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고(班固)가 찬문(贊文)에 썼다.
"예전 노나라 애공(哀公)이 이런 말을 했다.
'과인은 깊은 궁중에서 태어나 아녀자의 손에서 자랐다.
근심을 몰랐고 두려움도 겪어 보지 못했다.'
이 말이 맞다.
비록 망하지 않으려 한들 얻을 수가 있겠는가.
이 때문에 옛 사람은 편안한 것을 짐독(鴪毒)처럼 여겼고,
덕 없이 부귀한 것을 일러 불행이라고 했다(無德而富貴, 謂之不幸).
한나라가 일어나 효평제(孝平帝) 때 이르러 제후왕이 100명을 헤아렸다.
대부분 교만하고 음탕하여 도리를 잃은 경우가 많았다.
방자함에 빠져서 세력을 누리다 보니 그렇게 된 것이다."
"덕이 박한데 지위가 높고, 아는 것이 적으면서 꾀하는 것은 크며,
힘이 부족한데 직임이 무거우면 재앙이 미치지 않는 경우가 드물다
(德薄而位尊, 知小而謀大, 力小而任重, 鮮不及矣)." '주역' '계사(繫辭)' 하(下)에 공자 말씀으로 나온다.
송나라 때 호굉(胡宏)이 말했다.
"덕이 있으면서 부귀한 사람은 부귀의 권세를 이용해 세상을 이롭게 하고,
덕이 없으면서 부귀한 사람은 부귀의 권세에 올라타 제 몸을 해친다
(有德而富貴者, 乘富貴之勢以利物, 無德而富貴者, 乘富貴之勢以殘身)."
'회남자(淮南子)' '인간훈(人間訓)'의 말은 또 이렇다.
"천하에 세 가지 위태로운 것이 있다.
덕이 부족한데 총애를 많이 입는 것이 첫째 위태로움이요,
재주는 낮은데 지위가 높은 것이 둘째 위태로움이며,
몸에 큰 공이 없는데 두꺼운 녹을 받는 것이 셋째 위태로움이다
(天下有三危. 少德而多寵一危也, 才下而位高二危也, 身無大功而受厚祿三危也)."
귀하게 나서 오냐오냐 자라 하고 싶은 대로 누리다 보니 '교음실도(驕淫失道)',
즉 교만 방자해져 도리를 벗어나게 되는 것은 고금에 차이가 없다.
쌓은 덕이 없이 부귀의 지위에 있는 것은 큰 불행이다.
정민 | 한양대 교수·고전문학
'▣감동과 깨달음☞ > ☆ 깨우치는 한마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민의 세설신어] 고락상평 (苦樂常平) (0) | 2014.12.24 |
---|---|
사람이 자신의 발목을 잡고 있는 불리한 조건들을 뛰어넘기 위해 애쓰는 것보다 아름다운 것은 없다 (0) | 2014.12.17 |
살면서 누구를 만나느냐에 따라 인생이 달라진다 (0) | 2014.12.12 |
나무는 한 번 자리를 잡으면 평생을 움직이지 않는다 (0) | 2014.12.10 |
바람이 불지 않으면 노를 저어라 / 윈스턴 처칠 (0) | 2014.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