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유적탐방후기☞/♣ 유적ㆍ유물ㆍ문화재 등20

맹사성 선생 묘 孟思誠先生墓 , 정경부인 철원최씨 묘 貞敬夫人 鐵原崔氏 墓, 흑기총 黑麒塚 맹사성 선생 묘 孟思誠先生墓 시대 : 조선 문화재 지정 : 경기도 기념물 제21호 건립시기 : 조선전기 성격 : 무덤 유형 : 유적 면적 : 1기 소재지 : 경기도 광주시 직동 산27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요약 경기도 광주시에 있는 조선전기 문신 맹사성의 무덤. 시도기념물. 개설 세종 때의 재상 맹사성의 묘로 묘소 앞에는 묘비를 비롯한 상석, 향로석, 문인석, 동자상, 망주석 등이 갖추어져 있다. 주변에 그가 즐겨 탔던 소의 무덤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경기도 광주시 직동 맹씨 문중 소유의 산 중턱에 위치하며, 1974년 9월 26일에 경기도 기념물 제21호로 지정되었다. 내용 맹사성(孟思誠, 1360~1438)은 호가 고불(古佛)이고,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조부 맹유(孟裕)는 두문동(杜門洞) 7.. 2023. 5. 24.
한양조씨 조한기의 처 전의이씨 효부 정려문(漢陽趙氏 趙漢起妻 全義李氏 孝婦 旌閭門) 한양조씨 조한기의 처 전의이씨 효부 정려문 (漢陽趙氏 趙漢起妻 全義李氏 孝婦 旌閭門) 소 재 지 : 월곡동 58-1 •현황 : 조한기 처 전의이씨 효부정문은 정면 1칸, 측면 1칸으로 지붕은 합각기와 지붕이다. 정문 안에 ‘효행기’가 있다. •행적 : 전의이씨(全義李氏)는 1660년 지금의 충남 아산에서 이지방(李志芳)의 맏딸로 태어나, 1676년 한양조씨(漢陽趙氏) 17세손 장남(良節公派/漢豊君派/嘉山公派)인 성균진사(成均進士) 조한기(趙漢起, 字 한숙漢叔)와 결혼한 후 남편을 공경하고 시부모님을 정성껏 모시며 가문의 법도를 충실히 따랐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숙종16년(1690년) 29세 나이로 남편이 사망하자 정성껏 장사 지내고 홀로 시부모님을 지성으로 모셨다. ▲ 효부 성균진사 조한기의 처 유인 .. 2023. 4. 15.
[20230407] 아차산 워커힐호텔 內 힐링숲/포레스트에 있는 조선 왕녀태실을 찾아가다 - 2부 4월 07일(금) 아차산 워커힐호텔 內 힐링숲/포레스트에 있는 조선 왕녀태실을 찾아가다 '아차산 워커힐호텔 內 힐링숲/포레스트에 있는 조선 왕녀태실을 찾아가다' 코스 아차산역(어린이대공원 후문)→아차산역 사거리→홍련봉공원→광진숲나루공원→전망대→아차산배수지체육공원→정립회관→아차산생태공원→아차산어울림광장→아차산동행숲길→아차산숲속도서관→아차산생태공원 유아숲체험원→워커힐벚꽃길→더글라스하우스→힐링숲/포레스트→왕녀태실→워커힐 벚꽃길→워커힐호텔 셔틀버스정류장→광나루역 오늘은 아차산 워커힐호텔 內 힐링숲/포레스트에 있는 조선 왕녀태실을 찾아가기 위해 길을 나선다. 4월 05일(수)에 벚꽃엔딩도보로 석촌호수에서 워커힐호텔까지 이어걷다가... 우연히 발견한 '왕녀태실'을 다시 찾아나서며... ▼ 아차산동행숲길 입구에서.... 2023. 4. 7.
[20230407] 아차산 워커힐호텔 內 힐링숲/포레스트에 있는 조선 왕녀태실을 찾아가다 - 1부 4월 07일(금) 아차산 워커힐호텔 內 힐링숲/포레스트에 있는 조선 왕녀태실을 찾아가다 '아차산 워커힐호텔 內 힐링숲/포레스트에 있는 조선 왕녀태실을 찾아가다' 코스 아차산역(어린이대공원 후문)→아차산역 사거리→홍련봉공원→광진숲나루공원→전망대→아차산배수지체육공원→정립회관→아차산생태공원→아차산어울림광장→아차산동행숲길→아차산숲속도서관→아차산생태공원 유아숲체험원→워커힐벚꽃길→더글라스하우스→힐링숲/포레스트→왕녀태실→워커힐 벚꽃길→워커힐호텔 셔틀버스정류장→광나루역 오늘은 아차산 워커힐호텔 內 힐링숲/포레스트에 있는 조선 왕녀태실을 찾아가기 위해 길을 나선다. 4월 05일(수)에 벚꽃엔딩도보로 석촌호수에서 워커힐호텔까지 이어걷다가... 우연히 발견한 '왕녀태실'을 다시 찾아나서며... ▼ 아차산역에서... ☞ 여기.. 2023. 4. 7.
태실 胎室, 태봉 胎封 태실 胎室, 태봉 胎封 요약 왕족의 태반(胎盤)을 묻은 석실. 태봉(胎封)이라고도 한다. 왕자가 출생하면 태실도감(胎室都監)을 설치하고 길일·길지를 택해 안태사(安胎使)를 보내어 태를 묻게 했다. 태실은 대개 대석·전석(磚石)·우상석(遇裳石)·개첨석(蓋檐石) 등으로 만들었다. 〈경국대전〉 예전에 의하면 지방은 관찰사가 왕·왕비·왕세자(王世子)의 태실과 종묘(宗廟) 각실, 왕후 부모의 묘소까지 모두 살피게 되어 있다. 태실의 간수군(看守軍)은 선왕과 선후의 경우 각 4명으로 하되, 4대손이 다하면 2명으로 하며, 왕과 왕비는 각 8명, 왕세자는 4명으로 했다. 〈속대전〉에는 대왕태실의 석물을 개조할 때 예조의 당상관 및 감역관(監役官)이 감독한다고 되어 있다. 그리고 대왕태실의 경계는 300보, 왕세자의 .. 2023. 4. 6.
살곶이다리, 전곶교(箭串橋), 제반교(濟盤橋) 살곶이 다리, 전곶교(箭串橋), 제반교(濟盤橋) 서울특별시 성동구 행당동에 위치한 조선시대 다리 시대 : 조선전기 문화재 지정 : 보물 제1738호 건립시기 : 조선, 1483년 성격 : 교량 유형 : 유적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동구 행당동 58 분야 : 예술·체육/건축 개설 보물 제1738호. 조선시대의 수도인 한양과 동남 지방을 연결하는 주요 통로로 사용되던 다리로, 원래의 이름은 제반교(濟盤橋)였다. 내용 살곶이는 청계천이 한강으로 흘러드는 지금의 성동구 왕십리, 한양대학교에서 내려다 보이는 개울 부근이다. 즉 사근동 남쪽에서 성수동으로 건너가는 곳을 말한다. 이는 지금도 사용되고 있는 서울 최고(最古)의 다리일 뿐 아니라 세종 대에 유명한 건축가인 박자청(朴子靑)과 유연현(柳延顯)의 감독에 의해.. 2023. 3. 10.
화성 남양리 신빈김씨 묘역, 華城南陽里愼嬪金氏墓域 화성 남양리 신빈김씨 묘역, 華城南陽里愼嬪金氏墓域 시대 : 조선 문화재 지정 : 경기도 기념물 제153호 성격 : 묘역 유형 : 유적 소재지 :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남양리 산131-7 요약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에 있는 조선전기 제4대 왕 세종의 후궁 신빈김씨의 묘역. 시도기념물. 내용 1994년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신빈김씨(1404∼1464)는 세종의 후궁이 되어 계양군(桂陽君)·의창군(義昌君)·밀양군(密陽君)·익현군(翼峴君)·영해군(寧海君)·담양군(潭陽君) 등 6명의 왕자를 낳았다. 묘역에는 봉분·상석(床石)·장명등(長明燈)·문인석(文人石) 등이 있고, 조금 떨어진 곳에 묘갈(墓碣)이 있다. 봉분의 높이는 220㎝이고, 둘레는 25m이다. 묘 주위에는 높이 230㎝의 묘비, 높이 200㎝의 .. 2022. 5. 1.
문정공 정암 조광조선생 묘 & 신도비[文正公 靜庵 趙光祖先生 墓 & 神道碑] 문정공 정암 조광조 선생 묘 & 신도비[文正公 靜庵 趙光祖先生 墓 & 神道碑] 지정번호 : 경기도 기념물 제166호 지정년월일 : 1986.5.31. 시대 : 조선 선조18년(1585) 소재지 : 용인시 수지구 심곡로 16-9(상현동 203-2) 규모 : 높이 244cm, 폭 93cm, 두께 34cm 재료 : 토분 및 석물 정암 조광조(趙光祖)의 묘소는 수지 상현동(서원말)에 있다. 묘는 정경부인(貞敬夫人)으로 추증된 이씨(李氏)와 합장한 것이다. 묘 앞에는 대리석으로 묘표와 평상석·향로석·좌우에는 망주석·문인석 등이 배치되어 있다. 신도비는 선조18년(1585) 건립된 것으로 재료는 대리석이며 높이 244㎝, 폭 93㎝, 두께 34㎝의 규모이다. 장방형 비좌 에는 국화문이 조각되어 아무런 치장이 없는 .. 2021. 10. 19.
심곡서원 深谷書院 심곡서원 深谷書院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에 있는 조선후기 조광조를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 교육시설. 사적. 시대 : 조선 건립시기 : 1650년(효종 1) 성격 : 서원, 교육시설 유형 : 유적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심곡로 16-9(상현1동 203-2) 내용 1650년(효종 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조광조(趙光祖)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설립하여 위패를 모셨다. 조광조의 무덤이 이곳에 있기 때문에 일찍부터 서원을 세우기 위한 논의가 있었으나, 재력이 부족하여 모현면에 있는 정몽주(鄭夢周) 제향의 충렬서원(忠烈書院)에 입향하였다가 위패를 옮겨오게 되었다. 설립과 동시에 ‘심곡’이라고 사액되었으며, 양팽손(梁彭孫)을 추가 배향하였다. 대원군의 서원철폐 당시 훼철되지 않고 존속한 47개 .. 2021. 10. 19.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龍仁 瑞鳳寺址 玄悟國師塔碑]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龍仁 瑞鳳寺址 玄悟國師塔碑]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서봉사터에 있는 고려후기 에 건립된 승려 현오국사의 탑비. 보물. 시대 : 고려 문화재 지정 : 보물 제9호 건립시기 : 1185년 성격 : 탑비 유형 : 유적 크기 : 비신 높이 1.88m, 너비 0.97m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신봉동 산110 내용 보물 제9호. 비신 높이 1.88m, 너비 0.97m. 점판암으로 화강암의 부석(趺石) 위에 섰으며 이수(螭首)는 없다. 제액(題額)은 ‘贈諡玄悟國師碑銘(증시현오국사비명)’의 8자로 자경(字徑) 8㎝의 전서(篆書)이며, 본문은 자경 3.3㎝의 해서(楷書)이다. 명문(銘文)에 의하면 현오국사는 고려 중기의 승(僧)으로 이름은 종린(宗璘), 자는 중지(重之), 속성(俗姓).. 2021. 10. 19.
고양 강매 석교(高陽 江梅 石橋) 고양 강매 석교(高陽 江梅 石橋)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62호로 지정된 ‘고양 강매 석교(高陽 江梅 石橋)’는 덕양구 강매동 강고산마을 창릉천변에 위치해 있다. 석교는 전체길이 17.74m, 최고 높이 2.48m, 최대폭 3.57m 규모로 네모진 돌기둥 24개를 사용해 먼저 교각을 만들어 세우고 그 위에 장방형의 교판석 110개를 2열로 놓았다. 이 석교는 교판석 중앙에 새겨진 ‘강매리교 경신신조(江梅里橋 庚申新造)’라는 명문을 통해 1920년에 세웠음을 알 수 있다. 교판석에 새겨진 강매리는 대한제국의 리동합병 정책에 따라 1910년 8월 25일 강고산리(江古山里)와 매화정리(梅花亭里)가 합쳐진 이름이다. ‘고양 강매 석교’는 옛날 고양군에서 한양으로 오가던 민간 통행용 돌다리로 현재 고양시에 유일하게.. 2021. 2. 7.
대부해솔길 4코스를 걷다가 '효자 홍정희 효자문(정려)'을 보고... 대부해솔길 4코스를 걷다가 '효자 홍정희 효자문(정려)'을 보고... 정려 旌閭 국가에서 미풍양속을 장려하기 위하여 효자·충신·열녀 등이 살던 동네에 붉은 칠을 한 정문(旌門)을 세워 표창하던 풍습. 내용 정문·정려를 세운 것은 신라 때부터이며 고려를 거쳐 조선에 와서는 전국적으로 상당수 세워졌다. 구체적인 사례를 보면, 신라의 경우 ≪삼국사기≫ 권48 열전(列傳) 제8 효녀지은(孝女知恩)과 ≪삼국유사≫ 권5 효선(孝善) 제9 빈녀양모(貧女養母)의 기사에 잘 나타나 있다. 즉, 신라의 효녀 지은에 대한 포상으로 진성여왕은 조 500석과 집 한 채를 내리고 복호(復戶:役을 면제해 주는 것)하며 그 마을을 정표하여 효양방(孝養坊)이라고 했다는 기록이 있다. 고려의 경우, ≪고려사≫ 기사를 보면 고려 명종·성.. 2021. 2. 4.
홍가신 신도비 [ 洪可臣神道碑 ]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만전당길120번길 25 홍가신 신도비 [ 洪可臣神道碑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만전당길120번길 25[대동리 76] 분야 : 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 유적/비 시대 : 조선/조선 후기 개설 홍가신(洪可臣)[1541~1615]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흥도(興道), 호는 만전당(晩全堂), 시호는 문장(文莊)이다. 신도비는 2품 이상의 고위 문무 대신의 묘 앞에 세우도록 되어 있는데, 홍가신 신도비는 홍가신의 사후 증직(贈職)으로 묘 앞에 세워졌다. 건립 경위 홍가신 신도비의 비문은 홍가신의 아들 홍절(洪楶)이 조경(趙絅)[1586~1669]에게 부탁하였는데, 조경이 비문을 마무리하지 못하고 있다가 손자 홍우원(洪宇遠)이 다시 청하여 1657년에 완성하였다. 그러나 여러 가지 사정으로 비문 완성 이.. 2021. 1. 31.
홍가신 묘 [ 洪可臣墓 ]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대동리 소재 홍가신 묘 [ 洪可臣墓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대동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홍가신의 묘. 개설 홍가신(洪可臣)[1541~1615]은 조선 후기 문신으로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흥도(興道), 호는 만전당(晩全堂), 시호는 문장(文莊)이다. 1596년 홍주목사 재임 시 이몽학(李夢鶴)이 반란을 일으키자 민병을 규합해 난을 평정해 청난공신(淸亂功臣) 1등에 책록되고 영원군(寧原君)에 봉해졌다. 학문에도 깊이가 있었으며, 형조판서를 지내고 관직에서 물러났다. 홍가신 묘는 홍가신이 살았던 마을의 선영에 있다. 위치 홍가신 묘는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대동리 남양홍씨 문장공파 종중 묘역에 있다. 곡교천 북쪽의 지방도 624호선[이순신대로]의 백암교차로에서 북쪽 마을 길로 접어들어 백암2리 마을회관 등을 지.. 2021. 1. 31.
김여물(金汝岉) 장군 묘 및 신도비(神道碑) 김여물(金汝岉) 장군 묘 김여물(金汝岉) 장군 및 김류 신도비(神道碑) 김여물(金汝岉) 장군 묘 및 신도비(神道碑) 김여물[1548(명종 3)∼1592(선조 25)]장군은 안산시 단원구 와동 141번지에 있는 사세충열문의 오른쪽 방에 충신정려문이 모셔져 있다. 와동초등학교 바로 옆이어서 찾아가기가 쉬운편이다. 신도비는 사세충열문이 있는 공원의 왼쪽편에 아들 김류(金瑬)의 신도비와 함께 나란히 서 있고, 묘는 사세충열문 뒤로 5분정도 오르면 만날 수 있다. 김여물은 원래는 무관출신이 아닌 문관출신이다. 임진왜란 때 충주 탄금대에서 왜적과 싸우다가 전사한 충신으로, 자(字)는 사수(士秀), 호(號)는 피구자(披裘子), 외암(畏菴), 본관은 순천(順天)이다. 성현도찰방(省峴道察訪) 훈(壎)의 아들이며 영의정(.. 2021. 1. 24.
사세충렬문(四世忠烈門) 사세충렬문(四世忠烈門) 사세충렬문은 임진왜란때 순국한 김여물(1548~1592)장군의 애국충정과 병자호란때 청나라 군사가 침입하자 스스로 목숨을 던진 김여물 집안 4대에 걸친 고부의 열녀정신을 기리기 위하여 조정에서 하사한 충신 정문과 열녀 정문이다. 사세충렬문은 목조건물로서 사각기둥의 주심포 양식 팔자지붕이 특징이다. 가운데 칸에는 민가의 대문 형식을 따라 문을 달아 ‘사세충렬문’ 현판을 걸었으며 건물 주위에는 담장이 둘려 쳐져 있다. 건물 안쪽은 2칸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마룻바닥의 오른쪽방에는 김여물의 충신정문이 있고, 왼쪽방에는 4대 열녀의 정문이 세워져 있다. 현재 건물은 1971년 고쳐지은 것으로 1983년 보수했다. 안산시청 홈에서 2021. 1. 24.
남이장군묘 南怡將軍墓 (경기도 화성시 비봉면 소재) 남이장군묘 南怡將軍墓 남이장군묘 南怡將軍墓 경기도 화성시 비봉면에 있는 조선전기 공신·무신 남이의 무덤. 시도기념물. 시대 : 조선 문화재 지정 : 경기도 기념물 제13호 건립시기 : 조선시대 성격 : 무덤 유형 : 유적 면적 : 1기 소재지 : 경기도 화성시 비봉면 남전리 산145번지 개설 남이 장군 묘는 남이 장군과 부인이 함께 있는 쌍분묘로, 경기도 화성시 비봉면 소재지에서 북서쪽으로 약 2.5㎞ 정도 떨어진 남전리 야산에 위치한다. 1973년 7월 10일에 경기도 기념물 제13호로 지정되었다. 내용 남이(南怡, 1441~1468)는 본관이 의령(宜寧)으로, 의산군(宜山君) 남휘(南暉)의 손자이다. 그는 1457년(세조 3) 16세의 어린 나이로 무과에 급제하였다. 이후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토벌.. 2020. 11. 9.
원균장군묘 元均將軍墓 (경기도 평택시 도일동 소재) 원균장군묘 元均將軍墓 경기도 평택시에 있는 조선시대 무신 원균의 무덤. 시도기념물. 시대 : 조선후기 문화재 지정 : 경기도 기념물 제57호 건립시기 : 16세기 말 성격 : 무덤 유형 : 유적 면적 : 400㎡ 소재지 : 경기도 평택시 도일동 산82 개설 경기도 평택시 도일동 마을 뒤편 야산 언덕 위에 위치한다. 1980년 6월 2일에 경기도 기념물 제57호로 지정되었다. 내용 원균(元均, 1540~1597)은 임진왜란 때의 장수로, 이순신(李舜臣)과 협력 또는 경쟁하면서 크고 작은 해전에서 승전을 거듭하다가 1597년(선조 30) 칠천량 해전(漆川梁海戰)에서 전사하였다. 전쟁이 끝난 후 권율(權慄), 이순신과 함께 선무공신(宣武功臣) 1등으로 책록되었다. 묘역 규모는 400㎡이다. 묘역은 도일동 마을.. 2020. 9. 20.
만안교(萬安橋) & 만안교비명(萬安橋碑銘) 만안교[萬安橋]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석교. 경기유형문화재 제38호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679(260) 길이 약 30m, 폭 약 8m, 높이 약6m 조선시대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1735~1762)의 능인 융릉(현륭원)을 참배하러 가기 위해 1795년(정조 19)에 축조한 홍예(虹霓) 양식의 석교이다. 당시 서울에서 수원으로 가기 위해서는 용산, 노량진, 동작, 과천을 통하는 것이 가장 빠른 길이었으나 중간에 교량이 많고 남태령 고개 때문에 행차로를 닦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그때까지 왕이 행차하는 길에는 임시로 나무다리를 가설했다가 끝난 뒤 바로 철거하는 것이 상례였으나 행차 때마다 놓았다 헐었다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평상시에도 백성들이 편히 다리를 이용할 수 있도록.. 2014. 4. 11.
무의공(武毅公) 이순신장군묘[李純信將軍墓] 무의공(武毅公) 이순신장군묘[李純信將軍墓]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 에 있는 조선 후기 무신 이순신의 묘소. [개설] 임진왜란 때 충무공 이순신(李舜臣) 장군과 함께 왜적을 물리치는 데 큰 공을 세운 무신 이순신(李純信)[1554~1611] 장군의 묘소이다. 이순신은 본관이 전주, 자는 입부(立夫)이다. 양녕대군의 6세손으로, 할아버지는 생원 이귀달(李貴達)이며, 아버지 이진(李眞)과 어머니 복주김씨 사이에서 금천(衿川)[지금의 광명시 일직동]에서 태어났다. 1598년(선조 31)에는 경상우도수군절도사로서 노량해전에 참전하여 싸우다가 충무공이 전사하자, 전군을 지휘하여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다. 인조 때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되었고, 효종 때에는 장남인 이탁이 진무원종공신(振武原從功臣) 책록에 따라 우의정과 .. 2014. 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