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588

[20230807] 불암산 사찰탐방(경수사ㆍ천보사ㆍ석천암ㆍ불암사ㆍ천연보궁 천보사)을 다녀오다 - 1부 8월 07일(월) 불암산 사찰탐방(경수사ㆍ천보사ㆍ석천암ㆍ불암사ㆍ천연보궁 천보사)을 다녀와서... '불암산 사찰탐방(경수사ㆍ천보사ㆍ석천암ㆍ불암사ㆍ천연보궁 천보사)' 코스 당고개역→상계 나들이 철쭉동산→경수사 불이문→미륵전→대웅전→마애불→용신각→불암폭포(경수사폭포)→삼성각→천보사입구→천보사 철문→무량수전→산신각→천보사입구→천보사 와폭→장군바위→폭포약수→너럭바위 폭포→ 철문→무량수전→산신각→천보사입구→천보사 와폭→장군바위→폭포약수→너럭바위 폭포→청암능선→칠성대→불암산1 기지국→고래바위 쉼터→다람쥐광장→석장봉→쥐바위→데크계단→두꺼비바위→불암산 정상→데크계단→남양주갈림길→호랑이굴매점→불암산 호랑이유격대 제3동굴 안내문→제2동굴→석천암 일주문→마애미륵불→감로수→영산전 마애좌불상→대웅전→불암산둘레길(하루길) 갈림길→.. 2023. 8. 7.
전화위복 轉禍爲福 2023. 8. 6.
[등산 사전 (5) 알탕] 알몸의 알, 목욕탕의 탕…계곡산행의 마침표 '알탕' 알몸의 알, 목욕탕의 탕…계곡산행의 마침표 '알탕' 등산 사전 (5) 알탕 “더운 여름엔 역시 알탕산행이지.” 작열하는 태양, 군만두가 될 듯한 더위, 온몸을 꿉꿉하게 하는 여름의 습기. 이 모든 걸 한 방에 날려버릴 수 있는 산행이 있다. 그건 바로 알탕산행이다. 산이 익숙지 않은 사람에게 ‘알탕’은 생소한 단어다. 대개는 시원한 국물이 일품인 음식 ‘알탕’을 떠올리기 마련인데, 등산에서 알탕은 ‘계곡물에 온몸을 담그는 행위’란 의미로 쓰인다. 단어의 유래는 알몸의 ‘알’과 목욕탕의 ‘탕’이 합쳐져 ‘옷을 다 벗고 자연 욕탕에 들어가는 행위라는 뜻’의 줄임말이라는 추측이 가장 유력하다. 친척뻘 단어로 ‘족탕’도 있다. ‘발만 담그는 것’이라는 뜻이다. 과거 알탕산행은 경험 많은 산꾼들이 숨겨진 계곡을 .. 2023. 8. 6.
[8월에 갈 만한 산 BEST 4] 구만산九萬山(785m) 구만폭포, 웅석봉熊石峰(1,099m) 백운동계곡, 방태산芳台山(1,435m) 아침가리골, 덕적도 비조봉飛鳥峰(292m) [8월에 갈 만한 산 BEST 4] 구만산九萬山(785m) 구만폭포, 웅석봉熊石峰(1,099m) 백운동계곡, 방태산芳台山(1,435m) 아침가리골, 덕적도 비조봉飛鳥峰(292m) 사진 황계복 구만산九萬山(785m) 구만폭포 영남알프스 서쪽의 여름 산행지다. 경남 밀양시 산내면 구만산은 통수골의 구만폭포가 여름 명소로 손꼽힌다. 일반인들은 폭포까지만 올랐다가 하산하는 것도 힘겨워하지만, 등산인들은 가인계곡과 통수골을 잇는 산행 또는 중앙능선으로 올랐다가 정상을 거쳐 통수골로 하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구만폭포가 유명하지만 구만산은 바위협곡이 뻗어 있어 산세 자체가 수려하다. 물론 하이라이트는 통수골이며 벼락바위, 부석더미, 아들바위, 상여바위, 상투바위, 미역바위 같은 볼거리가 수두룩하다. 통수골의 장점은.. 2023. 8. 6.
계곡 놀러갈 때 주의해야 할 6가지 - 휴가철 안전 수칙 계곡 놀러갈 때 주의해야 할 6가지 휴가철 안전 수칙 계곡 산행을 즐기는 사람들. 연일 거듭되는 폭염으로 더위를 피하기 위해 계곡을 찾는 사람들이 많다. 시원한 계곡물이 반갑겠지만, 섣불리 물놀이를 하다가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앞서 지난 27일 대구 팔공산국립공원 동산계곡에선 물놀이하던 대학생 4명이 물에 빠져 3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계곡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6가지 주의사항을 소개한다. 1 비 예보가 있거나, 비가 많이 온 다음날은 피한다 비가 오면 계곡은 급격히 물이 불어나 사고 위험이 높다. 비가 내린 다음날이라 해도 숱하게 많은 골짜기의 물이 모여 하류로 흘러가므로, 비 온 다음날의 계곡은 물살이 빠르고 거칠어 위험하다. 2 소용돌이가 있는 곳은 수영 실력과 상관없.. 2023. 8. 6.
[월간산 추천, 8월에 걷기 좋은 길 BEST 4] 예산 백제부흥군길 3코스, 청주 옥화구곡길, 부산 낙동강 하구 생태길, 정선 항골 숨바우길 [월간산 추천, 8월에 걷기 좋은 길 BEST 4] 예산 백제부흥군길 3코스, 청주  옥화구곡길, 부산 낙동강 하구 생태길, 정선 항골 숨바우길 예산 백제부흥군길 3코스역사·문화 자원이 풍부하며 멋들어진 풍광도 볼 수 있는 길이다.한우로 유명한 충남 예산의 광시에서 출발해 굽이굽이 무한천과 마을길을 걷다 보면 백제 부흥전쟁의 중심지였던 봉수산 임존성이다. 의자왕의 사촌 동생인 복신, 도침(스님)과 흑치상지가 3년여 동안 후백제 부흥운동의 거점으로 삼았던 곳으로 백제 산성 중 그 규모가 가장 크다.초록빛 봉수산과 임존성의 조화가 절경이다.성곽을 따라 한 바퀴 돌면 예당저수지를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조망터가 나온다. 내려서면 우리나라 6번째 슬로시티인 대흥을 만날 수 있고, 이어 당나라 장수 소정방이 배를.. 2023. 8. 6.
인생의 주소 / 문무학 詩 2023. 8. 5.
선긋기 / 문무학 詩 2023. 8. 5.
능소화 지다​ / 나태주​​ 詩 2023. 8. 5.
능소화 / 나태주 詩 2023. 8. 5.
[20230804] 수락산 수락팔경 중 1~4경 답사산행 겸 청학동계곡 & 벽운동계곡 피서산행을 다녀오다 - 3부 8월 04일(금)수락산 수락팔경 중 1~4경 답사산행 겸 청학동계곡 & 벽운동계곡 피서산행을 다녀와서...'수락산 수락팔경 중 1~4경 답사산행 겸 청학동계곡 & 벽운동계곡 피서산행' 코스 당고개역→버스이동→수락산 마당바위입구 정류장→청학밸리 리조트다리(청학교)→청학동계곡 따라→충정공 이혼술신도비→마당바위→유수락교→청학밸리리조트 스카이비치→옥류폭포→보덕암입구→은류폭포 입구 돌다리→쌍폭→2단폭포→은류폭포 하단→은류폭포 중단→은류폭포 상단→천막기도터→바위기도터→금류폭포 상단(금류동천 각자바위)→내원산장→내원암→미륵석불입상→데크계단→쉼터→수락산장/약수→데크계단→능선삼거리→철모바위→종바위→코끼리바위→하강바위 전망대→치마바위→안부삼거리→데크계단→기도터→절터샘→새광장→벽운동계곡 따라→물개바위→신선교→벽운클럽→벽운교.. 2023. 8. 4.
[20230804] 수락산 수락팔경 중 1~4경 답사산행 겸 청학동계곡 & 벽운동계곡 피서산행을 다녀오다 - 2부 8월 04일(금)수락산 수락팔경 중 1~4경 답사산행 겸 청학동계곡 & 벽운동계곡 피서산행을 다녀와서...'수락산 수락팔경 중 1~4경 답사산행 겸 청학동계곡 & 벽운동계곡 피서산행' 코스 당고개역→버스이동→수락산 마당바위입구 정류장→청학밸리 리조트다리(청학교)→청학동계곡 따라→충정공 이혼술신도비→마당바위→유수락교→청학밸리리조트 스카이비치→옥류폭포→보덕암입구→은류폭포 입구 돌다리→쌍폭→2단폭포→은류폭포 하단→은류폭포 중단→은류폭포 상단→천막기도터→바위기도터→금류폭포 상단(금류동천 각자바위)→내원산장→내원암→미륵석불입상→데크계단→쉼터→수락산장/약수→데크계단→능선삼거리→철모바위→종바위→코끼리바위→하강바위 전망대→치마바위→안부삼거리→데크계단→기도터→절터샘→새광장→벽운동계곡 따라→물개바위→신선교→벽운클럽→벽운교.. 2023. 8. 4.
[20230804] 수락산 수락팔경 중 1~4경 답사산행 겸 청학동계곡 & 벽운동계곡 피서산행을 다녀오다 - 1부 8월 04일(금)수락산 수락팔경 중 1~4경 답사산행 겸 청학동계곡 & 벽운동계곡 피서산행을 다녀와서...'수락산 수락팔경 중 1~4경 답사산행 겸 청학동계곡 & 벽운동계곡 피서산행' 코스 당고개역→버스이동→수락산 마당바위입구 정류장→청학밸리 리조트다리(청학교)→청학동계곡 따라→충정공 이혼술신도비→마당바위→유수락교→청학밸리리조트 스카이비치→옥류폭포→보덕암입구→은류폭포 입구 돌다리→쌍폭→2단폭포→은류폭포 하단→은류폭포 중단→은류폭포 상단→천막기도터→바위기도터→금류폭포 상단(금류동천 각자바위)→내원산장→내원암→미륵석불입상→데크계단→쉼터→수락산장/약수→데크계단→능선삼거리→철모바위→종바위→코끼리바위→하강바위 전망대→치마바위→안부삼거리→데크계단→기도터→절터샘→새광장→벽운동계곡 따라→물개바위→신선교→벽운클럽→벽운교.. 2023. 8. 4.
중대백로, Ardea alba 중대백로, Ardea alba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황새목(Ciconiiformes) > 백로과(Ardeidae) 학명 : Ardea alba (Linnaeus, 1758) 국내분포 :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번식하며, 일부개체는 월동한다. 해외분포 : 동아시아, 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서 분포한다. 특징 : 여름철새 형태 크기 : 약 90cm 정도의 크기이다. 채색과 무늬 : 암컷과 수컷 모두 몸 전체가 흰색이며, 눈앞에는 녹색의 피부가 드러나 있다. 여름철의 부리는 검은색이나 겨울철에는 황색이다. 다리는 검은색이다. 주요 형질 : 부리, 목, 다리가 길다. 번식기에는 어깨 깃과 가슴에 긴 장식깃이 생기며, 겨울이 되면 사라진다. 중백로와 유사하나 크기가 .. 2023. 8. 2.
계요등, 鷄尿藤 / 꽃말 : 지혜로움, 오해를 풀다 계요등, 鷄尿藤 / 꽃말 : 지혜로움, 오해를 풀다 꼭두서니과 계요등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 분류 : 꼭두서니과 계요등속 원산지 : 아시아 서식지 : 중부 이남 크기 : 길이 5∼7m 학명 : Paederia scandens (Lour.) Merr. var. scandens 개화기 : 7∼8월 꽃말 : 지혜로움, 오해를 풀다 내용 계요등은 꼭두서니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아시아 지역에 넓게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남부지방으로 갈수록 출현 빈도가 높다. 내륙에서는 주로 충청도 이남에서 자라고 해안지방에서는 울릉도와 대청도까지도 자란다. 농촌마을 근처 산기슭이나 물가에서 흔하게 관찰된다. 지구온난화로 계요등의 분포가 점점 북쪽으로 확대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최근에는 수도권 지역에서도 어렵지 않게 볼 .. 2023. 8. 2.
[20230801] 유두절 삼색도보 - 경복궁둘레길 & 청계천물길 & 남산달맞이길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 - 4부 8월 01일(화) 유두절 삼색도보 - 경복궁둘레길 & 청계천물길 & 남산달맞이길 이어 걷기를 다녀와서... '유두절 삼색도보 - 경복궁둘레길 & 청계천물길 & 남산달맞이길 이어 걷기' 코스 경복궁역→영추문→봉황분수대→무궁화동산→칠궁안내소→영빈관 앞→청와대앞길→춘추관 앞→삼청공원→북촌5경→삼청동→국립민속박물관→추억의거리→건춘문→광화문 앞→광화문광장→광화문역→청계광장→청계천 따라→시점폭포→모전교→오간수교→존치교각→마장어린이꿈공원(물놀이장)→살곶이다리→응봉역→용비쉼터→옥수역→달맞이근린공원→달맞이우수 조망명소→달맞이봉→옥수사거리→성동구 숲속도서관→매봉산(응봉산정)→한남테니스장→버티고개 교차로→남산 남측순환로→WH전망데크→남산 해넘이 전망대→남산 해맞이전망대→남산도서관→서울역 오늘은 '유두절을 맞아 삼색도보로 경.. 2023. 8. 1.
[20230801] 유두절 삼색도보 - 경복궁둘레길 & 청계천물길 & 남산달맞이길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 - 3부 8월 01일(화) 유두절 삼색도보 - 경복궁둘레길 & 청계천물길 & 남산달맞이길 이어 걷기를 다녀와서... '유두절 삼색도보 - 경복궁둘레길 & 청계천물길 & 남산달맞이길 이어 걷기' 코스 경복궁역→영추문→봉황분수대→무궁화동산→칠궁안내소→영빈관 앞→청와대앞길→춘추관 앞→삼청공원→북촌5경→삼청동→국립민속박물관→추억의거리→건춘문→광화문 앞→광화문광장→광화문역→청계광장→청계천 따라→시점폭포→모전교→오간수교→존치교각→마장어린이꿈공원(물놀이장)→살곶이다리→응봉역→용비쉼터→옥수역→달맞이근린공원→달맞이우수 조망명소→달맞이봉→옥수사거리→성동구 숲속도서관→매봉산(응봉산정)→한남테니스장→버티고개 교차로→남산 남측순환로→WH전망데크→남산 해넘이 전망대→남산 해맞이전망대→남산도서관→서울역 오늘은 '유두절을 맞아 삼색도보로 경.. 2023. 8. 1.
[20230801] 유두절 삼색도보 - 경복궁둘레길 & 청계천물길 & 남산달맞이길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 - 2부 8월 01일(화) 유두절 삼색도보 - 경복궁둘레길 & 청계천물길 & 남산달맞이길 이어 걷기를 다녀와서... '유두절 삼색도보 - 경복궁둘레길 & 청계천물길 & 남산달맞이길 이어 걷기' 코스 경복궁역→영추문→봉황분수대→무궁화동산→칠궁안내소→영빈관 앞→청와대앞길→춘추관 앞→삼청공원→북촌5경→삼청동→국립민속박물관→7080 추억의거리→건춘문→광화문 앞→광화문광장→광화문역→청계광장→청계천 따라→시점폭포→모전교→오간수교→존치교각→마장어린이꿈공원(물놀이장)→살곶이다리→응봉역→용비쉼터→옥수역→달맞이근린공원→달맞이우수 조망명소→달맞이봉→옥수사거리→성동구 숲속도서관→매봉산(응봉산정)→한남테니스장→버티고개 교차로→남산 남측순환로→WH전망데크→남산 해넘이 전망대→남산 해맞이전망대→남산도서관→서울역 오늘은 '유두절을 맞아 삼색.. 2023. 8. 1.
[20230801] 유두절 삼색도보 - 경복궁둘레길 & 청계천물길 & 남산달맞이길 이어 걷기를 다녀오다 - 1부 8월 01일(화) 유두절 삼색도보 - 경복궁둘레길 & 청계천물길 & 남산달맞이길 이어 걷기를 다녀와서... '유두절 삼색도보 - 경복궁둘레길 & 청계천물길 & 남산달맞이길 이어 걷기' 코스 경복궁역→영추문→봉황분수대→무궁화동산→칠궁안내소→영빈관 앞→청와대앞길→춘추관 앞→삼청공원→북촌5경→삼청동→국립민속박물관→7080 추억의거리→건춘문→광화문 앞→광화문광장→광화문역→청계광장→청계천 따라→시점폭포→모전교→오간수교→존치교각→마장어린이꿈공원(물놀이장)→살곶이다리→응봉역→용비쉼터→옥수역→달맞이근린공원→달맞이우수 조망명소→달맞이봉→옥수사거리→성동구 숲속도서관→매봉산(응봉산정)→한남테니스장→버티고개 교차로→남산 남측순환로→WH전망데크→남산 해넘이 전망대→남산 해맞이전망대→남산도서관→서울역 오늘은 '유두절을 맞아 삼색.. 2023. 8. 1.
꽃 속의 꽃 / 박소영 詩 2023. 7. 31.
도라지꽃 / 김도연 詩 2023. 7. 31.
도라지꽃 / 목필균 詩​ 2023. 7. 31.
도라지, 길경, 桔梗, 도랏, 길경채, 백약, 白藥, 질경, 산도라지 / 꽃말 : 영원한 사랑, 따뜻한 애정 도라지, 길경, 桔梗, 도랏, 길경채, 백약, 白藥, 질경, 산도라지 / 꽃말 : 영원한 사랑, 따뜻한 애정 분류 : 초롱꽃목 > 초롱꽃과 > 도라지속 꽃색 : 파란색, 백색 꽃말 : 영원한 사랑, 따뜻한 애정 학명 : Platycodon grandiflorum (Jacq.) A.DC. 개화기 : 8월, 7월 분포지역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전국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괴근상의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관화식물이다. 크기 높이 40~100cm 잎 엽병이 없고, 아랫잎은 마주나기하나 윗잎은 어긋나기하거나 3엽이 돌려나기한다. 잎은 긴 달걀모양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부분이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 4-7cm, 나비 1.5-4cm로서 표면은 녹색, 뒷면은 분백이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2023. 7. 30.
[20230730] 폭염과 폭우를 만나며 삼성산 삼막사계곡 & 노적봉능선 탐방산행을 다녀오다 - 2부 7월 30일(일)폭염과 폭우를 만나며 삼성산 삼막사계곡 & 노적봉능선 탐방산행을 다녀와서...'폭염과 폭우를 만나며 삼성산 삼막사계곡 & 노적봉능선 탐방산행' 코스 관악역→신촌교→삼막천→삼막5교→주차장→장승→삼막사계곡→고래바위→노적봉능선→좌선대→노적봉→나무아미타불바위→거북바위→마애부도→반월암→삼막사 일주문→식수대→삼막사(절골)계곡→장승→삼막5교→삼막1교→관악역오늘은 '폭염과 폭우를 만나며 삼성산 삼막사계곡 & 노적봉능선 탐방산행'을 다녀왔다. ▼ 좌선대에서...  ☞ 이것으로 '폭염과 폭우를 만나며 삼성산 삼막사계곡 & 노적봉능선 탐방산행 이야기'를 마친다. 폭염과 폭우를 만나며 삼성산 삼막사계곡 & 노적봉능선 탐방산행을 다녀오다. ▣ 1부[관악역→신촌교→삼막5교→주차장→장승→삼막사계곡→고래바위→노적봉능.. 2023. 7. 30.
[20230730] 폭염과 폭우를 만나며 삼성산 삼막사계곡 & 노적봉능선 탐방산행을 다녀오다 - 1부 7월 30일(일)폭염과 폭우를 만나며 삼성산 삼막사계곡 & 노적봉능선 탐방산행을 다녀와서...'폭염과 폭우를 만나며 삼성산 삼막사계곡 & 노적봉능선 탐방산행' 코스 관악역→신촌교→삼막천→삼막5교→주차장→장승→삼막사계곡→고래바위→노적봉능선→좌선대→노적봉→나무아미타불바위→거북바위→마애부도→반월암→삼막사 일주문→식수대→삼막사(절골)계곡→장승→삼막5교→삼막1교→관악역오늘은 '폭염과 폭우를 만나며 삼성산 삼막사계곡 & 노적봉능선 탐방산행'을 다녀왔다. ▼ 관악역에서... ☞ 여기서 '폭염과 폭우를 만나며 삼성산 삼막사계곡 & 노적봉능선 탐방산행 - 1부'를 마치고... 폭염과 폭우를 만나며 삼성산 삼막사계곡 & 노적봉능선 탐방산행을 다녀오다. ▣ 1부[관악역→신촌교→삼막5교→주차장→장승→삼막사계곡→고래바위→노적봉.. 2023. 7. 30.
[개편된 양평 물소리길 9개 전체 코스 지도] 양평 물소리길 코스가 더욱 걷기 좋은 길로 발전하기 위해 기존 1~6코스 개편과 동시에 신규 7~9코스가 2023년 7월 중 개통 개편된 양평 물소리길 9개 전체코스 지도 양평 물소리길 코스가 더욱 걷기 좋은 길로 발전하기 위해 기존 1~6코스 개편과 동시에 신규 7, 8, 9코스가 2023년 7월 중 개통됩니다. 더욱 더 안전하고 즐거운 물소리길 여행이 되기 위해 현재까지 운영되던 양평 물소리길의 양수역에서 용문산관광지까지 6개 코스를 새롭게 리뉴얼하고 신규 3개 코스를 추가로 신설할 예정입니다. 양평 물소리길 1코스 / 양수역 - 신원역 / 총 10.5km 이덕형 신도비, 여운형 생가를 거치는 양평의 역사가 자연과 함께 살아 숨쉬는 길로 하천길과 산길을 모두 즐길 수 있는 아름다운 길입니다. 양수역 → 1.1km → 용늪삼거리 → 1.1km → 양수1리마을회관 → 3.2km → 기숙학원 → 0.8km → 물소리길 화장실 → 0... 2023. 7. 28.
우리에게 없는 것들 / 양광모 2023. 7. 27.
서툰 미련 / 이지민 詩 2023. 7. 27.
길 / 정온유 詩 2023. 7. 27.
먼 길 / 정온유 詩 2023. 7.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