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와 산] (8) 광주 무등산
나를… 시대를… ‘일깨움의 도량’
‘아아 광주여, 무등산이여/죽음과 죽음 사이에/ 피눈물 흘리는/ 우리들의 영원한 청춘의 도시여….’
김준태 시인이 5·18민주화운동 직후 지방 일간지에 발표한 시의 한 대목이다.
이 때문에 해당 신문은 폐간되고, 그는 엄청난 고초를 겪어야 했다.
그 이후 무등산은 고은·김남주·황지우·문병란·양성우 등에 의해 저항문학의 단골 소재가 됐다.
5월의 무등산은 신록이 눈부시다.
장불재 부근엔 철쭉이 산허리를 불태우고 있다.
도심에서 ‘광풍’이 몰아치던 1980년 5월에도 그랬다. 그 이후 매년 정월 초하루 수만명의 인파가 중머리재에 몰려 새해를 맞았다.
하고 싶은 말과 가슴 속에 숨겨둔 무언가를 외쳐댔던 곳이다.
원효·나옹 등 고승들의 발자취가 서린 사찰과 암자도 즐비하다.
▲ 지난 22일 광주 무등산 서석대에서 바라본 광주 시내 전경. 광주 정연호기자 tpgod@seoul.co.kr |
무등산은 숱한 국난과 사람들의 삶과 죽음을 수천년간 지켜본 산증인이다.
부드러운 곡선을 이룬 능선은 인구 150만 도시를 품고 있다. 그
래서 어머니로 자주 비유된다.
시민들에겐 ‘산’이란 장소성을 뛰어넘어 또 다른 의미를 지니는 이유이다.
●불교와 민속의 중심
무등산(1187m)은 광주광역시의 동쪽 가장자리와 전남 담양·화순에 걸쳐 우뚝 솟아 있다.
무진악, 서석산, 무당산 등으로 불리다가 ‘고려사’에 처음 무등산이란 기록이 나온다.
노산 이은상은 무등산이 불교적 용어인 무유등등(無有等等·부처님은 중생과 같지 않다)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
이와 걸맞게 곳곳에 사찰과 고승들의 전설이 서려 있다.
증심사·약사사·원효사·관음암·규봉암·석불암·문빈정사 등 현존 사찰 이외에 서봉사지·개선사지·백천사지 등 문헌상으로 전해지는 절터가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이다. 증심사~중머리재 구간에 있는 천제단과 송풍정 등은 나라가 어렵거나 백성이 도탄에 빠졌을 때 하늘에 제를 올린 곳이다.
▲ 자연이 빚어낸 작품인 무등산 입석대. 절경 속에 억겁의 세월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
이나라(32·여) 광주 동구문화원 사무국장은 “무등산은 예부터 기우제, 당산제, 철쭉제, 억새제 등 각종 산제사를 모시는 신령한 곳으로 여겨졌다.”며 “산제사는 시민들의 화합과 공동체 의식을 심어줬다.”고 말했다.
무등산은 남북 주능에서 뻗어난 몇개의 가지 능선으로 이뤄졌다.
북서릉은 정상~중봉~바람재~향로봉~장원봉~잣고개를 넘어 국립5·18민주묘지가 위치한 망월동쪽으로 이어진다.
남서릉은 정상~장불재~백마 능선까지는 남북 주릉과 함께 달리다가 화순과 광주의 경계를 이루는 너릿재로 가지를 낸다. 그러나 어느 방향에서 보더라도 한 덩어리처럼 육중하게 보인다.
●빼어난 풍광
예부터 수많은 시인과 묵객들이 무등산의 ‘경승’을 노래했듯이 각 지점마다 빼어난 풍광을 자랑한다.
꼭대기는 천왕·지왕·인왕봉 등 ‘정상 3봉’으로 이뤄졌다. 이 중 천왕봉(1186.7m)이 가장 높다.
현재 정상 3봉 일대는 군부대가 주둔하고 있어 현장 접근은 불가능하다.
이 부근에 오르면 남서쪽은 나주평야와 월출산이 지척이다.
청명한 날이면 다도해가 아스라이 내려다보인다.
이보다 조금 낮은 서석대(1100m)와 입석대(1017m)는 가히 절경이다. 이들 봉우리는 육지에서는 보기 드문 주상절리대를 형성하고 있다. 서석대는 저녁노을이 물들 때 햇빛이 반사되면 수정처럼 빛을 발해 ‘수정병풍(水晶屛風)’이란 별명도 갖고 있다.
‘천만년 비바람에 깎이고 떨어지고/ 늙도록 젊은 모양이 죽은 듯 살아 있는 모양이/ 찌르면 끓는 피 한줄 솟아날 듯하여라.’
시인 이은상이 입석대를 노래한 시구이다. 억겁의 풍상을 겪는 동안 쪼개지고, 깎이면서 고통을 견뎌냈다.
이들 두 봉우리는 2005년 문화재청에 의해 천연기념물 제645호로 지정됐다.
10년 넘게 산을 오르내린 이길용(47)씨는 “철 따라 주변 환경이 환상적으로 변하는 입석·서석대는 신령스런 분위기를 풍긴다.”고 말했다.
●도시의 허파이자 쉼터
무등산은 도시의 허파이자 생태계의 보고이다. 진달래, 철쭉, 산나리 등 1000여종의 온대성 식물들이 철따라 변신하며 장관을 연출한다.
천연기념물인 붉은배 새매·황조롱이를 비롯해 삵·멧돼지·고라니 등 100여종의 조류와 포유류가 둥지를 틀고 있다.
시민들은 무등산을 동네 공원쯤으로 여긴다.
도심과 맞닿아 있어 맘만 먹으면 언제나 오르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등산 코스 역시 산책로 수준인 1시간 대에서부터 6~7시간 정도의 코스까지 선택할 수 있다.
문현석(48·북구 용봉동)씨는 “산행을 할 때마다 친구나 직장 동료 등 한두 명의 지인을 꼭 만나게 된다.”고 말했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코스는 서남쪽인 증심사를 출발, 약사사~새인봉 삼거리~중머리재~장불재~정상 구간이지만 ‘증심사지구 자연환경 복원 사업’으로 최근 잠정 폐쇄됐다.
대신 북쪽인 원효사 지구에서 출발, 꼬막재~규봉암~장불재~정상 코스 등으로 등산객이 많이 몰린다.
요즘은 철쭉철이라서 관광버스를 동원한 외지 등산객의 발길도 줄을 잇는다.
5월 초부터 해발 400~500m 능선인 토끼등·바람재 일대에서 철쭉이 피기 시작, 20일 이후이면 장불재 등 정상 구간까지 만발한다.
주말과 휴일엔 2만~3만명이 산을 찾는다.
공원관리사무소측은 최근 동구 산수동~충장사~원효사~서석대에 이르는 11.87㎞의 옛길을 복원하고 일부를 개방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
■ 실개천옆 정자엔 임을 향한 행진곡~~
무등산의 북동쪽 줄기는 원효계곡을 따라 지실마을을 거쳐 전남 담양군 봉산면으로 이어지면서 평야지대를 이룬다.
▲ 조선시대 가사문학을 꽃피운 대표적 장소인 전남 담양군 식영정의 모습. |
지금은 지실마을 부근에 광주호가 생겼지만 예전엔 무등산 계곡으로부터 발원한 물길이 남면·봉산면 일대 들녘을 관통했다.
계곡 양 안은 무등산 줄기에서 뻗어 나온 야트막한 산과 그런 야산에서 갈라져 나온 실개천이 여럿 있다.
이 일대에 조선 초·중기부터 유학자·유배자·풍류 가객들이 몰려들었다.
자연스레 정자들이 들어섰다.
이를 중심으로 지체 높은 양반들의 발길이 잦아지면서 나름대로 ‘누정 문화’가 탄생했다.
개인적 수양이나 후학의 교육, 현실도피적 은둔 등 정자에 머물 수밖에 없는 이유는 각양각색이다.
무등산권 정자들이 역사적으로 의미를 갖는 이유는 국문학사에 한 획을 그은 조선조 ‘가사문학’이 꽃피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곳이 광주호 상류 소나무 숲에 있는 식영정이다.
서하당 김성원이 그의 장인이자 스승인 임억령을 위해 1560년(명종 15년)에 세웠다. 송강 정철이 25살 때 이곳에 머물면서 무등의 4계절과 강호의 아름다움을 노래한 성산별곡을 지었다.
이곳으로부터 1㎞쯤 상류에는 양산보(1503~1557)가 건축해 은둔생활을 했던 소쇄원이 자리한다.
소쇄원은 한국 정원의 전형으로도 꼽힌다.
이곳을 찾아 시를 남긴 인물로는 김인후·김성원·기대승·고경명·정철 등이 있다.
식영정과 불과 250여m 건너편에는 김윤제(1501~1572)가 지은 환벽당이 있다.
정철이 청소년기를 보내면서 학문을 닦기도 했다.
광주호 아래쪽인 담양군 봉산면 제월리엔 송순(1493~1583)이 지은 면앙정이 있다. 국문학사에 주옥 같은 ‘면앙정가’가 탄생한 곳이다.
무등산 원효계곡과 맞닿은 담양군 고서면 원강리에는 송강정이 자리한다.
송강이 1585년 대사헌으로 지내다가 당쟁에 휘말려 3년간 머물던 장소이다.
연군지정(戀君之情)을 읊은 ‘사미인곡’이 탄생했다.
광주 북구 충효동과 원효계곡 하류엔 취가정과 풍암정이 있는 등 조선조 때 이 일대가 풍류를 아는 시인과 묵객들의 쉼터였다.
‘무등산’의 저자 박선홍씨는 “무등산이 만들어낸 아름다운 풍경이 권력에서 소외되거나 당쟁에 휘말린 선비들을 자연스레 모이게 했을 것”이라며 “이들 정자를 잘 보존해 후세 교육의 장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 최치봉기자
'▣그곳에 가고싶다☞ > ♤ 도시와 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시와 산] (10) 포천 국망봉 - 궁예의 恨 드리운 듯 山이 되지 못한 峰 (0) | 2010.09.15 |
---|---|
[도시와 산]<9> 대구 팔공산 (0) | 2010.09.11 |
[도시와 산] (7) 경북 영양 일월산 (0) | 2010.09.11 |
[도시와 산]<6> 춘천 삼악산 (0) | 2010.09.11 |
[도시와 산] (5) 제천 금수산 (0) | 2010.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