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6-08-16 22:48 ㅣ 수정 : 2016-10-18 21:56
서울시 전역에는 372개의 미래유산이 지정돼 있다.
4대문 안과 성저십리(성 밖 4㎞ 이내)에 많이 분포해 있지만, 서울 사방에 고루 흩어져 있다.
미래유산은 문화재로 등록되지 않은 서울의 근현대 문화유산 중에서 다음 세대에 전달할 가치가 있는 유무형의 모든 자산을 의미한다.
서울 사람들이 근현대를 살아오면서 함께 만들어 온 공동의 기억과 감성이다.
서울시는 서울신문, 문화지평과 함께 기존 미래유산에 대한 보존과 홍보를 위해 ‘서울미래유산 역사탐방’을 진행하고 있다.
서울미래유산 역사탐방 홈페이지(http://futureheritage.seoul.co.kr)에서 오는 9월 10일 김성수 가옥, 북촌 한옥 밀집 지역,
헌법재판소 백송(박규수 집터) 등 서울미래유산에 얽힌 이야기를 찾아가는 ‘북촌길 탐방’ 프로그램을 신청할 수 있다.
서울미래유산 역사탐방 세 번째 시간은 명동에서 시작해 남산 옆구리를 타고 넘어 해방촌을 거쳐 숙대입구역에서 마무리했다.
이번 역사탐방의 핵심은 남산과 해방촌이다.
남산에는 한양공원비, 남산도서관 등 미래유산이 있다.
해방촌은 해방교회 근처인 용산구 신흥로 11나길 22 일대를 중심으로 집단거주 지역이 모두 미래유산으로 지정됐다.
젊은이들이 많이 찾는 108계단도 미래유산이다.
이 탐방 코스에서는 일제강점기, 미군정 등 해방전후사와 근대화의 흔적을 퇴적층처럼 볼 수 있는 재미가 쏠쏠하다.
이날 해설은 손안나 서울미래유산 해설사가 맡았다.
손 해설사는 “저는 ‘히스토’(Histo)라는 휴먼 벤처기업을 운영하며,
아이들과 답사를 하면서 역사 교육을 할 때 내재한 잠재력이 개발된다고 믿고 있다”고 말했다.
박광규 해설사는 답사 시작부터 끝까지 안전을 책임졌다.
서울시 미래유산보존위원회 위원인 권기봉 작가도 3차 답사에 동행했다.
권 작가는 ‘서울을 거닐면 사라져 가는 역사를 만나다’, ‘다시 서울을 걷다’ 등의 저서를 통해
서울의 과거에서 미래의 방향성을 찾아내는 작업을 하고 있다.
앞으로 틈틈이 답사단에 합류하겠다고도 했다. 비공식 해설사 한 명이 더 생긴 것처럼 든든하다.
권 작가는 “급격히 변해 가는 서울에서 ‘지금의 우리’는 아직 깊은 의미를 이해하기 힘들지라도
다음 세대들이 ‘지금 우리 시대의 치열했던 풍경’을 톺아보고 비전을 찾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유산을 발굴해
관심을 환기하기 위한 발걸음”이라고 함께한 취지를 설명했다.
답사단은 명동역 인근 작은 공원에서 모여 서울미래유산 역사탐방의 취지와 코스를 설명들은 뒤 출발했다.
일행은 30m 정도 걷다가 퍼시픽호텔 옆에 멈춰 섰다.
호텔 안에는 한영양복점이란 서울미래유산이 있다.
서울에는 4개의 양복점이 미래유산으로 지정돼 있다. 중구에 있는 종로양복점, 해창양복점과 은평구에 있는 청기와양복점 등이다.
이곳은 서울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이나 멋쟁이 ‘모던보이’들의 단골이었다.
한영양복점은 1932년 중구 남대문로1가 201번지에서 박정재라는 사람이 창업했다.
이 거리 500m 일대에서는 한국전쟁 이후부터 70년대 초 무렵까지 35개 업체가 성행했다.
한영양복점은 이후 몇 차례 주인이 바뀌다가 2011년 현 대표인 김길수씨가 지금 위치인 호텔 안에서 개업했다.
주인은 바뀌었으나 같은 상호로 같은 지역에서 오랫동안 운영한 이유로 미래유산에 선정됐다.
퍼시픽호텔 왼쪽, 행정구역상 도로명인 퇴계로 20길은 ‘재미로(路)’란 이름을 가지고 있다.
명동역에서 서울애니메이션센터까지 450m 길을 오래된 만화부터 최근 웹툰까지 주제로 꾸미면서 붙여진 것이다.
재미로를 거쳐 남산순환도로로 올라서면 그 유명한 남산케이블카가 나온다.
남산케이블카는 한국삭도공업주식회사가 1962년부터 운영하는 미래유산 시설이다.
남산케이블카를 지나면 도로변에 동그마니 커다란 비석 하나가 놓여 있다.
한자로 ‘漢陽公園’(한양공원)이라고 새겨져 있다.
이 한양공원은 1876년 강화도조약에 따른 개항 이후 서울에 사는 일본인들이 증가하면서
일본 거류민단이 1897년 현 숭의여자대 자리에 왜성대공원(倭城大公園)을 만들면서 시작됐다.
이 일대가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이 주둔했던 곳이란 명목을 내세웠는데 1908년에 토지를 대여받아 1910년 3월 개원했다.
일본 거류민단은 이 공원에 남산대신궁을 세웠다.
1918년 조선총독부가 조선신궁을 건설해 ‘경성신사’로 이름을 바꾸면서 한양공원은 역사에서 사라졌다.
경성신사는 벚꽃이 흩날리는 봄날이면 ‘남촌의 작은 일본 마을’처럼 보였다고 한다.
당시 이 풍경을 담은 엽서도 찍어 냈다.
이런 이유로 1980년대 이후 일본인 관광객들이 많이 찾았다.
한양공원 전면 글씨는 고종 황제의 어필인데 표석은 1912년에 세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일 강제 합병이 된 지 2년 뒤에 고종은 왜 하필 한양공원이라고 이름을 지었을까.
비석 뒷면에는 공원 조성에 기여한 사람들로 추정되는 명단이 있었으나 지금은 모두 훼손돼 알아볼 수 없다.
탐방에 참여한 시민 신자용(33)씨가 “누가 왜 명단 부분을 쪼아서 훼손시켰냐”고 묻자
손 해설사는 “기부자 명단일 경우 친일 행적으로 드러날까 두려워서 당대나 후손이 한 짓이 아니겠느냐”고 답했다.
어머니와 함께 나온 대학생 왕규원(21)씨는 “한양공원비 뒷면이 깨져서 정확한 기록을 알 수 없는 부분이 아쉬웠다”고 말했다.
이 비석은 역사 속에서 사라졌다가 2002년 케이블카 승강장 인근 풀숲에서 극적으로 발견됐다.
손 해설사는 “남산은 태조 이성계가 한양을 도읍으로 정하면서 민족 정기의 중심 역할을 했다”며
“일본은 일제강점기 때 이러한 남산을 일본화하면서 훼손했다”고 설명했다.
한양공원비 건너편에는 지구촌민속교육박물관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있다.
어디서 많이 본 듯한 이 계단은 일명 ‘삼순이 계단’이다.
TV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에서 주인공을 맡았던 탤런트 현빈과 김선아가 키스하며 해피엔딩을 맺은 곳이다.
지구촌민속교육박물관은 1970년 육영재단이 지은 우리나라 최초의 어린이회관이다.
머릿돌에는 ‘1970. 5. 5 육영수’라고 적혀 있다.
개관 3일 만에 문을 닫았는데 이유는 하루에 3만명이란 예상치 못한 입장객이 몰렸던 탓이다.
1974년에는 국립중앙도서관으로 전환했다가 지금은 서울시교육연구정보원과 지구촌민속교육박물관으로 이용되고 있다.
손 해설사는 “이 건물 앞 일대에는 조선시대 전통 제당인 국사당이 있었는데 일제가 조선신궁을 세우면서 인왕산으로 옮겼다”며
“이는 한마디로 조선 개국의 정신을 보여 주는 상징적 건물을 없애는 말살 정책의 일환이었다”고 설명했다.
조선신궁 터 앞에는 결연한 표정의 안중근 의사 동상이 자리 잡고 있다.
남산에는 경복궁이 내려다보인다는 이유로 일제가 조선신궁을 비롯해 경성호국신사, 왜성대총독부청사, 총독 관저 등을 지었다.
이들을 모두 제압하듯 안 의사의 동상이 서 있는 모습이 더 의연해 보이는 것은 이 장소가 지닌 의미 탓이다.
손 해설사가 돌발 퀴즈를 냈다. 의사(義士)와 열사(烈士), 순국선열과 애국지사의 차이가 무엇인지.
일상에서 쉽게 듣고 쓰는 말이지만 답을 아는 사람은 없다.
손 해설사는 “모두 일제에 항거한 것은 같지만, 의사는 무력으로, 열사는 비무장으로 대항한 인물을 뜻하고,
순국선열은 일제에 목숨을 잃은 분들이고, 애국지사는 자연사한 분들”이라고 정리했다.
남산순환도로를 걸어 내려오다 만나는 남산도서관은 시립도서관이다. 역시 미래유산이다.
1922년 10월 5일 명동에서 경성부립도서관으로 개관한 후 1964년 12월 31일 현재 건물이 신축돼 옮겨졌다.
‘동장 이봉천 기적비(記蹟碑)’가 해방촌으로 들어선 답사단을 가장 먼저 반겼다.
실향민이었던 그는 1955년 해방촌 초대 동장이 된 후 관가의 도움 없이 지역 기반시설을 확충했다.
주민들은 그의 공로를 기록하기 위해 기적비를 세웠다.
권 작가는 “해방촌은 한국전쟁 이후 가진 것 없이 남쪽으로 내려온 피란민들과 전쟁 중 사망한 군경의 처자식을 위한 보금자리였다는 점에서
‘소수자를 위한 인큐베이터’였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신흥시장에 들어서자 소설가 김치(44)씨는 “이곳이 아트마켓으로 탈바꿈하는 것은 좋은데 젠트리피케이션이 일어날까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일제가 남산을 유린하기 위해 만든 경성호국신사는 터를 정확하게 찾을 수 없다.
다만 신사에 오르내리기 위해 만들었을 108계단을 근거로 위치를 어림짐작하게 하고 있다.
108계단에는 2012년 해방촌 예술마을 사업이 시작되면서 벽화와 조형물이 설치됐지만, 지금은 관리가 안 돼 퇴색하고 있다.
서울시는 108계단을 1960~70년대 해방촌 향수를 느낄 수 있는 장소라는 이유로 미래유산으로 지정했다.
후암동 쪽으로 들어서자 ‘성의사’란 단출한 2층 건물이 눈에 띈다.
1953년 개업한 가운 판매점이다.
주로 교회 성가대 가운을 취급한다.
좀더 내려가니 ‘T. 본 스테이크’라고 간판을 단 음식점 ‘황해’가 나왔다.
1973년 개업한 부대찌개·스테이크 전문점이다.
정순자 대표는 “이 동네 부대찌개, 스테이크 원조는 우리 집인데
돈 주고 TV 나가는 것이 싫어서 안 했더니 주변 다른 집이 원조로 둔갑했다”며
“서울미래유산 현판도 번거로워 안 했는데 이번 기회에 꼭 달아 달라”고 부탁했다.
서울시 관련 부서 공무원이 동행한 덕분에 조만간 현판이 설치될 전망이다.
손 해설사는 중화요리 식당으로 미래유산에 지정된 덕순루를 마지막으로 설명을 마쳤다.
답사 내내 내리던 비가 거짓말처럼 갰다.
글 사진 유성호 ‘문화지평’ 대표
[출처: 서울신문에서 제공하는 기사입니다.]
'▣그곳에 가고싶다☞ > ♤ 서울미래유산 역사탐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촌의 기와 물결 아래 근대의료·독립史 숨결 <6>노인복지센터~헌법재판소 (0) | 2016.12.21 |
---|---|
한용운·백석·윤중식 족적 따라 걸으면 예향이 ‘물씬’ <5> 성북동 최순우 옛집~복자마을 피정의 집 (0) | 2016.12.21 |
근현대 유통 핵심지 종로5가…111년 패션 1번지 광장시장…상인정신 숨쉬는 방산·중부시장 (0) | 2016.12.21 |
조선의 중심 '종로 뒷골목'… 계단 없어 휠체어 답사도 OK <2>보신각~동대문 '종로 뒤안길' (0) | 2016.12.21 |
김중업 건축혼·민주화 꽃핀 세실… 근현대 미래유산 보물창고 ‘정동’ <1> 세실극장 ~ 시립미술관 답사 (0) | 2016.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