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읍기행]서울 불암산 자락 마지막 달동네, 중계동 104번지
1967년, 정부는 서울 도심의 개발을 위해 사람들을 이주시켰다.
용산, 남대문, 청계천에 살던 사람들이 바로 이곳 '백사마을'이라 불리는,
노원구 중계동 104번지로 옮겨와 새로운 터전을 마련했다.
"학교도 다니기 전 어릴 때에요.
아버지가 생일이라고 머리맡에
축구공을 사다 놓으셨더라고요.너무 기뻐서 당장 들고 문 밖으로 나가서 힘껏 찼어요.
데굴데굴 산동네를 굴러 내려간 공은 하수도로 쏙 들어갔고
동생하고 하수도 끝에서 온종일 공이 나오길 기다렸지만 결국 못 찾았어요."
어린 시절을 중계동 104번지에서 지낸 임상배(34)씨의 기억이다.
불암산 자락에 자리한 산동네.
어머니는 물을 길어오셨고 아버지는 마치 맥가이버처럼 집을 고치셨다.
지금은 모두 외지로 나가 살림을 차렸지만 어릴 적 그 동네는 그 모습 그대로 남아있다.
소위 백사마을이라고도 불리는 중계동 104번지는 대한민국의 개발사에 그늘처럼 남아 있다.
1967년부터 정부는 개발을 이유로 강제 이주를 추진했고 새로운 보금자리를 바로 이곳 백사마을에 마련해줬다.
당시 용산, 청계천, 안암동의 판자촌에서 살던 사람들이 대상이었다.
하지만 이주대책으로 해준 것은 30평 남짓한 천막이 전부.
그나마 분필로 넷으로 선을 그어 네 가구가 살도록 했다.
천막 한 칸을 넷으로 나눴으니 한집에 8평 남짓. 그래서 백사마을의 집들은 8평부터 시작된다.
세월이 흐르면서 이사 간 집을 사들여서 합치고,
남는 땅에 집을 지으면서 이곳의 주택은 대부분 20평 남짓한 구조로 변경됐다.
백사마을 골목길은 옛 모습 그대로 남아있다. (이다일기자)
104번지가 처음 생길 때 이사와 지금까지 살고 있다는 박해숙 할머니(76)는
마치 즐거운 옛날 얘기 하듯 40년전의 추억을 꺼내 놓는다.
"내 아들이 50살이니까 정확히 44년 됐지. 여기 6통에서 내가 제일 먼저 집을 지었어요.
밤에 물 뜨러 가면 '그르릉~'하면서 늑대가 뒤를 따라와요.
깜짝 놀라 뛰어 들어오면 시어머니가 남자가 치근대는 줄 알고 '언놈이 붙잡던가?' 그랬어요. 하하하.
산 속에 갑자기 사람들이 이사 왔으니 늑대가 먹을 걸 찾아 들어왔지요. 그땐 그랬어요."
박 할머니의 말에 따르면 땔감도 없어서 산에 있는 나뭇가지, 잡풀까지 모두 긁어서 땠다고 한다.
그마저도 산을 지키는 사람한테 붙잡히면 모두 두고 내려와야 했다.
용산에서 이사 왔다는 다른 할머니는 "윗목에 물이 얼고 걸레도 얼어붙을 정도로 추운 겨울을 보냈다"며
"연탄 한 장에 6원 50전하던 시절인데 그걸 아끼느라 방이 얼어붙었어요."라고 말했다.
워낙 산골이라 학교 가는 길도 멀고 험했다.
'토끼길'이라고 부르는 좁은 오솔길을 따라 산을 넘으면 지금의 하계동 '연촌초등학교'가 나왔다.
거기까지 아이들은 모두 걸어서 학교를 다녔다.
그런데 이 길은 짐승이 많아 남자고 여자고 혼자서는 다니지 못하는 길이었다.
박 할머니는 "지금이야 중계동이 학원도 많고 교통도 좋지요. 그때는 오솔길, 진흙길뿐이었어요"라고 말했다.
심지어 장마철이 되면 부모들은 난리가 났다.
줄줄이 물이 세는 집을 수리해야 했고 학교에 간 아이들이 행여 물에 떠내려 갈까봐 아이들 데리러 바쁜 걸음을 재촉했다.
산골인데도 기반시설이 되어 있지 않아서 장마철이면 물이 차는 곳이 수두룩했다.
'육여사국수'를 먹어 봤어요?
40년 전 이야기를 해주시는 동네 할머니들. (이다일기자)
방앗간 한편에 할머니들이 모였다. 겉으로 봐서는 영업을 하는지 알 수 없다.
오래된 간판과 제분기가 방앗간임을 추측케 한다. 40년전 이야기를 부탁했더니 끝없이 이어질 기세다.
그러다 뜬금없이 '육여사국수'이야기가 나왔다. 매일 점심이면 '육여사국수'를 받으러 가는 게 일이라고 했다.
"냄비하나 들고 그거 타러 가면 국수에 노란 무 하나 얹어서 줬어요.
그걸 그 자리에서 먹을 수 있나, 집에 가져와서 김치랑 해서 애들이랑 같이 먹었지요."
당시 104번지에서는 정부에서 밀가루 국수를 해서 나눠줬는데 이를 두고 주민들이 '육여사국수'라고 이름을 붙였다.
당시가 박정희 대통령시절이라 육영수여사의 성을 딴 것이다.
당시나 지금이나 아이들 입맛은 여간 까다로운 게 아니다.
똑같은 국수를 계속 먹으니 아이들이 질려했다.
한 할머니는 "국수를 계속 주니 새끼들이 안먹을라케. 그래서 그거 타다가 채반에 말려서 기름에 튀겼지.
그래서 설탕 쳐주면 잘 먹었어. 그래 살았어요."라며 먹을 것 귀하던 시절을 회상했다.
개발과 재개발로 이어진 한평생
중계동 104번지 할머니들은 스스로 이렇게 말한다.
"우린 별거 다 겪어본 세대에요. 해방에 전쟁도 겪었지,
거기다 개발한다고 이주해서 여기로 옮겨왔고 40년을 산동네를 오르내리며 살았지요."
지금 마을에는 대부분 노인들만 남아있다.
이곳에서 자란 아이들은 어릴 적 추억의 동네로 104번지를 기억하고 있다.
오래 만에 이곳을 찾은 사람들이 쉽게 추억을 떠올릴 수 있는 이유가 또 있다.
개발이 되지 않아 옛날 모습을 거의 간직하고 있기 때문이다.
40년전 지어진 집들이 거의 그대로 남아있고 동네 입구 가게부터 언덕 중턱에 자리한 교회까지 옛 모습 그대로다.
어릴 적 뛰어놀던 계단도 그대로 있고
물탱크가 있던 뒷산도 등산로로 조금 정비됐을 뿐 변한 것이 없다.다만 달라진 것은 어릴 적 커 보이던 건물과 마당이 지금은 깜짝 놀랄 만큼 작아 보인다는 것.
서울의 마지막 달동네라 불리며 드라마를 비롯해 많은 매체에 노출되던 104번지도 재개발을 직면하고 있다.
수년 전부터 추진되던 재개발이 갖은 사연 속에서도 계속 진행되고 있는 것.
이곳에서 만난 할머니들은 "되던 안되던 빨리 결정이나 났으면 좋겠어.
집을 고치지도 못하고 사니까 말이지.
나 죽기 전에 아파트 기둥 올라가는 거나 보려나 모르겠네."라고 말했다.
지하철 4호선, 7호선 노원역, 1호선 창동역에서 1142번 버스로 갈아타고 종점까지 가면 된다.
버스 종점이 104번지 시작이며 큰
은행나무가 서 있어 찾기 쉽다.중계동 104번지 백사마을이 사진가들의 입에 오르내리며 무분별한 촬영으로 주민들과 마찰을 빚는 경우도 있다.
주민들의 생활을 존중하며 옛 모습을 담는 노력이 필요하다.
1,200여 가구가 모여 있는 넓은 지역이므로 한 바퀴 둘러보는데 두어 시간은 잡아야 한다.
골목 속의 집 104번지에는 차가 들어갈 수 없는 골목이 많다. 옛날부터 나눠진 골목들은 사람 한명 겨우 지나갈 좁은 길들로 이뤄졌다. 언덕 뒤에 집이 있고 골목을 돌아서면 집이 나온다. 그래도 개성 넘치는 것이 어느 집에서도 똑같은 대문을 찾아볼 수 없다. 골목을 뛰어다녔을 아이들의 모습이 눈에 보이는 듯하다. (이다일기자)
등산로 104번지 달동네의 꼭대기는 노원구 공릉동의 산과 맞닿았다. '한국전력 뒷산'으로 불리는 산에는 등산로가 꾸며져 있어 주민들의 산책길로 활용되고 있다. 옛날에는 들짐승이 많아 혼자 다니기 위험한 산, 전쟁으로 인해 벌거숭이가 된 산이었지만 지금은 울창하게 숲을 이뤘다. (이다일기자)
중계동 백사마을 정상에서 내려다보면 노원구 중계동이 한눈에 들어온다. 90년대 중반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배밭과 논이었던 땅이 모두 아파트로 변했다. 지금은 학교와 학원이 많기로 소문난 동네가 됐다. 백사마을 역시 주변의 발전에 따라 재개발을 모색하고 있다. (이다일기자)
고추농사 집 앞에 고추, 호박, 상추를 심어놓은 담벼락이 눈에 띈다. 때마침 물을 주던 할머니는 "혼자 먹고 남을 만큼 수확이 잘 된다."며 농사 자랑을 했다. 작은 고추와 호박잎이 담벼락을 따라 자라고 있다. (이다일기자)
교회 백사마을 아이들에게 교회는 동네에서 가장 넓은 공간이었다. 교회 앞마당은 축구장이고 야구장이었다. 언덕배기 산동네에 있는 교회라 한쪽은 철창으로 공이 떨어지지 않게 막아놨지만 아이들이 놀다보면 철창을 넘어 아랫집으로 공이 날아가기 일쑤였다. (이다일기자)
계단은 몇 개? 백사마을에서 태어난 임상배씨는 "동생과 함께 이 계단이 몇 개인지 세어보는 놀이를 했다."며 "어릴 때는 높고 커 보였는데 이제 와서 보니 이렇게 작은 계단과 골목인게 새삼스럽다."고 소감을 말했다. (이다일기자)
갈림길 백사마을 입구 갈림길이다. 슈퍼마켓과 비디오 대여점이 사이좋게 붙어있다. 이곳의 건물들은 대부분 옛 모습을 그대로 갖고 있고 작은 가게들도 옛 모습 그대로 장사를 계속하고 있다. (이다일기자)
산 따라 지어진 집 초창기 마을에는 먼저 들어온 사람에게 산 아래쪽 터를 제공했다. 하지만 이주해 온 지역에 따라 삼삼오오 모여서 살기 시작했고 청계천에서 온 사람들이 사는 곳, 남대문에서 온 사람들이 사는 곳이 조금씩 나눠서 형성됐다. 지금은 서로 집을 팔고 사고 이사를 다녀서 예전 같은 구분은 사라졌다. (이다일기자)
'▣그곳에 가고싶다☞ > ♤ 소읍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읍기행]체험과 공존의 공간, 양양군 해담마을 (0) | 2010.12.25 |
---|---|
[소읍기행]산과 호수가 빚은 한폭의 풍경화, 대전 ‘대청호 두메마을’ (0) | 2010.12.10 |
[소읍기행]정감어린 옛 골목길 그대로 간직, 경복궁 서쪽마을 ‘서촌’ (0) | 2010.12.10 |
[소읍기행]외나무다리의 사연이 얽힌 곳, 영주시 무섬마을 (0) | 2010.12.10 |
[소읍기행]풍류와 낭만, 상춘곡이 태어난 곳 ‘정읍 태산선비마을’ (0) | 2010.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