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행·등산사진후기☞/♤ 전라도의 산&길

[20150404]변산여행-부안마실길 5코스 모항에서부터 6코스를 걷고 14코스 중 내소사까지 이어걷기 - 1부

by 맥가이버 Macgyver 2015. 4. 5.

 

31384

 

2015년 04월 04일(토)

 '변산여행 - 부안마실길 5코스 모항해수욕장에서부터 6코스를 걷고 14코스 중 내소사까지 이어걷기'를 다녀오다
 

 

 

 맥가이버의 '변산여행-부안마실길 5코스 모항해수욕장에서부터 6코스를 걷고 14코스 중 내소사까지 이어걷기' 이야기

 

  '변산여행-부안마실길 5코스 모항해수욕장에서부터 6코스를 걷고 14코스 중 내소사까지 이어걷기' 코스

 

5코스 모항 갯벌 체험길(모항해수욕장-해나루호텔-모항포구-모항갯벌체험장)6코스 쌍계재 아홉구비길(모항갯벌체험장-금강가족타운-쌍계재-마동방조제-도롱골-작당마을-왕포마을-운호방조제)14코스 내소사 전나무길(왕포-휘목미술관-운호마을-노돌고개-석포삼거리-내소사)

 

 

 

 

 

이번 여행은 3일간의 일정으로 좋은 님들과 함께 아름다운 길을 걸어보고자 계획한 것이다.
주요코스는 새만금전시관에서부터 부안(변산)마실길을 따라 걷는 것이고, 차량회수를 위해 내변산 산행을 하고 원점회귀하여,
귀경길에 새만금방조제를 따라 군산 신시도에 들러 군산구불길 7코스 걷기와 월영봉ㆍ대각산 산행을 하는 여정이다.
 
1일차 진행은 새만금전시관에서 부안변산마실길 1코스부터 걷기 시작하여 5코스 모항해수욕장까지 걸은 후 1박하고,
 
2일차 진행은 5코스 모항해수욕장에서부터 6코스를 걷고, 이어서 12코스 중 내소사까지만 걷고,
내소사를 탐방 후 내변산 산행(내소사 에서 남여치까지)을 하고, 변산면 지서삼거리까지 이동하여 2박을 하고,
 
3일차 진행은 지서삼거리에서 변산해수욕장까지 걷고, 부안마실길 12코스 중 묵정마을(바지락죽촌)까지 걸은 후,
새만금전시관으로 원점회귀하여 차량을 회수하고 새만금방조제를 따라 신시도주차장에 도착하여,
군산구불길 7코스와 월영봉ㆍ대각산 산행을 혼합하여 걷고 신시도주차장으로 원점회귀하며 모든 여정을 마치고 귀경한다.
 
2일차 내변산 산행(내소사~남여치)은 때마침 내린 단비를 맞으며 산행내내 우중산행을 하였고,
3일차 군산 신시도 월영봉ㆍ대각산 산행도 시작부터 비를 맞으며 우중산행을 하게 되었다.
 
이번 3일간의 걷기를 하며 찍은 1500여장의 사진을 가지고 변산여행은 4편 11부작으로, 군산여행은 1편 2부작으로 정리를 하였다. 
 
☞ 맥가이버의 '변산여행-부안마실길 5코스 모항해수욕장에서부터 6코스를 걷고 14코스 중 내소사까지 이어걷기'
자세한 이야기는 맥가이버의 블로그 사진후기로 대신한다.
 

 

 
누군가가 '누우면 죽고, 걸으면 산다(臥死步生)'고 했다.
맥가이버는 '산 따라 강 따라 길 따라' 걷는 것을 죽고사는 차원이 아닌 즐기는 차원에서 걷는다.
즉, 좋은 길을 걷다가 새로운 환경이나 상황, 사람을 만나면서 알게 되고, 느끼고, 감동 받고, 깨닫는 것을 즐긴다.
 

 

 
 
'모든 만남은 걷고 있을 때 이루어진다'라는 말이 있는데,
길을 걷다보면 새로운 풍광을 보게 되고, 새로운 사람을 만나게 되고, 새로운 경험을 하고, 새로운 것을 알게 된다.
 

 

 
맥가이버가 '때론 함께, 때론 홀로' 산행이나 여행, 도보를 하면서 후기를 주로 사진으로 작성함은
인간의 만남이 또한 유한함을 알기에 어떤 연유로 비록 언젠가 헤어지더라도 추억 속에서 함께 하고자 함이고,
또 하나 이유가 있다면 걸으면서 보고 느낀 것을 글로 다 표현치 못하는 무능함에 있습니다.
그리고 한 가지를 더 든다면 누군가가 같은 길을 걷고자 할 때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입니다.
 
 
 ☞ '변산여행-부안마실길 5코스 모항해수욕장에서부터 6코스를 걷고 14코스 중 내소사까지 이어걷기를 다녀오다- 1부를 시작하며...

 

 

06시 55분 - 모항포구에서...

 

07시 07분 - 어제 저녁을 먹은 식당에서 아침식사를 하고...

 

07시 51분 - 2일차 여행을 시작하며...

 

 

07시 52분 - 모항해수욕장에서 시작...

 

모항해나루가족호텔쪽으로...

 

07시 54분 - 모항해나루가족호텔

 

모항해수욕장을 돌아보니...

 

 

 

 

 

 

07시 56분 - 모항해나루가족호텔 데크에서 바닷가로 내려가는 데크계단이 보이네...

 

 

 

조그만 해변백사장

 

 

08시 01분 - 모항포구 방향으로...

 

08시 02분 - 모항포구

 

 

 

08시 06분 - 모항경로당

 

 

08시 08분 - 모항갯벌체험장 방향으로...

 

 

 

 

 

 

08시 15분 - 모항갯벌체험장

 

클릭하면 확대됨.

 

 

 

 

08시 08분 - 마실길 3코스종점이자 4코스 시점인 모항

 

 

08시 19분 - 묶인 개가 짖고 있네...

 

묶인 개가 짖을 때 / 정일근

  

묶인 개가 짖는 것은 외롭기 때문이다

그대. 은현리를 지날 때

컹!컹!컹! 묶인개가 짖는다면

움찔 거리지도, 두려워 물러 서지도 마라

묶여서 짖는 개를 바라보아라, 개는

그대 발자국 소리가 반가워 짖는 것이다

 

목줄에 묶여보지 않은 사람은 모른다

세상의 작은 인기척에도

얼마나 뜨거워지는지 모른다

 

그 소리 구원의 손길 같아서

깜깜한 우물 끝으로 내려오는 두레박 같아서

온 몸으로 자신의 신호를 보내는 것이다.

그래서 묶인개는 짖는 것이다

 

젊은 한때 나도 묶여 산 적이 있다

그때 뚜벅뚜벅 찾아오는 발자국 소리에

내가 질렀던 고함 소리는 적의가 아니었다

내가 살아 있다는 불빛같은 신호였다

 

컹!컹!컹! 묶인 개가 짖는다면

쓸쓸하여 굳어버린 그 눈 바라보아라

묶인 개의 눈알에 비치는

깊고 깜깜한 사람 사는 세상 보아라.

 

 

 

클릭하면 확대됨.

 

 

 

08시 24분 - 

 

 

 

 

 

08시 27분 - 

 

신록에 내려앉은 햇살

 

 

 

08시 31분 - 

 

모항벌체험장

 

08시 35분 - 금강가족타운

 

08시 36분 - 

 

 

 

 

 

08시 42분 - 

 

08시 42분 - 

 

 

 

 

 

08시 44분 - 윤형철조망이 둘러처진 곳은?

 

 

변산춘란(보춘화)을 만나고...

 

춘란春蘭 / 보춘화
난초과에 속하는 상록다년초.

 

성격 식물, 꽃
유형 동식물
분류 난초과
학명 Cymbidium goeringii REICHB. fil
분야 과학/식물


식물학자들은 꽃이 일찍 피기 때문에 보춘화(報春花)라는 이름을 채택하고 있으나,

일반사람들은 보통 춘란이라고 부르고 있다.
학명은 Cymbidium goeringii REICHB. fil.이다.

 

희고 옆으로 주름진 뿌리가 길게 사방으로 퍼지고 중앙에서 잎이 모여 나온다.
잎은 선형이며, 길이 20∼50㎝, 너비 6∼10㎜로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까칠까칠한 톱니가 있으며, 3맥이 뚜렷하다.

 

이른 봄에 뿌리목으로부터 잎보다 훨씬 짧은 한 개의 화경이 나와서 끝에 한 개 때로는 두 개의 꽃이 달린다.
화경은 길이 10∼25㎝이며, 육질이고 막질의 엽초 같은 잎으로 둘러싸여 있다.
포(苞:꽃대의 밑을 받치고 있는 비늘 모양의 잎)는 엽초(葉鞘:잎깍지)같이 생겼으나 엽초가 없고 피침형이며,

길이 3∼4㎝로서 끝이 뾰족하다.

꽃은 지름이 4∼5㎝이고 연한 황녹색이며, 다소 향기가 있다.

꽃받침은 거의 비슷하게 생기고 다소 육질이며, 도피침형으로서 길이 3∼3.5㎝이며, 끝이 둔하지만 갑자기 뾰족해진다.

꽃잎은 서로 비슷하고 짧으며 난상피침형이다.
순판(唇瓣)은 꽃받침잎보다 다소 짧고 흰빛이며 짙은 적자색 반점이 있고,
안쪽은 울퉁불퉁하며 중앙에 홈이 있고 끝이 뚜렷하지 않게 세 개로 갈라지며 끝은 뒤로 말린다.

 

중앙열편은 크고 입술처럼 생겼으며, 예주(蕊柱)는 길이 15㎜ 내외이다.
열매는 길이 5㎝ 정도로서 곧추 서고 밑으로 내려갈수록 가늘어져서 길이 5∼6㎝의 대로 된다.

 

많은 품종이 개발되어 있다.

우선 잎에 대한 변이로써 명명된 대표적인 종류로는 선반(先斑)·산반(散斑)·축입(蹴込) 등을 들고 있다.
선반은 잎 끝에 짧은 선들이 모인 것이다.
따라서, 잎 끝이 하얗게 보이며 녹색이 그 속으로 들어가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산반은 기부에서 잎 끝으로 무늬가 드는 것과는 반대로

잎 끝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명주실같이 곱고 섬세한 짧은 선들이 들어가 있는 무늬를 말한다.
선반과는 달리 무늬가 길고 깊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축입은 굵고 짧은 선이 불규칙하게 잎 끝에서 밑을 향하여 넓게 퍼져 있는 무늬를 말한다.

꽃색의 변이에 의한 품종개발도 많이 이루어졌다.
일본에서는 붉은 색과 황색, 중국에서는 담취색·담황녹색·담취녹색·녹황색·황녹색 등이 개발되었다.

우리 나라에서는 주금색이 개발되었는데 이것은 일본에서도 개발된 것이다.
붉은 빛이 도는 계통은 주색·적색·주금색 및 주황색 등으로 구분한다.
노랑꽃 계통으로 고정된 것은 레몬색·카나리아색에 포함된 색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황화의 산채는 극히 드물었다고 한다.
이것은 황색과 섞인 녹색이 너무 강하기 때문인지 황색소가 너무 강한 탓인지 알 수 없으나,
양자의 분리에는 학문적인 규명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우산나물

 

08시 51분 - 

 

 

 

 

08시 55분 - 산림휴양관

 

 

클릭하면 확대됨.

 

클릭하면 확대됨.

 

 

 

09시 01분 - 

 

 

 

09시 07분 - 

 

 

 

해장죽(신우대)가 있는 곳을 지나고...

 

해장죽

 

해장죽海藏竹

볏과의 상록성 식물.

줄기의 높이는 6~7미터이며, 마디의 사이가 길고, 잎은 좁은 피침 모양이다.
5월에 보라색의 잔꽃이 잎겨드랑이에 원추(圓錐) 화서로 피고 열매는 긴 타원형의 영과(穎果)로 가을에 익는다.
줄기는 낚싯대, 지팡이로 쓰고 죽순은 식용한다.
일본이 원산지로 바닷가나 촌락 부근에서 자라는데 우리나라 남부 지방에 분포한다.

 

 

 

해장죽[海藏竹]
화본과의 다년생 대나무.

 

학명 Arundinaria simonii
계 식물
문 속씨식물
강 외떡잎식물
목 벼목
원산지 일본
크기 높이 6 m, 지름 1∼3 cm

 

일본 원산이다.

땅속줄기에서 원대가 나와서 높이 6 m, 지름 1∼3 cm로 자라고 마디가 다소 길며 처음에는 흰가루로 덮인다.
마디에 눈이 1개씩이지만 가지가 갈라짐으로써 가지가 많이 나온 것같이 보인다.
초상엽(鞘狀葉)은 떨어지지 않고 잎은 가지 끝에 모여 달리며 길이 15∼30 cm, 나비 1∼3 cm로 견모(肩毛)는 떨어지지 않는다.
작은이삭은 길이 2∼7 cm이고 2개의 포가 있으며 피침형이고 5∼11개의 작은 꽃으로 구성된다.
포영은 길이 11∼16 mm이고 녹색 또는 연한 자줏빛이 돈다.
수술은 3개, 꽃밥은 길이 7 mm이며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진다.

 

[출처 : 두산백과]

 

해장죽터널을 지나...

 

대나무의 분류


전세계에 400여 종류가 분포하며 한국에는 왕대속·해장죽속·조릿대속·이대속의 4속이 있다.

 

⑴ 왕대속(Phyllostachys):

잎집이 일찍 떨어지며 수술은 3개이고

높이 10~30m, 지름 3~20cm로서 줄기가 대형이며 눈은 각 마디에 2개씩 난다.

세계적으로 40여 종이 있는데 주로 중국과 인도에 많이 분포하고 일본 ·유럽 ·북아메리카에도 있으며,

한국에는 중부 이남에서 죽순대 ·오죽 ·솜대 ·반죽 ·관암죽 ·왕대의 6종류가 자란다.

 

죽순대(P. pubescen)는 높이 10~20m, 지름 20cm 정도이며

처음에는 녹색으로 털이 있으나 황록색으로 된다.

중국 원산이고 죽순은 식용한다.

 

오죽(P. nigra)은 줄기가 처음에는 녹색이나 다음해부터 검기 시작하여 완전히 흑색이 되고

높이 3~20m, 지름 2~5cm로서 곧게 자란다.

꽃은 6~7월에 피고 수상꽃차례로 길이 2.5~3cm의 타원형이고 자록색이다.

약 60년 주기로 개화, 결실한 후 죽는다.

우산 ·부채 ·책상 ·서가 등의 죽세공재로 많이 이용한다.

중국 원산이다.

 

솜대(P. nigra var. henonis)는 오죽의 변종으로 줄기는 높이 10m 이상, 지름 5~8 cm이며

처음은 흰분으로 덮였다가 황록색으로 된다.

약 60년 주기로 개화, 결실 후 죽는다.

적갈색의 연한 죽순은 식용하고 죽력(竹瀝)은 약용으로 이용되며 큰 줄기는 건축과 죽세공재로 쓴다.

중국 원산이다.

 

반죽(P. nigra for. punctata)은 오죽의 품종으로 줄기는 높이 10m 내외이고

환경에 따라 색이 다르며 황색 바탕에 흑색 반점이 있다.

꽃은 6~7월에 원추꽃차례로 피며 많은 작은꽃이삭이 촘촘히 달린다.

약 60년 주기로 개화, 결실 후 죽는다.

죽세공재와 지팡이로 쓰이고 관상용이다.

 

관암죽(P. comprossa)은 가지의 첫마디가 편편하게 눌려져 있고 초상엽에 잔털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꽃은 원추꽃차례로서 작은꽃이삭이 여러 개 달린다.

 

왕대(P. bambusoides)는 높이 10~30m, 지름 5~13cm이나

추운 지방에서는 높이 3m, 지름 1cm밖에 자라지 못한다.

죽순은 식용 ·약용하고 건축 ·죽세공재로 사용한다.

중국 원산이다.

 

⑵ 해장죽속(Arundinaria):

잎집이 오랫동안 떨어지지 않고 눈은 각 마디에 가지가 3개 이상 나오며

높이 0.5~7m, 지름 2~30mm로서 중형이고 수술은 3개이다.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의 온대 지역에 150여 종이 분포하고 한국에는 중부와 남부에 해장죽 1종이 자란다.

해장죽(A. simonii)은 높이 6~7m, 지름 1~3cm로서 마디가 긴 편이며, 처음에 덮여 있던 흰분은 점차 없어지고 녹색이다.

꽃은 5월에 피고 원추꽃차례로서 작은꽃이삭에 5~14개가 달리고 꽃자루에 털이 있다.

죽순은 식용하고 부채와 낚싯대를 만드는 데 사용한다.

 

⑶ 조릿대속(Sasa):

잎집에는 부드럽거나 딱딱하고 긴 털이 있으며 꽃이삭의 자루가 길고

수술은 3개 또는 6개, 높이 0.3~5m, 지름 2~15mm로서 소형이다.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에 200여 종이 분포하고,

한국에는 충청북도와 평안북도를 제외한 전역에 고려조릿대 ·섬조릿대 ·제주조릿대 ·조릿대 ·갓대 ·섬대의 6종류가 자란다.

 

고려조릿대(S. coreana)는 한국 특산종으로 뿌리줄기는 짧고 엉켜서 벋으며 마디 사이가 짧으면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섬조릿대와 비슷하나 잎이 보다 작고 가지가 많이 나는 것이 다르다.

잎은 약용에 쓰이고 관상용이다.

 

섬조릿대(S. kurilensis)는 높이 2~5m, 지름 4~6mm이고 줄기와 포에 털이 없다.

꽃은 5~6년마다 봄에 복총상꽃차례[複總狀花序]로 피고 3~4년생 곁가지에 달린다.

죽순은 식용한다.

 

제주조릿대(S. quelpaertensis)는 한국 특산종으로 줄기는 높이 10~80cm, 지름 3~4mm로서 모여나고

마디가 도드라지며 털이 없고 녹색인데 마디 주위는 약간 자주색이다.

열매는 식용하고 관상용이다.

 

조릿대(S. borealis)는 높이 1~2m, 지름 3~6mm이다.

꽃은 4월에 복총상꽃차례로 피고 작은꽃이삭에는 2~5개의 자주색 꽃이 달리며 밑부분에 2개의 포가 있다.

열매는 식용하고 잎은 약용에 쓰이며 줄기는 조리를 만든다.

 

갓대(S. borealis var. chiisanensis)는 한국 특산종으로 줄기는 높이 1~3m로서

처음에 털이 있다가 없어지고 중간 윗부분에서 2~3개로 갈라진다.

마디 사이의 윗부분이 털과 흰가루로 덮이고 잎집은 밑부분에만 잔털이 있다.

조릿대와 비슷하나 외영 끝이 까락처럼 되는 것이 다르다. 조리를 만드는 데 쓰인다.

 

섬대(S. borealis var. gracilis)는 기주조릿대라고도 한다.

줄기는 높이 20~60cm, 지름 2~3mm이며 흰가루로 덮여 있다가 없어지고 자주색을 띤다.

꽃은 총상꽃차례로서 길이 1~2cm인 작은꽃이삭에 3~6개의 자주색 꽃이 달리고

기부에 있는 2개의 포는 자주색이면서 털이 있다.

잎은 약용으로 쓰인다.

 

⑷ 이대속(Pseudosasa):

남부의 산기슭이나 평지에 군생하며 관상용으로도 심는다.

2년째에는 각 마디마다 1개씩 가지가 나온다.

땅속줄기의 끝에서 거친 털이 난 껍질에 싸여 새순이 나온다.

껍질은 마디 사이보다 길다.

잎은 길이 약 30cm이며 혁질이다.

늦은봄에서 여름에 개화하며 재식종은 부분개화를 한다.

이대 ·자주이대 2종류가 있다.

 

이대(P. japonica)는 높이 2~5m, 지름 5~15mm로서 털이 없으며 중간 윗부분에서 5~6개의 가지가 나온다.

죽순은 식용하고 줄기는 낚싯대 ·부채 ·발 ·화살 ·담뱃대 및 죽세공재로 사용한다.

 

자주이대(P. japonica var. purpurascens)는 이대의 변종으로 줄기는 높이 1~3m, 지름 5~8mm로서 자주색을 띤다.

꽃은 원추꽃차례로서 여름에 피고 작은꽃이삭에 10여 개의 꽃이 달린다.

죽순은 식용하고 줄기는 죽세공재로 사용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대나무의 분류 (두산백과)

 

 

 

 

 

 

 

 

 

마동방조제로 가려면 건너편으로 가야하는데...

 

 

09시 16분 - 해장죽숲으로 난 길을 따라 올라보는데...

우회로를 내놓은 줄 알고 올랐는데...

 

묘지로 가는 길이었다.

 

09시 21분 - 다시 되돌아와서...

 

 

09시 23분 - 길이 이어서...

 

 

 

09시 24분 - 마동방조제에 도착...

 

 

 

마동방조제를 따라...

 

 

 

 

 

 

09시 33분 - 마동방조제를 건너와서...

 

 

 

☞ 여기서 '변산여행-부안마실길 5코스 모항해수욕장에서부터 6코스를 걷고 14코스 중 내소사까지 이어걷기를 다녀오다' - 1부를 마치고...

  

 

2015년 04월 04일(토)

 맥가이버의 '변산여행-부안마실길 5코스 모항해수욕장에서부터 6코스를 걷고 14코스 중 내소사까지 이어걷기'를 다녀오다
 
-▥☞ 1부[모항해수욕장→해나루가족호텔→모항포구→모항갯벌체험장→쌍계재→마동방조제]는 여기를 클릭.☜▥-
 
-▥☞ 2부[마동방조제→도롱골→작당마을→왕포마을→운호방조제→휘목미술관→운호마을→노돌고개]는 여기를 클릭.☜▥-
 
-▥☞ 3부[노돌고개→석포삼거리→내소사 탐방안내소→내소사 일주문→내소사 대웅전→전나무숲화장실]는 여기를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