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감동과 깨달음☞/☆ 깨우치는 한마디

[정민의 세설신어] [307] 선담후농 (先淡後濃)

by 맥가이버 Macgyver 2015. 3. 25.




 


 



 
선담후농 (先淡後濃)  
 [정민의 세설신어] [307] 선담후농 (先淡後濃)
   
연암 박지원의 '마장전(馬駔傳)'은 송욱과 조탑타, 장덕홍 등 세 사람이
광통교 위에서 나누는 우정에 대한 토론으로 시작된다.
 
탑타가 말했다.
"아침에 밥 동냥을 다니다가 포목전에 들어갔었지. 베를 끊으러 온 자가 있었네.
베를 고르더니 핥아도 보고 허공에 비춰 살피기까지 하더군.
그러고는 값은 말 안하고 주인 더러 먼저 불러보라는 게야.
그러더니 둘 다 베는 까맣게 잊었는지 포목장수가 갑자기 먼 산을 보며 구름이 나온다고 흥얼대더군.
사려던 사람은 뒷짐 진 채 왔다 갔다 벽에 걸린 그림 구경을 하고 있지 뭐야."
 
송욱이 대답한다.
"네 말이 교태(交態), 즉 사귐의 태도는 알았다고 할 만하다.
하지만 사귐의 도를 깨닫기는 아직 멀었어."
 
덕홍이 나선다.
"꼭두각시놀음에서 장막을 치는 건 줄을 당기기 위해서라네."
 
송욱이 또 대답한다.
"네가 교면(交面), 곧 사귐의 겉모습을 알았구나. 그렇지만 도는 멀었어."
 
이런 식의 종잡을 수 없는 대화가 쭉 이어진다.
흥정을 시작해야 할 판에 서로 딴전만 부린다.
그 얘길 듣고 송욱이 사귐의 태도를 안 것이라고 평가했다.
 
둘 사이에 흥정이 붙어 거래를 이루는 것을 두 사람이 만나 우정을 맺는 것에 견줬다.
먼저 값을 안 부르는 것은 탐색전을 벌이는 것이다.
카드를 먼저 내밀었다간 기선을 제압당하기 쉽다.
 
명말 육소형(陸紹珩)의 '취고당검소(醉古堂劍掃)'에 이런 말이 나온다.
"처음엔 담담하다 뒤에는 진하게, 앞서는 소원한 듯 나중엔 친하게,
먼저는 멀리하다 끝에는 가까워지는 것이 벗을 사귀는 도리이다.
(先淡後濃, 先疎後親, 先遠後近, 交友道也.)"
 
덤덤하게 시작해서 차츰 가까워진다.
처음엔 데면데면하다가 조금씩 친밀해진다.
그런 사귐이라야 오래간다.
만나자마자 죽고 못 살 듯이 가까워졌다가 얼마 못 가 나쁜 놈 하며 등을 돌린다.
급속도로 친해져서 그보다 빨리 멀어진다.
금세 죽이 맞았다가 대뜸 시들해진다.
꼭두각시놀음의 트릭을 뻔히 알아도 커튼으로 줄을 가려주는 예의는 필요한 법이다.
 
교도(交道),
즉 사귐의 도리까지는 기대하지 않는다 해도 이 간단한 이치를 몰라 세상의 싸움질이 그칠 날이 없다.
장사치의 흥정만도 못하다.
  
정민 | 한양대 교수·고전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