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행·등산사진후기☞/♤ 전라도의 산&길

[20150404]변산여행-내변산 우중산행(내소사-관음봉삼거리-재백이고개-직소폭포-월명암-남여치) - 2부

by 맥가이버 Macgyver 2015. 4. 6.

 

31389

 

 

2015년 04월 04일(토)

 '변산여행 - 내변산 우중산행(내소사-관음봉삼거리-재백이고개-직소폭포-월명암-남여치-지서리)'을 다녀오다.
 

 

 

 맥가이버의 '변산여행-내변산 우중산행(내소사-관음봉삼거리-재백이고개-직소폭포-월명암-남여치-지서리)' 이야기

 

  '변산여행-내변산 우중산행(내소사-관음봉삼거리-재백이고개--직소폭포-월명암-남여치-지서리)' 코스

 

내소사전나무숲화장실→관음봉삼거리→재백이고개→재백이다리→직소폭포→선녀탕→직소보 전망대→직소보다리→월명암→남여치→지서삼거리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이번 여행은 3일간의 일정으로 좋은 님들과 함께 아름다운 길을 걸어보고자 계획한 것이다.
주요코스는 새만금전시관에서부터 부안(변산)마실길을 따라 걷는 것이고, 차량회수를 위해 내변산 산행을 하고 원점회귀하여,
귀경길에 새만금방조제를 따라 군산 신시도에 들러 군산구불길 7코스 걷기와 월영봉ㆍ대각산 산행을 하는 여정이다.
 
1일차 진행은 새만금전시관에서 부안변산마실길 1코스부터 걷기 시작하여 5코스 모항해수욕장까지 걸은 후 1박하고,
 
2일차 진행은 5코스 모항해수욕장에서부터 6코스를 걷고, 이어서 12코스 중 내소사까지만 걷고,
내소사를 탐방 후 내변산 산행(내소사 에서 남여치까지)을 하고, 변산면 지서삼거리까지 이동하여 2박을 하고,
 
3일차 진행은 지서삼거리에서 변산해수욕장까지 걷고, 부안마실길 12코스 중 묵정마을(바지락죽촌)까지 걸은 후,
새만금전시관으로 원점회귀하여 차량을 회수하고 새만금방조제를 따라 신시도주차장에 도착하여,
군산구불길 7코스와 월영봉ㆍ대각산 산행을 혼합하여 걷고 신시도주차장으로 원점회귀하며 모든 여정을 마치고 귀경한다.
 
2일차 내변산 산행(내소사~남여치)은 때마침 내린 단비를 맞으며 산행내내 우중산행을 하였고,
3일차 군산 신시도 월영봉ㆍ대각산 산행도 시작부터 비를 맞으며 우중산행을 하게 되었다.
 
이번 3일간의 걷기를 하며 찍은 1500여장의 사진을 가지고 변산여행은 4편 11부작으로, 군산여행은 1편 2부작으로 정리를 하였다. 
 
☞ 맥가이버의 '변산여행-내변산 우중산행(내소사-관음봉삼거리-재백이고개--직소폭포-월명암-남여치-지서리)'을 다녀오다
자세한 이야기는 맥가이버의 블로그 사진후기로 대신한다.
 

 

 
누군가가 '누우면 죽고, 걸으면 산다(臥死步生)'고 했다.
맥가이버는 '산 따라 강 따라 길 따라' 걷는 것을 죽고사는 차원이 아닌 즐기는 차원에서 걷는다.
즉, 좋은 길을 걷다가 새로운 환경이나 상황, 사람을 만나면서 알게 되고, 느끼고, 감동 받고, 깨닫는 것을 즐긴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모든 만남은 걷고 있을 때 이루어진다'라는 말이 있는데,
길을 걷다보면 새로운 풍광을 보게 되고, 새로운 사람을 만나게 되고, 새로운 경험을 하고, 새로운 것을 알게 된다.
 

 

 
맥가이버가 '때론 함께, 때론 홀로' 산행이나 여행, 도보를 하면서 후기를 주로 사진으로 작성함은
인간의 만남이 또한 유한함을 알기에 어떤 연유로 비록 언젠가 헤어지더라도 추억 속에서 함께 하고자 함이고,
또 하나 이유가 있다면 걸으면서 보고 느낀 것을 글로 다 표현치 못하는 무능함에 있습니다.
그리고 한 가지를 더 든다면 누군가가 같은 길을 걷고자 할 때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입니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 '변산여행-내변산 우중산행(내소사-관음봉삼거리-재백이고개--직소폭포-월명암-남여치-지서리)'을 다녀오다 - 2부를 시작하며...

 

 

15시 31분 - 직소보 전망대에서...

 

 

 

 

 

 

15시 33분 - 월명암을 향해...

 

 

 

 

15시 33분 - 

 

15시 34분 - 직소보다리를 건너...

 

 

 

 

 

 

15시 48분 - 

 

 

 

15시 49분 - 

 

 

 

 

15시 53분 - 

 

 

 

 

 

15시 59분 - 

 

 

 

 

16시 06분 - 

 

 

 

 

16시 10분 - 

 

 

16시 11분 - 월명암까지는 아직도 1.2km

 

 

 

 

 

 

16시 12분 - 

 

 

 

 

 

16시 16분 - 

 

 

 

 

16시 21분 - 잠시 휴식...

 

16시 24분 - 다시 출발...

 

 

 

 

16시 31분 - 남여치까지는 2.0km

 

16시 33분 - 월명암 0.4km

 

 

 

 

 

16시 38분 - 기이한 모습의 나무

 

 

16시 38분 - 남여치 2.2km남았다고...이정표마다 다른 거리 체계...7분 전에 남여치 2km지점을 통과했었는데...

 

16시 38분 - 월명암 사적기와 부설전 안내문이...

 

클릭하면 확대됨.

 

월명암[月明庵]
전북 부안군 산내면 중계리 변산 쌍선봉에 있는 절.

 

유형 유적
시대 고대/남북국
성격 절, 암자
건립시기·연도 691년(신문왕 11)
소재지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 96-1

 

정의
전라북도 부안군 산내면 중계리 변산 쌍선봉(雙仙峰, 妙寂峰)에 있는 절.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 본사인 선운사(禪雲寺)의 말사이다.

691년(신문왕 11) 고승 부설(浮雪)이 창건하였다.

조선 선조 때의 고승 진묵(震默)이 중창하여 17년 동안 머물면서 많은 제자들을 양성하였고,

1863년(철종 14) 성암(性庵)이 중건하였다.

1908년에 불탄 것을 1915년에 학명(鶴鳴)이 중건하였고, 1956년에는 원경(圓鏡)이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전국에서 몇 안 되는 산상무쟁처(山上無諍處)의 한 곳으로 대둔산 태고사(太古寺), 백암산 운문암(雲門庵)과 함께

호남지방의 3대 영지(靈地)로 손꼽히는 곳이며, 봉래선원(鳳萊禪院)이 있어서

근대의 고승인 행암(行庵)·용성(龍城)·고암(古庵)·해안(海眼)·소공(簫空) 등이 수도한 참선도량으로 유명하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정면 5칸, 측면 3칸의 인법당(因法堂)을 비롯하여 산신각(山神閣)·운해당(雲海堂)·수각(水閣)·요사채 등이 있다.

부속 암자로는 쌍선봉 쪽으로 약 100m 거리에 있는 묘적암(妙寂庵)이 있다.

이 중 운해당과 묘적암, 요사채는 최근에 주지 종흥(宗興)이 신축 또는 중수한 것이다.

특기할 만한 문화재는 없으나 묘적암 위쪽에 있는 2기의 부도(浮屠)가 주목된다.

사찰측에서는 이부도 중 왼쪽에 있는 석종형 부도가 부설의 사리탑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

 사실 여부는 알 수 없지만, 「부설전(浮雪傳)」에는 그가 죽은 뒤에 다비하여 사리를 묘적봉 남쪽 기슭에 묻었다는 기록이 있다.

절의 앞쪽으로는 의상봉(義湘峰)과 가인관음봉(佳人觀音峰) 등의 암봉들이 아름다움을 다투고 있고,

법왕봉(法王峰)에 올라 바라보는 일몰 광경이 빼어나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클릭하면 확대됨.

 

부설전[浮雪傳]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 월명암에 소장되어 있는 작자 미상의 불교 소설.

 

지정종목 시도유형문화재
지정번호 전북유형문화재 제140호
지정일 1992년 06월 20일
소장 월명암
종류/분류 필사본류
소재지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 산 96-1
 
1992년 6월 20일 전라북도유형문화재 제140호로 지정되었다.
월명암에 소장된 한문 필사본 1책이 현재 남아 있는 유일한 것이다.
월명암을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는 부설거사(浮雪居士)의 이야기를 소설화하였다.

 

내용을 보면,

신라 진덕여왕 때 진광세(陳光世)라는 영리한 아이가 있었다.

일곱살 때 법문에 통달하여 법명을 부설, 자를 의상(宜祥)이라 하였다.

지금의 변산에 묘적암을 짓고 수도에 힘썼다.

친구인 영조, 영희와 함께 오대산으로 구도의 길을 떠났다가 구무원(仇無怨)의 집에 머르게 되었다.

주인에게는 묘화(妙花)라는 딸이 있었는데, 부설의 설법을 듣고는 그와 평생을 같이하려 하였다.

부설은 자비보살의 마음으로 묘화와 결혼하여 살게 되었다.

그뒤 남매 등운(登雲)과 월명(月明)을 두었다.

남매를 부인에게 맡기고 수도에 전념하여 5년 만에 크게 깨우쳤다.

오대산으로 떠났던 영조와 영희가 수도를 마치고 돌아가는 길에 부설을 찾아왔다.

세 사람은 공부와 수도의 깊이를 알아보기 위해 물병 세 개를 달아놓고 하나씩 쳤는데, 부설의 병만 깨지지 않고 그대로 있었다.

부설의 깨달음이 두 사람보다 컸던 것이다.

부설은 입적하였고 두 자녀도 수도하여 열반하였다.

이 부설전 외에 설화도 구비로 전해온다.

 

한지 7장 1면으로, 총 15면이며 모필로 적었다.

1면은 10행이고, 매행 14자로 총 2,616자이다.

서체는 행서체(行書體)인데, 페이지 중간에 관인(官印) 또는 사인(寺印)으로 추정되는 날인이 있다.

 

[출처 : 두산백과]

 

 

 

부설전[浮雪傳]
작자, 연대 미상의 불교소설.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40호.전북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 월명암 소장.

 

유형 작품
시대 조선
성격 불교소설
수량 1책
작가 미상
지역(소장처·전승지) 월명암

 

정의 

작자·연대 미상의 불교소설.

 

개설
1책. 한문필사본. 변산 월명암(月明庵) 소장본이 현재로서는 유일본이다.
월명암의 초창자인 부설거사(浮雪居士) 일가의 성도담(成道譚)을 승전형식(僧傳形式)으로 소설화한 것이다.

 

내용
신라 진덕여왕 즉위 초 왕도(王都) 남내에 진광세(陳光世)라는 아이가 있었는데, 영리하고 비범하였다.
다섯 살에 불국사 원정선사(圓淨禪師)의 제자가 되어 일곱 살에 이미 법문에 깊이 통달하였다.
법명을 부설, 자를 의상(宜祥)이라 하였다.

구도생활에 전념한 끝에 능가(楞迦: 지금의 변산)법왕봉 아래 묘적암(妙寂庵)을 짓고, 영조(靈照)·영희(靈熙) 등과 함께 수도에 힘썼다.
그런 뒤 세 사람은 문수도량인 오대산으로 구도의 길을 떠났다.
도중 두릉(杜陵)의 구무원(仇無怨)의 집에서 잠시 머물며 법문을 가르쳤다.
주인에게 묘화(妙花)라는 딸이 있었는데, 부설의 설법을 듣고는 죽기를 한하고 그와 평생을 같이 하려 하였다.

출가한 몸인 부설로서는 애욕에 미혹될 처지는 아니었으나, 자비 보살의 정신으로 묘화와 혼인하고 머물러 살게 되었다.
두 벗은 부설을 남겨두고 오대산으로 떠났다.
세속에 머물러 수도하기 15년 동안 부설은 등운(登雲)·월명(月明) 남매를 두었다.
두 자녀를 부인에게 맡기고 자기를 병부(病夫)라 일컫고는 수도에 전념하여 5년 만에 크게 깨쳤다.

옛 벗 영조·영희가 오랜 수도를 마치고 돌아가는 길에 부설을 찾아왔다.
세 사람은 서로 공부의 성숙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물병 세 개를 달아놓고 각자 하나씩 쳤다.
두 벗의 병은 깨어지면서 물이 흘러내렸으나 부설의 병은 깨졌지만 물은 그대로 공중에 달려 있었다.
속세에 머물러 수도한 부설의 깨달음이 출가수도한 두 벗을 앞질렀던 것이다.

그러고 나서 부설은 선악(仙樂)이 울리는 가운데 입적하였다.
두 자녀도 수도하여 열반하였고, 아내 묘화는 110세를 누렸다.
산문의 석덕(碩德: 덕이 높은 중)들이 두 자녀의 이름으로 암자를 지어 지금까지 등운암과 월명암으로 불려온다.

 

의의와 평가
이 「부설전」 외에 부설에 관한 설화도 전승되고 있다.
일련의 부설설화가 문자로 정착되면서 승전형식의 「부설전」으로 정리되는 한편, 구비로도 전승되어 온 것이다.
「부설전」은 단순한 재가성도담(在家成道譚)이 아니라 대승적 보살사상의 구현을 사상적 기반으로 한 본격적인 불교소설이라 할 수 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걸림없이 살 줄 알라.

 

클릭하면 확대됨.

 

걸림없이 살 줄 알라

 

유리하다고 교만하지 말고 불리하다고 비굴하지 말라
자기가 아는대로 진실만을 말하며 주고 받는 말마다 악을 막아 듣는 이에게 편안과 기쁨을 주어라
무엇을 들었다고 쉽게 행동하지 말고 그것이 사실인지 깊이 생각하여 이치가 명확할 때 과감히 행동하라
지나치게 인색하지 말고 성내거나 미워하지 말라
이기심을 채우고자 정의를 등지지 말고 원망을 원망으로 갚지 말라
위험에 직면하여 두려워 말고 이익을 위해 남을 모함하지 말라
객기 부려 만용하지 날고 허약하여 비겁하지 말며

사나우면 남들이 꺼려하고 나약하면 남이 업신여기나니
사나움과 나약함을 버려 지혜롭게 중도를 지켜라
벙어리처럼 침묵하고 임금처럼 말하며 눈처럼 냉정하고 불처럼 뜨거워라
태산같은 자부심을 갖고 누운 풀처럼 자기를 낮추어라
역경을 참아 이겨내고 형편이 잘 풀릴 때를 조심하라
재물을 오물처럼 볼 줄도 알고 터지는 분노를 잘 다스려라
때와 처지를 살필 줄 알고 부귀와 쇠망이 교차함을 알라
이것이 지혜로운 이의 삶이니라

 

[잡보장경]

 

클릭하면 확대됨.

 

 

16시 40분 - 월명암

 

 

 

 

월명암[月明庵]
전북 부안 변산에서 세 번째로 높은 쌍선봉(498m) 근처에 위치한 절.

 

행정구역상으로 전북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에 속하는 산상의 절로서 통일신라 신문왕11년(691) 부설거사(浮雪居士)가 창건했다.

월명암이라는 절 이름은 부설거사의 딸 이름에서 유래된다.

 

부설거사가 창건한 월명암은 신라 때 의상대사가, 조선조에는 선조26년(1592)에 진묵대사(震默大師)가 중창,

철종14년(1863)에 성암화상(性庵和尙)이, 1915년에는 학명선사(鶴鳴禪師)가 4창(四創)했다.

그 뒤, 한국전쟁으로 소실되고 용성ㆍ고암ㆍ서옹ㆍ해안 등 고승대덕이 머물렀으며

1956년에 원경(圓鏡)선사가 5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소태산대종사의 월명암 방문은 1919년(원기4) 봄과 초겨울 일경에 두 차례나 체포되었다가 풀려난 직후에 이루어졌다.

길룡리 간석지 방조제 공사가 마무리될 즈음에 전국이 만세 운동으로 들끓자

소태산은 경찰에 연행되는 수난을 당하면서 수양 보림하면서 장차 새 회상의 창립을 준비했다.

소태산은 월명암에서 선풍을 떨치는 백학명을 만나 교유하고,

정산종사는 백학명 문하에 2년간 명안(明眼)이라는 법명으로 상좌생활을 하면서 불교의 예법과 제도를 연구했다.

실상동 봉래정사와 약 4㎞의 거리에 있다.

월명암에 전하는 전북지방문화재 《부설전(浮雪傳)》이 부안면에 위탁 관리되고 있다.

 

[출처 : 원불교대사전, 원불교100년기념성업회]

 

 

운무에 싸인 월명암 대웅전

 

 

16시 43분 - 

 

붉노랑상사화

 

붉노랑상사화[─相思花]
외떡잎식물 백합목 수선화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Lycoris aurea
계 : 식물
문 : 속씨식물
강 : 외떡잎식물
목 : 백합목
분포지역 : 한국(제주·전남·충남)·일본·타이완·중국
서식장소/자생지 : 산과 들의 따뜻한 곳
크기 : 꽃줄기 높이 약 60cm, 줄기 지름 5∼6cm

 

개상사화라고도 한다.

산과 들의 따뜻한 곳에서 자란다.
나무껍질은 검은빛을 띤 갈색이다.

비늘줄기는 둥근 모양이고 지름 5∼6cm이다.
잎은 뭉쳐나고 넓은 줄 모양이며 끝이 뭉뚝하고 잿빛을 띤 푸른빛이다.
잎 길이 30∼60cm, 나비 12∼18mm이고 두꺼우며 앞면은 윤이 난다.

 

꽃은 잎이 진 뒤인 7∼8월에 꽃줄기가 나와 핀다.
빛깔은 황금색이고 산형꽃차례로서 잎 사이에서 나온 높이 60cm 정도의 꽃줄기 끝에 5∼10송이가 한쪽을 향해 핀다.
총포조각은 달걀 모양 바소꼴로 길이 12∼45mm이다.

꽃자루는 짧고 작으며 밑에 바소꼴의 포가 있다.
화피조각은 6개로서 넓은 줄 모양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4.5∼6cm이다.

 

수술은 6개이고 약간 길게 나오며 암술은 1개이다.
씨방은 하위(下位)로서 3실이고 녹색이다.
열매는 삭과로서 원기둥 모양이며 9월에 익는다.

관상용으로 정원에 심는다.
한국(제주·전남·충남)·일본·타이완·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출처 : 두산백과]

 

 

 

 

 

16시 46분 - 

 

 

 

16시 52분 - 

 

 

16시 53분 - 

 

 

16시 56분 - 

 

 

 

 

17시 04분 - 

 

 

 

 

 

 

 

17시 16분 - 

 

 

 

17시 27분 - 

 

17시 27분 - 내변산 우중산행을 무사히 마치고 남여치에 도착...

 

클릭하면 확대됨.

 

클릭하면 확대됨.

 

변산면 지서리를 향해...

 

17시 30분 - 남여치 월명암 표석에서...

 

17시 32분 - 변산면 지서삼거리를 향해...

 

 

 

 

17시 40분 - 

 

 

 

 

 

 

 

 

 

 

17시 56분 - 

 

 

18시 01분 - 변산초교

 

 

18시 03분 - 지서삼거리에 도착하여...

 

18시 04분 - 이곳에서 저녁식사를 하고 아침식사도 주문...

 

 

☞ 이것으로 '변산여행-내변산 우중산행(내소사-관음봉삼거리-재백이고개--직소폭포-월명암-남여치-지서리)'을 다녀오다를 마친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2015년 04월 04일(토)

 맥가이버의 '변산여행-내변산 우중산행(내소사-관음봉삼거리-재백이고개--직소폭포-월명암-남여치-지서리)'을 다녀오다
 
-▥☞ 1부[내소사 전나무숲화장실→관음봉삼거리→재백이고개→직소폭포→선녀탕→직소보 전망대]는 여기를 클릭.☜▥-
 
-▥☞ 2부[직소보 전망대→직소보다리→월명암→남여치→변산소방서→변산초교→지서삼거리]는 여기를 클릭.☜▥-
 

"내가 꿈★을 이루면 그 꿈은 또다른 이의 꿈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