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2610 [20230104] 아차산ㆍ망우산ㆍ용마산 연계 유람산행(광나루역에서 중곡역까지)을 다녀오다 - 2부 01월 04일(수) 아차산ㆍ망우산ㆍ용마산 연계 유람산행(광나루역에서 중곡역까지)을 다녀오다 '아차산ㆍ망우산ㆍ용마산 연계 유람산행(광나루역에서 중곡역까지)' 코스 광나루역 2번 출입구→광장중학교→아차산어울림광장→고구려정→대성암(범굴사)→아차산 정상(295.7m)→아차산4보루→명빈묘갈림길→태극기동산→아치울마을→남양홍씨 익산군파 휴휴당계 선영 표석→시루봉(205.8m)→관룡탑(화관암)→동락정→망우산 정상(282m)→솔밭약수→국민강령탑→중랑전망대→순환도로 삼거리→망우삼거리 북카페→깔딱고개→570계단→용마산5보루(제1헬기장)→보루연결로(제2헬기장)→제3헬기장→용마산 체력단련장→용마산 정상(384m)→전망데크→용마산정→데크계단→용마산 용마암→국민건강정신센터→중곡역 1번 출입구 오늘은 '아차산ㆍ망우산ㆍ용마산 연계 유.. 2023. 1. 4. [20230104] 아차산ㆍ망우산ㆍ용마산 연계 유람산행(광나루역에서 중곡역까지)을 다녀오다 - 1부 01월 04일(수) 아차산ㆍ망우산ㆍ용마산 연계 유람산행(광나루역에서 중곡역까지)을 다녀오다 '아차산ㆍ망우산ㆍ용마산 연계 유람산행(광나루역에서 중곡역까지)' 코스 광나루역 2번 출입구→광장중학교→아차산어울림광장→고구려정→대성암(범굴사)→아차산 정상(295.7m)→아차산4보루→명빈묘갈림길→태극기동산→아치울마을→남양홍씨 익산군파 휴휴당계 선영 표석→시루봉(205.8m)→관룡탑(화관암)→동락정→망우산 정상(282m)→솔밭약수→국민강령탑→중랑전망대→순환도로 삼거리→망우삼거리 북카페→깔딱고개→570계단→용마산5보루(제1헬기장)→보루연결로(제2헬기장)→제3헬기장→용마산 체력단련장→용마산 정상(384m)→전망데크→용마산정→데크계단→용마산 용마암→국민건강정신센터→중곡역 1번 출입구 오늘은 '아차산ㆍ망우산ㆍ용마산 연계 유.. 2023. 1. 4. 월간산이 추천하는 1월에 갈 만한 산 BEST 4 [소백산ㆍ태백산ㆍ오대산ㆍ선자령] 월간산이 추천하는 1월에 갈 만한 산 BEST 4 [소백산ㆍ태백산ㆍ오대산ㆍ선자령] 소백산小白山(1,440m) 지형적인 이유로 겨울철 북서풍의 영향을 받는 소백산은 대표적인 눈꽃 산행지로 꼽힌다. 기온차가 심한 날에는 주능선에 화려한 상고대가 피어 고산 설경의 진수를 보여 준다. 겨울바람이 유독 소백산을 즐겨 찾는 건 모난 데 없이 푸근한 덩치로 안아 주기 때문. 둥글둥글 부드럽게 흘러내리는 긴 산자락, 부드러운 능선의 아름다움, 사방으로 트인 전망. 그래서 등산 애호가들은 겨울이면 그 모진 바람 부는 푸근한 설산이 그리워 소백의 품을 찾는다. 산행은 죽령이나 희방사에서 시작해 정상인 비로봉까지 종주한 다음 하산하는 코스, 단양 천동계곡으로 주능선에 올라 비로봉까지 갔다가 온 길로 되돌아가거나, 영주 비로.. 2023. 1. 4. 나무는 한 번 자리를 잡으면 평생을 움직이지 않는다 2023. 1. 2. [20230101] 신년산행으로 남양주시 철마산(진접역-목표봉-가마솥봉-철마산 정상-복두산-오남저수지-오남천-오남역)을 다녀오다 - 2부 01월 01일(일) 신년산행으로 남양주시 철마산(진접역-목표봉-가마솥봉-철마산 정상-복두산-오남저수지-오남천-오남역)을 다녀오다 '남양주시 철마산 산행(진접역-목표봉-가마솥봉-철마산 정상-복두산-오남저수지-오남천-오남역)' 코스 진접역 2번 출구→철마산 등산로입구→해참공원→목표봉(빼룡산:440m)→마당바위→소나무평상쉼터→가마솥봉(일어서기봉:505m)→샘터→철마산 정상석(711m)→철마산 삼각점→쇠푸니고개→천마산갈림길(578m)→457봉→복두산(402m)→오남호수공원 일주→오남천→오남역 오늘은 '남양주시 철마산 산행(진접역-목표봉-가마솥봉-철마산 정상-복두산-오남저수지-오남천-오남역)'을 위해 길을 나선다. ▼ 철마산 정상 삼각점(709.5m)에서... ☞ 이것으로 '남양주시 철마산 산행(진접역-목표봉-가.. 2023. 1. 1. [20230101] 신년산행으로 남양주시 철마산(진접역-목표봉-가마솥봉-철마산 정상-복두산-오남저수지-오남천-오남역)을 다녀오다 - 1부 01월 01일(일) 신년산행으로 남양주시 철마산(진접역-목표봉-가마솥봉-철마산 정상-복두산-오남저수지-오남천-오남역)을 다녀오다 '남양주시 철마산 산행(진접역-목표봉-가마솥봉-철마산 정상-복두산-오남저수지-오남천-오남역)' 코스 진접역 2번 출구→철마산 등산로입구→해참공원→목표봉(빼룡산:440m)→마당바위→소나무평상쉼터→가마솥봉(일어서기봉:505m)→샘터→철마산 정상석(711m)→철마산 삼각점→쇠푸니고개→천마산갈림길(578m)→457봉→복두산(402m)→오남호수공원 일주→오남천→오남역 오늘은 '남양주시 철마산 산행(진접역-목표봉-가마솥봉-철마산 정상-복두산-오남저수지-오남천-오남역)'을 위해 길을 나선다. ▼ 진접역 2번 출구에서... ☞ 여기서 '남양주시 철마산 산행(진접역-목표봉-가마솥봉-철마산 정상.. 2023. 1. 1. 2022년 12월 31일(토) 안양 비봉산 망해암 일몰(낙조) 전망대에서 2022년 해넘이 낙조를 감상하다 2022년 12월 31일(토) 안양 비봉산 망해암 일몰(낙조) 전망대에서 2022년 해넘이 낙조를 감상하다. 2022. 12. 31. [20221231] 호암산ㆍ삼성산ㆍ비봉산 연계산행하면서, 망해암 일몰전망대에서 2022년 해넘이(일몰) 낙조를 감상하다 - 4부 12월 31일(토) 호암산ㆍ삼성산ㆍ비봉산 연계산행하면서, 망해암 일몰전망대에서 2022년 해넘이(일몰) 낙조를 감상하다'호암산ㆍ삼성산ㆍ비봉산 연계산행하면서, 망해암 일몰전망대에서 2022년 해넘이(일몰) 낙조 감상' 코스 관악산역 1번 출구→관악아트홀→성불암→맨발공원→돌산 옥문봉→곰바위→칼바위테크계단→칼바위전망대→제1야영장→장군봉 새바위→깔딱고개→거북바위→반월암→삼막사→절고개→염불암/염불사→봉암식당→안양예술공원(나무위의 선으로 된 집→뿌리→안양사원→동물들의 세상→숲속길→신종생물→전망대→리볼버→지상의 낙원)→삼성천 관악교→안흥사→칠보사→대성사→지장사→관악산둘레길→전망데크→참샘→관악천샘터→망해암 낙조전망대→망해암 용화전→세심천 쉼터→보덕사→만장사→불암사→삼성사→포레스트힐.힐스테이트 비산파크뷰 정류장→마을버.. 2022. 12. 31. [20221231] 호암산ㆍ삼성산ㆍ비봉산 연계산행하면서, 망해암 일몰전망대에서 2022년 해넘이(일몰) 낙조를 감상하다 - 3부 12월 31일(토) 호암산ㆍ삼성산ㆍ비봉산 연계산행하면서, 망해암 일몰전망대에서 2022년 해넘이(일몰) 낙조를 감상하다'호암산ㆍ삼성산ㆍ비봉산 연계산행하면서, 망해암 일몰전망대에서 2022년 해넘이(일몰) 낙조 감상' 코스 관악산역 1번 출구→관악아트홀→성불암→맨발공원→돌산 옥문봉→곰바위→칼바위테크계단→칼바위전망대→제1야영장→장군봉 새바위→깔딱고개→거북바위→반월암→삼막사→절고개→염불암/염불사→봉암식당→안양예술공원(나무위의 선으로 된 집→뿌리→안양사원→동물들의 세상→숲속길→신종생물→전망대→리볼버→지상의 낙원)→삼성천 관악교→안흥사→칠보사→대성사→지장사→관악산둘레길→전망데크→참샘→관악천샘터→망해암 낙조전망대→망해암 용화전→세심천 쉼터→보덕사→만장사→불암사→삼성사→포레스트힐.힐스테이트 비산파크뷰 정류장→마을버.. 2022. 12. 31. [20221231] 호암산ㆍ삼성산ㆍ비봉산 연계산행하면서, 망해암 일몰전망대에서 2022년 해넘이(일몰) 낙조를 감상하다 - 2부 12월 31일(토) 호암산ㆍ삼성산ㆍ비봉산 연계산행하면서, 망해암 일몰전망대에서 2022년 해넘이(일몰) 낙조를 감상하다'호암산ㆍ삼성산ㆍ비봉산 연계산행하면서, 망해암 일몰전망대에서 2022년 해넘이(일몰) 낙조 감상' 코스 관악산역 1번 출구→관악아트홀→성불암→맨발공원→돌산 옥문봉→곰바위→칼바위테크계단→칼바위전망대→제1야영장→장군봉 새바위→깔딱고개→거북바위→반월암→삼막사→절고개→염불암/염불사→봉암식당→안양예술공원(나무위의 선으로 된 집→뿌리→안양사원→동물들의 세상→숲속길→신종생물→전망대→리볼버→지상의 낙원)→삼성천 관악교→안흥사→칠보사→대성사→지장사→관악산둘레길→전망데크→참샘→관악천샘터→망해암 낙조전망대→망해암 용화전→세심천 쉼터→보덕사→만장사→불암사→삼성사→포레스트힐.힐스테이트 비산파크뷰 정류장→마을버.. 2022. 12. 31. [20221231] 호암산ㆍ삼성산ㆍ비봉산 연계산행하면서, 망해암 일몰전망대에서 2022년 해넘이(일몰) 낙조를 감상하다 - 1부 12월 31일(토) 호암산ㆍ삼성산ㆍ비봉산 연계산행하면서, 망해암 일몰전망대에서 2022년 해넘이(일몰) 낙조를 감상하다'호암산ㆍ삼성산ㆍ비봉산 연계산행하면서, 망해암 일몰전망대에서 2022년 해넘이(일몰) 낙조 감상' 코스 관악산역 1번 출구→관악아트홀→성불암→맨발공원→돌산 옥문봉→곰바위→칼바위테크계단→칼바위전망대→제1야영장→장군봉 새바위→깔딱고개→거북바위→반월암→삼막사→절고개→염불암/염불사→봉암식당→안양예술공원(나무위의 선으로 된 집→뿌리→안양사원→동물들의 세상→숲속길→신종생물→전망대→리볼버→지상의 낙원)→삼성천 관악교→안흥사→칠보사→대성사→지장사→관악산둘레길→전망데크→참샘→관악천샘터→망해암 낙조전망대→망해암 용화전→세심천 쉼터→보덕사→만장사→불암사→삼성사→포레스트힐.힐스테이트 비산파크뷰 정류장→마을버.. 2022. 12. 31. 나이가 들면 / 최정재 2022. 12. 31. 길에 관한 편견 / 박남희 2022. 12. 30. 그 산은 그대로인데 / 정숙진 2022. 12. 29. 서로 말이 없다 / 이생진 2022. 12. 29. [20221228] 모락산둘레길 일주 & 모락산 종주산행(무궁화아파트-모락산 정상-모락산 터널) & 백운호수 탐방을 다녀오다 - 3부 12월 28일(수) 모락산둘레길 일주 & 모락산 종주산행(무궁화아파트-모락산 정상-모락산 터널) & 백운호수 탐방을 다녀오다 '모락산둘레길 일주 & 모락산 종주산행(무궁화아파트-모락산 정상-모락산 터널) & 백운호수 탐방' 코스 범계역→선경무궁화아파트정류장→무궁화아파트사거리→모락산둘레길 일주 시점→백운로사거리약수터 갈림길→의왕시여성회관 후문→글로벌도서관갈림길→거북바위→모락초등학교뒤→모락어린이공원→성라자로마을 숲길→숲속유치원→들꽃공원→모락고→덕고개→효민교회→용화사→사랑의교회→반도보라아파트→갈미문화공원→계원예대→갈미한글공원→원조보리밥→모락산터널→명상의숲→임영대군사당→능안마을→청목조경→능안고개→삼미농원→오전리교회터→하트♡나무→오매기마을(오전상회)→지구촌어린이집→오전주유소→하동정씨문정공파 자산공 종중묘원→팔각정.. 2022. 12. 28. [20221228] 모락산둘레길 일주 & 모락산 종주산행(무궁화아파트-모락산 정상-모락산 터널) & 백운호수 탐방을 다녀오다 - 2부 12월 28일(수) 모락산둘레길 일주 & 모락산 종주산행(무궁화아파트-모락산 정상-모락산 터널) & 백운호수 탐방을 다녀오다 '모락산둘레길 일주 & 모락산 종주산행(무궁화아파트-모락산 정상-모락산 터널) & 백운호수 탐방' 코스 범계역→선경무궁화아파트정류장→무궁화아파트사거리→모락산둘레길 일주 시점→백운로사거리약수터 갈림길→의왕시여성회관 후문→글로벌도서관갈림길→거북바위→모락초등학교뒤→모락어린이공원→성라자로마을 숲길→숲속유치원→들꽃공원→모락고→덕고개→효민교회→용화사→사랑의교회→반도보라아파트→갈미문화공원→계원예대→갈미한글공원→원조보리밥→모락산터널→명상의숲→임영대군사당→능안마을→청목조경→능안고개→삼미농원→오전리교회터→하트♡나무→오매기마을(오전상회)→지구촌어린이집→오전주유소→하동정씨문정공파 자산공 종중묘원→팔각정.. 2022. 12. 28. [20221228] 모락산둘레길 일주 & 모락산 종주산행(무궁화아파트-모락산 정상-모락산 터널) & 백운호수 탐방을 다녀오다 - 1부 12월 28일(수) 모락산둘레길 일주 & 모락산 종주산행(무궁화아파트-모락산 정상-모락산 터널) & 백운호수 탐방을 다녀오다 '모락산둘레길 일주 & 모락산 종주산행(무궁화아파트-모락산 정상-모락산 터널) & 백운호수 탐방' 코스 범계역→선경무궁화아파트정류장→무궁화아파트사거리→모락산둘레길 일주 시점→백운로사거리약수터 갈림길→의왕시여성회관 후문→글로벌도서관갈림길→거북바위→모락초등학교뒤→모락어린이공원→성라자로마을 숲길→숲속유치원→들꽃공원→모락고→덕고개→효민교회→용화사→사랑의교회→반도보라아파트→갈미문화공원→계원예대→갈미한글공원→원조보리밥→모락산터널→명상의숲→임영대군사당→능안마을→청목조경→능안고개→삼미농원→오전리교회터→하트♡나무→오매기마을(오전상회)→지구촌어린이집→오전주유소→하동정씨문정공파 자산공 종중묘원→팔각정.. 2022. 12. 28. 그때는 그때의 아름다움을 모른다 / 박우현 2022. 12. 27. 길 / 박남준 2022. 12. 25. 두루 불쌍하지요 / 정현종 2022. 12. 25. [20221225] 불암산둘레길의 하루길ㆍ나절길 이어 걷고, 경춘선숲길 따라 화랑대철도공원/노원불빛정원 야경 감상을 다녀오다 - 3부 12월 25일(일) 불암산둘레길의 하루길ㆍ나절길 이어 걷고, 경춘선숲길 따라 화랑대철도공원/노원불빛정원 야경 감상을 다녀오다'불암산둘레길의 하루길ㆍ나절길 이어 걷고, 경춘선숲길 따라 화랑대철도공원/노원불빛정원 야경 감상' 코스 화랑대역 4번 출구→화랑대사거리→공릉2 치안센터→공릉산 백세문→전망데크→104마을 갈림길(불암산갈림길)→학도암갈림길→넓적바위(여근석)→공룡바위→양지배드민턴장→불암산전망대→불암산시비→입석(남근석)→불암계곡→넓은마당→철쭉동산 전망데크 정자→실상사→바위쉼터→칠성암갈림길→작은채석장→불암산터널 위 전망데크→연인바위→덕릉고개(생태이동통로)→돌산약수터 갈림길→폭포약수터 갈림길→덕장봉(다람쥐광장)→쥐바위→두꺼비바위→불암산 정상석→거북바위→깔딱고개→헬기장(불암산성터)→천보사입구→바람능선쉼터→학도.. 2022. 12. 25. [20221225] 불암산둘레길의 하루길ㆍ나절길 이어 걷고, 경춘선숲길 따라 화랑대철도공원/노원불빛정원 야경 감상을 다녀오다 - 2부 12월 25일(일) 불암산둘레길의 하루길ㆍ나절길 이어 걷고, 경춘선숲길 따라 화랑대철도공원/노원불빛정원 야경 감상을 다녀오다'불암산둘레길의 하루길ㆍ나절길 이어 걷고, 경춘선숲길 따라 화랑대철도공원/노원불빛정원 야경 감상' 코스 화랑대역 4번 출구→화랑대사거리→공릉2 치안센터→공릉산 백세문→전망데크→104마을 갈림길(불암산갈림길)→학도암갈림길→넓적바위(여근석)→공룡바위→양지배드민턴장→불암산전망대→불암산시비→입석(남근석)→불암계곡→넓은마당→철쭉동산 전망데크 정자→실상사→바위쉼터→칠성암갈림길→작은채석장→불암산터널 위 전망데크→연인바위→덕릉고개(생태이동통로)→돌산약수터 갈림길→폭포약수터 갈림길→덕장봉(다람쥐광장)→쥐바위→두꺼비바위→불암산 정상석→거북바위→깔딱고개→헬기장(불암산성터)→천보사입구→바람능선쉼터→학도.. 2022. 12. 25. [20221225] 불암산둘레길의 하루길ㆍ나절길 이어 걷고, 경춘선숲길 따라 화랑대철도공원/노원불빛정원 야경 감상을 다녀오다 - 1부 12월 25일(일) 불암산둘레길의 하루길ㆍ나절길 이어 걷고, 경춘선숲길 따라 화랑대철도공원/노원불빛정원 야경 감상을 다녀오다'불암산둘레길의 하루길ㆍ나절길 이어 걷고, 경춘선숲길 따라 화랑대철도공원/노원불빛정원 야경 감상' 코스 화랑대역 4번 출구→화랑대사거리→공릉2 치안센터→공릉산 백세문→전망데크→104마을 갈림길(불암산갈림길)→학도암갈림길→넓적바위(여근석)→공룡바위→양지배드민턴장→불암산전망대→불암산시비→입석(남근석)→불암계곡→넓은마당→철쭉동산 전망데크 정자→실상사→바위쉼터→칠성암갈림길→작은채석장→불암산터널 위 전망데크→연인바위→덕릉고개(생태이동통로)→돌산약수터 갈림길→폭포약수터 갈림길→덕장봉(다람쥐광장)→쥐바위→두꺼비바위→불암산 정상석→거북바위→깔딱고개→헬기장(불암산성터)→천보사입구→바람능선쉼터→학도.. 2022. 12. 25. 새우잠을 자더라도 고래꿈을 꾸어라 2022. 12. 24. [20221224] 영흥도 해변길(진술목ㆍ산돌뿌리ㆍ십리포ㆍ진여부리ㆍ몽돌ㆍ수해ㆍ농어바위ㆍ장경리) 걷고, 장경리해수욕장에서 영흥로따라 영흥버스터미널까지 걷기를 다녀오다 - 2부 12월 24일(토) 영흥도 해변길(진술목ㆍ산돌뿌리ㆍ십리포ㆍ진여부리ㆍ몽돌ㆍ수해ㆍ농어바위ㆍ장경리) 걷고, 영흥로따라 영흥버스터미널까지 걷기를 다녀오다.'영흥도 해변길(진술목ㆍ산돌뿌리ㆍ십리포ㆍ진여부리ㆍ몽돌ㆍ수해ㆍ농어바위ㆍ장경리) 걷고, 영흥로따라 영흥버스터미널까지 걷기' 코스 오이도역→영흥버스터미널→진두마을 표석→수산물직거래장터 입구→진술목해변→영흥도 하늘고래 전망대→영흥도펜션타운→내리어촌계 체험어장→바다풍경펜션→산돌뿌리해변→십리포해변→인천상륙작전 전초기지→어미 소사나무→해안데크길→진여부리해변→몽돌해변→수해해변→영암어촌계→농어바위해변→모래시계펜션→장경리해변→서울YMCA 영흥해양센터→영흥로 따라 도보→내4리마을회관→영흥초등학교→영흥우체국→붉은노리 삼거리→영흥버스터미널→오이도역오늘은 '영흥도 해변길(진술목ㆍ산돌뿌.. 2022. 12. 24. [20221224] 영흥도 해변길(진술목ㆍ산돌뿌리ㆍ십리포ㆍ진여부리ㆍ몽돌ㆍ수해ㆍ농어바위ㆍ장경리) 걷고, 장경리해수욕장에서 영흥로따라 영흥버스터미널까지 걷기를 다녀오다 - 1부 12월 24일(토) 영흥도 해변길(진술목ㆍ산돌뿌리ㆍ십리포ㆍ진여부리ㆍ몽돌ㆍ수해ㆍ농어바위ㆍ장경리) 걷고, 영흥로따라 영흥버스터미널까지 걷기를 다녀오다.'영흥도 해변길(진술목ㆍ산돌뿌리ㆍ십리포ㆍ진여부리ㆍ몽돌ㆍ수해ㆍ농어바위ㆍ장경리) 걷고, 영흥로따라 영흥버스터미널까지 걷기' 코스 오이도역→영흥버스터미널→진두마을 표석→수산물직거래장터 입구→진술목해변→영흥도 하늘고래 전망대→영흥도펜션타운→내리어촌계 체험어장→바다풍경펜션→산돌뿌리해변→십리포해변→인천상륙작전 전초기지→어미 소사나무→해안데크길→진여부리해변→몽돌해변→수해해변→영암어촌계→농어바위해변→모래시계펜션→장경리해변→서울YMCA 영흥해양센터→영흥로 따라 도보→내4리마을회관→영흥초등학교→영흥우체국→붉은노리 삼거리→영흥버스터미널→오이도역오늘은 '영흥도 해변길(진술목ㆍ산돌뿌.. 2022. 12. 24. [김대건 신부 발자취 따라 크리스마스 성지 순례] 조선의 첫 사제가 걸어간 발자국… 검고 아득한 시대에 ‘길’이 되었네 [아무튼, 주말] 조선의 첫 사제가 걸어간 발자국… 검고 아득한 시대에 ‘길’이 되었네 김대건 신부 발자취 따라 크리스마스 성지 순례 전북 익산 나바위성지는 청년 김대건이 조선의 첫 사제가 되어 조선 땅을 밟은 첫 착지처로 의미가 있다. 영화 '탄생'에선 '라파엘호'를 타고 온 김대건 신부 일행이 풍랑을 겪으며 뜻하지않게 제주로 갔다가 '강경 황산포 나루터(나바위)'로 경로를 변경하는 것으로 나온다. / 장은주 영상미디어 객원기자 천주교 박해가 심해지던 1844년, 페레올 주교로부터 부제품을 받고 혈혈단신 육로를 통해 고국인 조선 땅 입국로 답사를 계획하던 청년 김대건에게 한 신자가 지도를 가리키며 “여기(의주 쪽)는 길이 아니지(없지) 않으냐?”고 만류하자 김대건은 이렇게 말한다. “길은, 걸어가면 뒤.. 2022. 12. 24. [22년째 전국 교수들이 선정·발표 - 사회상 집약해온 사자성어들] ‘오리무중’부터 ‘과이불개’까지… 사자성어를 보면 한 해가 보인다 [아무튼, 주말] ‘오리무중’부터 ‘과이불개’까지… 사자성어를 보면 한 해가 보인다 22년째 전국 교수들이 선정·발표 사회상 집약해온 사자성어들 전국 교수들이 선정한 2022년 올해의 사자성어 ‘과이불개’ 휘호. '잘못을 하고도 고치지 않는다'는 뜻이다. 정상옥 전 동방문화대학원대 총장이 썼다. /교수신문 해마다 세밑이면 교수들이 선정한 ‘올해의 사자성어’가 뉴스를 장식한다. 2022년에 뽑힌 사자성어는 ‘과이불개(過而不改)’. 잘못을 하고도 고치지 않는다는 뜻이다. 과이불개는 논어 위령공편에서 처음 등장하는데, 공자는 ‘과이불개 시위과의(是謂過矣·잘못하고도 고치지 않는 것, 이것을 잘못이라 한다)’라 말했다. 과이불개를 추천한 박현모 여주대 교수는 그 이유로 “여야 할 것 없이 잘못이 드러나면 ‘이전 .. 2022. 12. 24. 한 친구에 대해 난 생각한다 / 막스 에르만 2022. 12. 23. 이전 1 ··· 61 62 63 64 65 66 67 ··· 4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