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고 싶어요☞/♧ 동물 · 식물

투구꽃 - '독의 여왕' '계모의 독' '악마의 뿌리'라 불리는 투구꽃

by 맥가이버 Macgyver 2015. 9. 20.

투구꽃 - '독의 여왕' '계모의 독' '악마의 뿌리'라 불리는 투구꽃 

 

 

투구꽃의 꽃말은 '밤의 열림' '나를 건드리지 마세요'

 

 

투구꽃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계  식물 
문  속씨식물 
강  쌍떡잎식물 
목  미나리아재비목 
분포지역  한국(속리산 이북), 중국 동북부, 러시아 
서식장소/자생지  깊은 산골짜기 
크기  높이 약 1m 

 

깊은 산골짜기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뿌리는 새발처럼 생기고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며 손바닥 모양으로 3∼5개로 갈라진다.

각 갈래조각은 다시 갈라지지만 위로 올라갈수록 잎이 작아져서 전체가 3개로 갈라진다.

갈래조각에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가 길다.

 

꽃은 9월에 자주색으로 피고 총상 또는 겹총상꽃차례[複總狀花序]에 달리며 작은꽃줄기에 털이 난다.

꽃받침조각은 꽃잎처럼 생기고 털이 나며 뒤쪽의 꽃잎이 고깔처럼 전체를 위에서 덮는다.

수술은 많고 수술대는 밑부분이 넓어지며 씨방은 3∼4개로서 털이 난다.

열매는 골돌과로서 3개가 붙어 있고 타원 모양이며 10월에 익는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유독식물로서 뿌리에 강한 독이 있는데, 초오(草烏)라고 하며 약재로 쓴다.

한국의 속리산 이북, 중국 동북부, 러시아에 분포한다.

 

[출처 : 두산백과]

 


투구꽃

학명 Aconitum jaluense Kom.
생물학적 분류 문 : 현화식물문(Magnoliophyta)
강 : 목련강(Magnoliopsida)
목 : 미나리아재비목(Ranunculales)
과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 : 초오속(Aconitum)


개요
전국의 산 숲 속에 비교적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세계적으로는 중국 동북부, 일본, 러시아 우수리 지역 등지에 분포한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80-100cm다.

잎은 어긋나며, 3-5갈래로 갈라지고, 갈래 끝이 뾰족하다.

줄기 위쪽의 잎은 점점 작아지고, 3갈래로 갈라진다.

 

꽃은 9월에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난 총상꽃차례 또는 겹총상꽃차례에 피며, 투구 모양, 보라색이다.

꽃자루는 곧고 퍼진 털이 난다.

꽃받침잎은 5장, 꽃잎처럼 보이고, 겉에 털이 있다.

 

꽃잎은 2장, 위쪽 꽃받침 속에 있으며, 꿀샘으로 된다.

수술은 많고, 아래쪽이 날개처럼 넓어진다.

암술은 3-5개, 털이 많다.

 

열매는 골돌이며, 타원형이다.

맹독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유독 식물이며 한방에서 약으로 쓴다.

 

국내분포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해외분포
중국 동북부, 일본, 러시아 우수리 지역)

 

서식지/생육지
낙엽활엽수림 내, 개울가

 

형태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80-100cm다.

잎은 어긋나며, 3-5갈래로 갈라지고, 갈래 끝이 뾰족하다.

줄기 위쪽의 잎은 점점 작아지고, 3갈래로 갈라진다.

꽃은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난 총상꽃차례 또는 겹총상꽃차례에 피며, 투구 모양, 보라색이다.

꽃자루는 곧고 퍼진 털이 난다.

 

꽃받침잎은 5장, 꽃잎처럼 보이고, 겉에 털이 있다.

꽃잎은 2장, 위쪽 꽃받침 속에 있으며, 꿀샘으로 된다.

수술은 많고, 아래쪽이 날개처럼 넓어진다.

암술은 3-5개, 털이 많다.

열매는 골돌이며, 타원형이다.

 

생태
꽃은 9월에 핀다.

주로 낙엽활엽수 안의 그늘이 지고 토양이 비옥하며 습기가 많은 곳에 자란다.

해발 400m이상의 산지의 계곡과 능선에서 자란다.

 

이용 및 활용
뿌리를 약용한다.

 

해설
본 분류군은 다른 초오속 식물들과 마찬가지로

식물체 내에 아코니틴이라는 맹독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유독 식물이며 한방에서 약으로 쓴다.

 

우리나라의 제주를 제외한 전국의 산지에서 쉽게 볼 수 있으며

본 분류군은 분류군 내의 형태적 변이가 심하며,

2년생 뿌리를 지니는 줄기가 직립하고 잎이 3갈래로 깊게 갈리고,

꽃이 달리는 소화경에 긴 선형의 선모가 분포하는 특징으로 다른 초오속 분류군과 구별된다.

 

지리바꽃(Aconitum chiisanensis Nakai), 이삭바꽃(Aconitum kusnezoffii Rchb.),

라돌쩌귀(A. napiforme H. Lév. et Vaniot)와 잡종을 이루는 현상과 지역이 보고되었다.

 

한라산에 분포하는 한라돌쩌귀에 비해서 꽃자루에 꼬부라진 털이 아니라 곧고 퍼진 털이 있으므로 구분된다.

지리바꽃은 잎이 아주 가늘고 깊게 갈리고 꽃자루에 볼링 핀 모양의 아래가 두툼한 털이 있어서 구분된다.

본 분류군은 코마로프(Komarov)가 1901년 암술 표면에 털이 밀생하는 특징을 근거로 기재한 종으로

한반도를 비롯한 만주 등 중국 동북부 지역에 분포한다.

 

카도타(Kadota)는 1987년 투구꽃과 형태적으로 유사한 세잎돌쩌귀, 그늘돌쩌귀, 진돌쩌귀, 싹눈바꽃, 개싹눈바꽃,

및 지리바꽃의 주요 식별 형질이 투구꽃의 변이의 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고 이들을 모두 투구꽃의 이명으로 처리하였다.

 

러나 지리바꽃은 염색체가 16개인 2배체로 염색체가 32개로 4배체인 나머지 분류군과 다르며,

잎이 가늘고 깊게 갈라지는 형태적 특징으로 뚜렷이 구분된다.

또 인위 교배 실험에 의하면 지리바꽃과 염색체가 4배체인 분류군은 유전적으로 격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ark and Oh, 1997).

 

외부형태, 인위적 교배 실험, 플라보노이 결과에 따르면 본 분류군은 세잎돌쩌귀, 그늘돌쩌귀, 진돌쩌귀, 싹눈바꽃, 개싹눈바꽃과

동일한 분류군으로 처리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Oh and Park, 1988; Lim et al. 1999).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2007년 발간된 한국속식물지에서는

세잎돌쩌귀, 그늘돌쩌귀, 진돌쩌귀, 싹눈바꽃, 개싹눈바꽃을 독립된 분류군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SPECIES KOREA)]

 

 

투구꽃

 

분류 여러해살이풀 
별칭 계독(鷄毒)·오두(烏豆)·토부자(土附子) 
학명 Aconitum jaluense 
분포지역 속리산 이북 
생약명 초오(草烏) 
키 1m 정도 
자생지역 깊은 산 골짜기 
번식 분근·씨 
약효 뿌리 
과 미나리아재빗과 
채취기간 10월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특성 따뜻하며, 맵다. 
독성여부 있다. 
1회사용량 2~3g 
사용범위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복용량을 꼭 지킬 것). 
동속약초 노랑돌쩌귀·지리바곳·진돌쩌귀의 뿌리 

 


어긋나며 긴 잎자루 끝에서 손바닥 모양으로 3~5개로 깊게 갈라진다.

아래쪽에 달린 잎은 갈라진 잎의 양쪽 첫째 조각과 중앙 조각이 다시 3개로 갈라지고

위쪽에 달린 잎은 점차 작아지면서 다시 3개로 갈라져 전체가 3개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잎에 톱니가 있다.

 


9월에 자줏빛 꽃이 꽃줄기 끝에서 총상 또는 겹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꽃의 모양은 고깔이나 투구 같으며 줄기에 여러 개의 꽃이 어긋나고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며 핀다.

꽃받침 조각은 5개이며 꽃잎 비슷한데 겉에 털이 있고 뒤쪽의 것은 고깔처럼 전체를 위에서 덮고 있다.

꽃잎은 2개이고 가장 위쪽의 꽃받침 조각 속에 들어 있다.

수술은 많고 수술대 밑 부분이 날개처럼 넓어진다.

씨방은 3~4개이고 털이 있다.

 

열매
10월에 타원형의 골돌과가 달려 익는데 3개가 붙어 있으며 뾰족한 암술대가 남아 있다.


특징 및 사용 방법
압록오두·초오라고도 한다. 뿌리는 마늘쪽처럼 생겼다.

줄기는 보통 곧게 서지만 다른 물체에 기대서 자라기도 한다.

유독 식물로서 뿌리에 강한 독이 있는데 초오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외상에는 짓이겨 붙인다.


효능
주로 소화계와 순환계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강심제, 경련, 관절염, 냉병, 두통, 옹종(외옹), 종독, 중풍, 진통, 풍비, 풍습

 

[출처 : 익생약술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