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고 싶어요☞/♧ 동물 · 식물

고마리 / 고마리 이명 / 고마리꽃의 꽃말/ 고마리꽃의 어원

by 맥가이버 Macgyver 2014. 9. 21.

고마리 / 고마리꽃의 꽃말/ 고마리꽃의 어원

 

 

고마리의 꽃말 : 꿀의 원

고마리의 이명 : 고만이, 돼지풀

 

 

고마리
 쌍떡잎식물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
 이미지 크게보기고마리
8~9월에 분홍색 또는 흰색의 꽃이 모여 핀다.
 
학명 : Persicaria thunbergii
계 : 식물
문 : 속씨식물
강 : 쌍떡잎식물
목 : 마디풀목
분포지역 :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헤이룽강 연안, 인도 아삼주
서식장소/자생지 : 양지바른 들이나 냇가
크기 : 높이 약 1m

 

고만이라고도 한다.

양지바른 들이나 냇가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줄기의 능선을 따라 가시가 나며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있으나, 윗부분의 것에는 잎자루가 없다.

잎 모양은 서양 방패처럼 생겼으며 길이 4∼7cm, 나비 3∼7cm이다.

 

가운뎃잎 갈래조각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곁잎 갈래조각은 서로 비슷하게 옆으로 퍼진다.

 

잎자루는 흔히 날개가 있고, 뒷면 맥 위에 잔 가시가 있다.

잎집은 길이 5∼8mm로서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나고 작은잎이 달리기도 한다.

 

꽃은 8∼9월에 피는데, 가지 끝에 연분홍색 또는 흰색 꽃이 뭉쳐서 달린다.

꽃자루에 선모가 있다.

수술은 8개이고 암술대는 3개이다.

 

씨방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 또는 타원형이다.

열매는 수과로 10∼11월에 익는데 세모난 달걀 모양이고 황갈색이며 길이 3mm 정도이다.

 

꽃의 형태와 피는 시기, 잎의 생김새 등에 변이가 많으며 메밀과 비슷하다.

어린 풀은 먹고 줄기와 잎을 지혈제로 쓴다.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헤이룽강 연안, 인도 아삼주 등지에 분포한다.


출처 : 두산백과

 

 


고마리

 학명 : Persicaria thunbergii (Siebold &Zucc.) H.Gross ex Nakai 
계 : 식물계(Plantae)
문 : 피자식물문(Angiospermae)
강 :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
과 : 마디풀과
크기 : 1m
용도 : 관상용
개화시기 : 8월~9월
분포지 : 한국

 

 생육특성

고마리는 각처에서 자라는 덩굴성 일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양지바른 곳이나 반양지에서 잘 자란다.

 

키는 약 1m 정도이고 잎은 표면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짧은 녹색털이 있고

길이는 4~7㎝, 폭은 3~7㎝로 창처럼 앞이 뾰족하다.

 

꽃은 가지 끝에 10~20개 정도가 뭉쳐서 피고

꽃받침은 흰색 바탕 끝에 붉은색 빛이 도는 것과 흰색 빛이 도는 것이 있다.

 

열매는 8~9월경에 황갈색으로 달린다.

관상용으로 쓰이며, 어린순은 식용으로 쓰인다.

 

번식법 :

10월에 익은 종자를 종이에 싸서 냉장고에 보관한 후 이듬해 봄에 일찍 뿌린다.

1년생 식물이기 때문에 뿌리 번식은 따로 하지 않는다.

 

관리법 :

번식이 좋으며 습기가 많은 곳에서도 잘 자라는 특성이 있어 습기가 많은 쪽이나 화단의 뒤쪽에 심는다.

주로 집단생활을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식물과의 경합을 피하는 것이 좋다.

심고 난 후에는 1~2일 간격으로 물을 주고 습기가 많은 곳에 심었을 때는 2~3일 간격으로 물을 준다.

 

출처 : 야생화도감(여름)

 

 

고마리꽃의 어원 
 

첫번째 어원은

고마리꽃이 서식하는곳이 물가나 늪지 혹은 하수도 부근같은 곳에서 서식하다보니

지역적인 환경때문에 주변의 오염되고 썩은 물을 깨끗하게 정화 시켜주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여

'고마우이', 혹은 '고맙다'라고 하다가 '고마리'가 되었다고...

 

두번째 어원은

주변의 환경이 아무리 나쁜 상태라도 무성하게 잘 자라다 보니까

이제 그만 되었다고 '그만이풀', 혹은 '그만이꽃'이라고 하던 것이 '고만이'를 거쳐 '고마리'로 불리게 되었다고...

 

잎은 식용으로, 줄기와 잎은 약용으로, 아름다운 꽃은 벌을 위한 밀원의 원천이되니 정말로 유용한 꽃이며, 고마운꽃이기도 하고...
 

워낙에 악조건 속에서도 잘 자라다 보니까 금새 무성한 수풀을 형성하여 고마리꽃이 피어있는 곳은 마음놓고 들어갈 수 없고,

모기 등 해충들의 서식지로 활용이 되기도 하여 '그만 자라라' 라는 의미로 '그만이풀'이 '고마리꽃'으로 되었다는 것에 한 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