

▼ 14시 24분 - 휴식을 마치고...

 

▼ 14시 26분 - 용암사지 샘터에서...

 

▼ 14시 28분 - 대동문을 향해 출발...

 

▼ 14시 29분 - '남아하처불상봉'이라고 하더니...景行錄曰 恩義廣施 人生何處不相逢 讐怨莫結 路逢狹處難回避

 

 

 

 

 

 

 

 

 

▼ 14시 43분 - 동장대가 보이네...

 

 

 

 

▼ 14시 48분 - 대동문을 향해...

 

 

 

 

 

 

 

▼ 14시 56분 - 대동문에 도착...

 

▼ 대동문

 

▼ 대동문(大東門)
북한산성 성문 중 동서남북, 4개 방위 中 동쪽을 대표하고 있는 성문으로 우이동의 소위 '진달래능선'이 시작되는 해발 540m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서문과 같은 큰문이다. 지금의 문은 1993년에 문루(門樓)를 갖추는 등 화려하게 복원되었다.

대동문은 산성을 지키는 삼군의 하나인 금위영 본부 자리다. 대동문이 지키고 선 고갯마루 일대를 옛날에는 석가령이라고 했다고 한다.

대동문의 현판 글자는 북한산성을 쌓은 숙종왕의 어필을 집자한 것이라고 한다.

 

 

▼ 15시 04분 - 보국문을 향해...

 

 

 

 

▼ 15시 12분 - 칼바위능선 갈림길에서...

 

 

 

 

▼ 칼바위능선

 

 

 

 

 

 

▼ 15시 16분 - 보국문

 

 

▼ 보국문(輔國門)
본래 이름은 동암문(東暗門)으로 대동문과 대성문 사이의 해발 567m의 높은 지점에 위치하여 정릉을 내려다보고 있다.

성문 아래에 보국사(輔國寺)가 있었다고 하여 현재 보국문(輔國門)이라 불리우고 있다.

 

▼ 15시 27분 - 대성문을 향해 출발...

 

 

 

▼ 백운대와 산성주능선 너머로 도봉산이...

 

▼ 백운대와 만경대, 인수봉의 삼각산 형태가...

 

 

 

▼ 15시 34분 - 치에 올라서 조망하니...

 

▼ 형제봉과 북악산, 인왕산이 보이고...

 

 

 

 

 

 

 

 

 

 

 

▼ 15시 47분 - 대성문이 보이네...

 

▼ 대성문(大城門)
보현봉(普賢峯) 동북쪽 형제봉을 거쳐 보토현봉으로 이어지는 해발 625m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성문으로는 북한산성 성문 가운데서 가장 큰 문이다. 원래 처음에는 소동문(小東門)으로 불리우는 작은 암문(暗門)이었으나 성문 위치가 문 북쪽 기슭 행궁(行宮)이 있는 곳에서 이곳을 통과하여 형제봉과 보토현(輔土峴-현재 북악터널 위쪽)을 경유하여 경복궁으로 이어지는 편리한 코스에 위치하고 있어서 임금이 이문을 출입하게 됨으로써 뒤에 성문을 더욱 성대하게 개축하여 임금이 출입하는 성문으로 위용을 갖추고 이름도 대성문(大城門)으로 바꾼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 15시 59분 - 대남문을 향해...

 

 

 

 

▼ 제비꽃

 

▼ 정향나무

 

 

▼ 16시 08분 - 북한산 통천문

 

 

 

▼ 문수봉

 

 

 

 

▼ 16시 11분 - 대남문

 

▼ 대남문(大南門)
북한산성 성문 중 동서남북, 4개 방위 中 남쪽을 대표하고 있는 성문으로 처음 축조 당시는 문수봉암문(文殊峯暗門)으로 불리웠던 성문이다.

해발 715m의 보현봉(普賢峯)과 해발 727m의 문수봉(文殊峯)이라는 두 거봉을 잇는 해발 663m 능선 한가운데 안부(鞍部)에 위치해 있다.

앞뒤로 넓은 터를 갖고 있어 마치 평창동 일대를 긴팔로 안고 있는 듯한 모습이 정겹게 보인다.

대남문은 백운대쪽에서 바라보면 성문이 보일듯 말듯 아득하게 보이며, 보현봉에서 백운대를 뒷배경으로 내려다 보는 맛도 일품이다.

이문은 대동문과 구조가 흡사하다.

 

▼ 보현봉

 

▼ 구기동 계곡

 

▼ 16시 18분 - 문수봉을 향해...

 

 

 

 

 

 

▼ 16시 24분 - 문수봉에 도착...

 

 

 

 

 

 

 

 

▼ 16시 31분 - 청수동암문으로 내려서고...

 

 

▼ 16시 34분 - 청수동암문

 

▼ 청수동암문(靑水洞暗門)
문수봉(文殊峯)과 나한봉(羅漢峯) 사이 해발 694m에 위치한 성문으로 승가사 뒷산 능선에 있는 비봉과 연결되며 대남문과 부왕동 암문 방향으로 갈라지는 요충지인데 이 문도 여느 암문과 마찬가지로 네모난 출입구를 갖추고 있으며 문짝을 달았던 흔적이 남아 있다.

이 문에는 산성주능선과 의상능선, 그리고 비봉능선으로 향하는 갈림길이 나있다.

 

▼ 16시 35분 - 715.7봉을 향해...

 

 

 

▼ 16시 37분 - 715.7봉에 도착...

  

 

 

▼ 16시 43분 - 나한봉을 향해...

 


☞ 여기서 '현충일에 다녀온 북한산성 16(14+2)성문 순례' - 3부를 마치고...

 

 

 

2010년 06월 06일(일)
'현충일에 다녀온 북한산성 16(14+2)성문 순례'를 다녀오다 

   

-▥☞ 1부[북한산성 탐방안내소→수문지→서암문(시구문)→원효암→전망바위→원효봉]는 여기를 클릭.☜▥-

  

-▥☞ 2부[원효봉→북문→상운사→대동사→약수암→위문→노적봉 안부→용암문→북한산 대피소]는 여기를 클릭.☜▥-

 

-▥☞ 3부[북한산 대피소→동장대→대동문→보국문→대성문→대남문→문수봉→청수동 암문→715.7봉]는 여기를 클릭.☜▥-

 

-▥☞ 4부[715.7봉→나한봉→나월봉→부왕동 암문→증취봉→용혈봉→동자승 바위→자명해인대→용출봉]는 여기를 클릭.☜▥-

  

-▥☞ 5부[용출봉→가사당 암문→국녕사→중성문→중성 수문→중성 시구문→대서문→북한산성탐방 안내소]는 여기를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