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나물(노랑매미꽃, 여름매미꽃)
피나물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양귀비과의 여러해살이풀.
'노랑매미꽃'이라고도 한다.
학명 Hylomecon vernale
계 식물
문 속씨식물
강 쌍떡잎식물
목 양귀비목
분포지역 한국(경기 이북), 중국 만주, 헤이룽강, 우수리강
서식장소/자생지 숲속
크기 높이 약 30cm
여름매미꽃·하청화·노랑매미꽃이라고도 한다.
숲속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짧고 굵으며 여기서 잎과 꽃줄기가 나와서 높이 30cm 내외로 자라고 자르면 노란빛을 띤 붉은색 유액이 나온다.
잎은 깃꼴겹잎이고 작은잎은 넓은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불규칙고 깊게 패어진 톱니가 있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잎자루가 길고 줄기에서는 어긋나며 5개의 작은잎으로 되어 있다.
꽃은 양성화로 4∼5월에 피고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산형꽃차례에 1∼3개의 꽃이 달린다.
꽃자루는 길고 끝에 꽃이 1개씩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2개이고 꽃잎은 4개이며 윤기가 나는 노란색이다.
수술은 여러 개이다.
열매는 삭과로서 7월에 익는데, 좁은 원기둥 모양이며 길이 3∼5cm이고 많은 종자가 들어 있다.
풀 전체를 약용하고, 독성이 있으나 봄에 나물로 하기도 한다.
한국(경기 이북), 중국 만주, 헤이룽강, 우수리강 등에 분포한다.
출처 : 두산백과
노랑매미꽃
학명 Hylomecon vernalis Maxim.
생물학적 분류 피자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양귀비과
특징적 분류 약용식물
분포지역 한국
크기와 너비 크기 30cm
꽃특징 야생화
용도 관상용
종류 식용식물, 독성식물
특징 :
노랑매미꽃은 우리나라 중부 이북 숲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특성은 반그늘이며 주변에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자란다.
키는 약 30㎝ 정도 되고, 잎은 줄기 아래에 난 것은 크고 깃 모양이며,
윗부분의 잎은 작은 잎이 3~5장 정도 달리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선명한 황색이고 원줄기 끝의 잎겨드랑이에서 1~3개의 긴 꽃줄기가 나오고 끝에 한 송이씩 달린다.
열매는 6~7월경에 길이는 3~5㎝, 직경이 3㎜ 정도로 뾰족하게 달리고 안에는 많은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를 자르면 붉은색 액체가 나오기 때문에 “피나물”이라고도 한다.
주로 관상용으로 쓰이며 어린잎은 식용(유독성 식물임), 전초는 약용으로도 쓰인다.
심는 방법관리법 :
화분이나 물기가 많은 화단에 심는다.
잎이 많은 식물이기 때문에 관수를 많이 해 주어야 한다.
특히 자생지 조건을 보면 주변습도가 높은 곳과 물기가 많은 곳에서 자라기 때문이다.
번식법 :
6~7월에 달리는 종자를 바로 화분이나 화단에 뿌리거나 종자를 종이에 싸서 냉장보관 후 가을이나 봄에 뿌리고,
가을이나 이른 봄에 뿌리를 잘라 포기나누기를 한 후 뿌리가 발달되면 옮겨 심는다.
출처 : 야생화도감(봄)
피나물 [Hylomecon vernale]
노랑매미꽃, 여름매미꽃이라고도 함.
양귀비과(楊貴妃科 Papav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중부지방의 산지나 북부지방의 산간지역 그늘진 습한 곳에서 잘 자란다.
옆으로 기는 굵은 뿌리줄기를 가져 영양번식으로 무리를 지어 집단을 형성하며 뿌리는 길고 가늘다.
뿌리줄기에서 길이가 30~50㎝인 줄기와 잎이 나온다.
노란색의 꽃은 4월말에서 5월초에 걸쳐 원줄기 끝의 잎겨드랑이에서 1~3개씩 핀다.
꽃받침잎 2장, 꽃잎 4장이 십자형으로 배열된다.
암술은 1개이지만 암술머리는 2개로 나누어져 있고, 수술은 매우 많다.
여름이 되면 잎과 줄기는 없어지고 열매를 맺는데 열매는 무 열매처럼 긴 삭과(蒴果)이다.
피나물속(―屬 Hylomecon)에는 한국을 중심으로 일본·중국·만주 등지에 분포하는
3~4종(種)의 동북아시아 특산식물이 있지만 학자에 따라 이들을 애기똥풀속(Chelidonium)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피나물과와 비슷한 종류로는 1935년 일본학자 나가이에 의해
한국 특산으로 설정된 매미꽃(H. hylomeconoides)이 있는데 이것은 외형적으로 꽃대가 따로 올라와 있다.
최근 꽃가루의 형태 연구결과로 매미꽃은 피나물속이며 애기똥풀속과는 다른 식물임이 입증되었다.
연한 줄기와 잎을 꺾으면 피[血]와 비슷한 적황색의 유액이 나와 피나물이란 이름이 붙게 되었다.
식물체 전체에 약한 독성이 있지만 어린 것은 삶아서 나물로 먹고,
한방에서는 뿌리를 하청화근(荷靑花根)이라 하여
외상을 입은 부위에 붙이거나 환약으로 만들어 복용하여 신경통·관절염 등을 치료한다.
꽃 모양이 아름다워 이른봄 정원의 화초로 좋으며 번식은 포기나누기로 한다.
李相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