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민 세설신어] [589] 분토취부 (糞土臭腐)
정민 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진(晉)나라 때 어떤 사람이 은호(殷浩)에게 물었다.
“어째서 벼슬을 얻게 될 때는 관이 꿈에 보이고,
재물을 얻으려 할 때는 똥이 꿈에 나오는 걸까요?
(何以將得位而夢棺器, 將得財而夢矢穢.)”
은호가 대답했다.
“벼슬이란 본래 썩은 냄새인지라 얻으려 할 때 관 속의 시체를 꿈꾸고,
재물이란 본시 썩은 흙과 같아, 얻게 될 때 더러운 것이 꿈에 보이는 것일세.
(官本是臭腐, 所以將得而夢棺屍.
財本是糞土, 所以將得而夢穢汚.)”
‘세설신어’에 나온다.
강항(姜沆‧1567~1618)이 벗 권제(權霽)의 청몽당(淸夢堂)에 놀러 갔다가,
기문(記文) 부탁을 받았다.
청몽(淸夢)의 뜻을 묻자 권제가 말했다.
“벼슬은 썩은 냄새로 꿈에 관을 본 자는 벼슬을 얻고,
재물은 썩은 흙이라 꿈에 똥을 본 자는 재물을 얻는다고 했네.
나는 썩은 냄새나 썩은 흙을 꿈꾸지 않네.
속담에 낮에 한 바가 밤에 꿈에 나온다고 하지.
마음으로 생각한 것이 꿈에 보인 것이라네.
나는 하는 일이 없고, 생각하는 바가 없으니,
꿈꾸는 것이 낮에 하던 일이요 생각하던 바일세.
이 집에서 내 꿈을 얻는 사람은 맑지 않을 수가 없을 것이야.
그래서 내가 이 이름을 지었다네.
(官本臭腐, 故夢棺者得官.
財本糞土, 故夢糞者得財.
吾不夢臭腐也, 吾不夢糞土也.
里諺曰: ‘晝之所爲, 夜之所夢.’
心之所思, 夢之所見.
吾無所爲, 吾無所思.
所夢卽所爲也, 所夢卽所思也.
吾之夢於吾堂者, 未嘗不淸.
故吾有是名.)”
강항이 감탄하며
‘그대의 집에서 그대와 같은 꿈을 꾸고 싶다’는 뜻을 담아
‘청몽당기(淸夢堂記)’를 지어주었다.
이의현(李宜顯‧1669~1745)이 한마디를 더 보탠다.
“재물은 썩은 흙이요, 관직은 부패한 냄새다.
온 세상은 어지러이 온 힘을 다해 이것만을 구하니 슬퍼할 만하다.
탐욕스럽고 더러운 방법으로 갑작스레 부자가 되거나,
바쁘게 내달려 출세해서, 건너뛰어 높은 자리에 오른 자는
모두 오래 못 가서 몸이 죽거나 자손이 요절하고 만다.
절대로 편안하게 이를 누리는 경우란 없다.
(貨財糞土也, 官職臭腐也.
而擧世攘攘, 竭氣而求之, 其亦可哀也已.
然苟其貪汚鄙瑣, 猝成富家,
奔走進取, 躐致高位者, 皆未久身死,
否則子孫夭殞, 絶無安享之者.)”
등골이 오싹해지는 섬뜩한 말이다.
‘운양만록(雲陽漫錄)’에 나온다.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감동과 깨달음☞ > ☆ 깨우치는 한마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민의 世說新語] [591] 능체지심 (能體持心) (0) | 2020.10.08 |
---|---|
[정민의 世說新語] [590] 호승감녕(好勝甘佞) (0) | 2020.09.24 |
[정민 세설신어] [588] 함사사영(含沙射影) (0) | 2020.09.10 |
모든 것을 가졌을 때 겸손할 줄 알고, 아무 것도 가진 것 없을 때 자신감을 가져라. (0) | 2020.09.05 |
믿을만한 사람이 누군지 알아내는 최고의 방법은 네가 일단 그 사람을 믿어 보는 것이다. (0) | 2020.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