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 봄내길 3코스 석파령너미길 답사여행' 코스
강촌역→당림리 춘천예현병원→됫박골 서연이&효승이네→당림리임도 분기점→갈림길→석파령 정상→갈림길→시멘트다리→덕두원1리
→마당골(식당)→서면농협창고→덕원교(명월상회)→명월1교→덕두원2리 마을회관→시멘트다리(9.95km 지점)→삼거리(우측)→갈림길(좌측)
→수레너미고개→묘1기→탁족 개울→갈림길(좌측)→한백록 정문→방동1리 마을회관→방동대교→장절공 신숭겸장군 동상→방동리 고구려 고분
→신숭겸 묘역→솔밭 마실길→청솔교→양지말 노송쉼터→축복교회→성주이씨 사우→쉼동산(노인복지시설)→서면마트→금산2리 정류장→춘천역
맥가이버의 '춘천 봄내길 3코스 석파령너미길 답사여행' 이야기
오늘은 춘천 봄내길 中 3코스 '석파령너미길'을 찾아나서고자 한다.
춘천 봄내길 4개 코스 중 1, 2, 4 코스는 이런저런 걷기를 하면서 일부 내지는 전부를 걸어보았는데,
유일하게 3코스 '석파령너미길'만 인연이 닿지 않아서 그 어느 곳도 아직까지 가본 적이 없다.
'석파령너미길'을 아직까지 찾지 못했던 이유 중에는
'석파령너미길'의 초입인 '당림리 춘천 예현병원'으로의 교통편이 여의치 않은 것이 가장 큰 이유일 것이다.
이번 '석파령너미길'을 찾아가는 공지를 하면서 함께 하겠다는 님들에 따라 유동적인 방법을 쓰기로 하였다.
즉, 강촌역에서 바로 택시를 타고 들머리인 '당림리 춘천 예현병원'으로 가는 방법(택시비 대당 9,000원)과
강촌역에서부터 걸어서 '舊강촌역'앞을 지나 '강촌교'를 건너고, 경춘국도를 따라 당림2리쪽으로 진입하여 석파령으로 가는
두 가지 방법을 염두에 두고 공지를 하였는데 당일 첫째 방법인 택시를 타고 '당림리 춘천 예현병원'으로 가는 방법을 택했다.
그간 새로 만들어진 길을 찾아갈 때면 늘 이정표의 부족함을 느끼곤 하였는데
이번 '석파령너미길'에서도 초입엔 제대로 되어 있었으나 중간중간 필요한 곳에 없어 아쉬움을 느끼곤 하였지만
계속 보강을 한다고 하니 얼마만큼의 시간이 지나고 나면 후답자들은 편하게 길을 나설 수 있으리라.
☞ '춘천 봄내길 3코스 석파령너미길 답사여행'을 다녀오다 - 4부를 시작하며...
▼ 15시 02분 - 이곳에서 잠시 탁족을 하기로 하고...
▼ 15시 22분 - 탁족을 마치고 출발...
▼ 하늘매발톱
▼ 15시 29분 -
▼ 15시 32분 -
▼ 15시 35분 - 갈림길에서 좌측을 택하고...
▼ 백선
백선 [白鮮]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운향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Dictamnus dasycarpus
분류 운향과
분포지역 한국, 일본, 중국 북동부, 시베리아 동부
서식장소 산기슭
크기 높이 50∼90cm
산기슭에서 자란다.
높이 50∼90cm이다.
뿌리는 곧고 굵다.
줄기는 곧게 서며 튼튼하다.
잎은 깃꼴겹잎으로서 마주난다.
2∼4쌍의 작은잎으로 구성되며 중축에 좁은 날개가 있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이거나 타원형이고 길이 2.5∼5cm, 나비 1∼2cm이다.
가장자리에 잔 톱니와 유점(油點:반투명한 작은 점)이 있다.
꽃은 5∼6월에 흰색이나 연한 붉은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지름은 2.5cm 정도이고 꽃잎은 5개로서 긴 타원형이며 길이 약 4cm이다.
꽃받침은 5장이며 끝이 뾰족한 바소꼴이다.
작은꽃자루에 털과 선모(腺毛)가 있어 강한 향기가 난다.
수술은 10개이고 씨방은 5실이다.
열매는 삭과(蒴果)로서 8월에 익으며 5개로 갈라지고 털이 난다.
잎에 털이 많은 것을 털백선(var. velutinus)이라고 하는데, 함경북도 청진에서 자란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통경(通經)·황달·구충에 약으로 쓴다.
한국, 일본, 중국 북동부, 시베리아 동부에 분포한다.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 아카시아꽃이 아직도 몽우리상태로...
▼ 15시 42분 - 한백록 정문
춘천 한백록묘역 및 정문 [春川韓百祿墓域─旌門]
강원도 춘천시 서면 금산리(錦山里)에 있는 조선시대의 묘.
지정종목 문화재자료
지정번호 전북문화재자료 제168호
지정연도 2000년 11월 17일
소장 한산이씨 온암공 흥발종중
소재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삼천3동 산 64-3
시대 조선
종류/분류 정려
2000년 11월 18일 강원도문화재자료 제131호로 지정되었다.
임진왜란 때 거제 옥포해전과 마산 합포해전 등에서 활약하다가
부산포해전에서 전사한 충장공(忠莊公) 한백록(1555∼1592)의 묘역과 정문(旌門)이다.
정려(旌閭)는 1751년(영조 27)에 내렸고 정려각은 1924년 경에 지었다.
한백록은 《여지도서(輿地圖書)》에 춘천의 충신으로 기록되어 있다.
묘의 형태는 조선시대의 일반적인 형식이다.
입구 쪽에 신도비와 정문이 있고 묘 앞에 비석과 상석(床石)·망주석(望柱石)이 있으며,
묘 왼쪽에 1657년(효종 8)에 세운 묘갈(墓碣)이 있다.
홍살문으로 된 정문에는 정려각을 지을 때 만든 현판이 걸려 있다.
2001년 현재 청주한씨 몽계공 후교위공파 종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 충절각
▼ 정려각
▼ 정력각 현판
▼ 15시 45분 - 방동1리게이트볼장
▼ 15시 46분 - 방동대교를 건너...
▼ 장절공 묘를 향해...
▼ 이팝나무
▼ 15시 59분 -
▼ 16시 00분 - 장절공 신숭겸동상
▼ 해당화
▼ 장절공 신숭겸동상
▼ 석파령너미길을 찾아나선 11명의 낭만도보꾼들의 단체인증샷
▼ 16시 04분 - 방동리 고구려고분으로...
방동리 고구려고분 [芳洞里高句麗古墳]
강원도 춘천시 서면(西面) 방동리에 있는 고구려시대의 고분.
지정종목 문화재자료
지정번호 강원문화재자료 제106호
지정연도 1985년 9월 13일
소재지 강원도 춘천시 서면 방동리 816
시대 고구려
종류/분류 고분
1985년 9월 13일 강원도문화재자료 제106호로 지정되었다.
2기의 고구려고분으로, 고려 개국공신(開國功臣) 신숭겸(申崇謙)의 묘역(墓域) 남쪽편에 동서로 나란히 있다.
봉토무덤이며, 봉토가 거의 유실되어 형태를 알아보기 어렵다.
2기 모두 편암(片岩)의 크고 작은 할석(割石)을 포개서 축조한 돌방무덤[石室墳]이다.
널방[玄室]의 평면은 직사각형에 가까운 사다리꼴이며, 네 벽은 상부로 올라갈수록 안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천장 조성방식은 모줄임천장[抹角藻井式天障]으로, 모서리를 삼각형으로 쌓은 후 커다란 판석으로 마무리한 것으로 보인다.
천장돌은 모두 없어졌고 삼각 받침돌도 일부만 남아 있다.
남벽 중앙에 연도가 있었던 흔적이 남아 있다.
고구려 벽화고분 후기 양식이 지방화된 단실분으로,
춘천 지역이 신라가 북상하기 이전인 6세기 중엽 이전에 고구려의 영역이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고구려고분은 외형상의 특징에 의해 돌로 쌓아 만든 돌무지무덤[積石塚]과 흙으로 덮은 봉토무덤으로 구분된다.
봉토무덤은 대체로 4세기경 평양지역에서 출현한 후 고구려 지배층의 주된 묘제가 된 고구려 후기의 대표적 무덤양식이다.
봉토무덤은 규모의 대소, 널방의 숫자와 축조재료, 널방천장의 조성방식, 벽화의 유무 등을 기준으로 다양하게 구분된다.
가장 큰 특징은 지상이나 반지하에 연도(羨道)가 딸린 돌방[石室]을 만들어 시체를 묻고, 그 위에 돌이 아닌 흙을 덮는 것이다.
이러한 축조방식은 재래의 돌무지무덤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 16시 09분 -
▼ 비룡지
▼ 신숭겸묘역 안내도
신장절공묘역 [申壯節公墓域]
강원도 춘천시 서면 방동리에 있는 신숭겸의 묘역.
지정종목 시도기념물
지정번호 강원기념물 제21호
지정연도 1976년 6월 17일
소재지 강원도 춘천시 서면 방동리 816-1
시대 고려
종류/분류 묘
1976년 6월 17일 강원도기념물 제21호로 지정되었다.
장절공 신숭겸 묘역, 신숭겸 장군 묘역이라고도 한다.
고려시대 개국공신 신숭겸(申崇謙)의 묘역은 한국 4대 명당지의 하나로 손꼽힌다.
울창한 소나무 숲 속에 있으며 영정각, 신도비각, 기념관, 재실 등이 배치되어 있다.
평산(平山)신씨의 시조인 신숭겸은 918년 배현경(裵玄慶)·홍유(洪儒)·복지겸(卜智謙) 등과 함께
왕건(王建)을 추대해서 고려 건국의 대업을 이루었다.
927년(태조 10) 대구에서 신라를 도와 후백제의 견훤(甄萱)과 싸우다 포위되어 위급하게 되었다.
이때 신숭겸은 태조를 수풀 속에 숨기고 임금 수레를 타고 나가 역전하다가 전사하였다.
이로 인해 태조는 위급함을 모면하였고, 공의 죽음을 슬퍼하여 시신을 거두어 이곳에 예장(禮葬)하였다.
도굴을 염려해 시신은 하나인데 봉분은 세 개인 1기 3분의 특이한 묘역을 조성하였다.
전사한 곳에는 지묘사(智妙寺)를 세워 공의 명복을 빌게 하고, 공의 아우 신능길과 아들 신보(申甫)로 원윤(元尹)을 삼았다.
또한 태조는 팔관회 때 신숭겸과 김낙 등의 전사한 공신들을 생각하고 가상(假像)을 만들어 열석시키고 술과 음식으로 대접하였다.
이것은 그후 전승되었는데, 예종이 팔관회에서 이를 보고
두 장수의 후손을 불러 시를 지어 내리고 충절을 기리는 노래 《도이장가(悼二將歌)》를 지었다.
1805년(순조 5)에 세운 신장절공 신도비는 당시의 세도가 영안부원군 김조순(金祖淳)이 짓고,
시·서·화의 삼절(三絶)로 이름난 자하(紫霞) 신위(申緯)가 썼다.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 16시 13분 -
▼ 제비꽃
▼ 장절공 묘가 3기인 것은 도굴을 방지하기 위해서라고...
▼ 황철쭉꽃
▼ 16시 16분 -
☞ 여기서 '춘천 봄내길 3코스 석파령너미길 답사여행'을 다녀오다 - 4부를 마치고...
-▥☞ 1부[강촌역→당림리 춘천예현병원→당림리임도 분기점→석파령 정상→갈림길(4.45km지점)]를 보시려면 여기를 누르세요.☜▥- -▥☞ 2부[갈림길(4.45km지점)→시멘트다리→덕두원1리→마당골→서면농협창고→덕원교(명월상회)]를 보시려면 여기를 누르세요.☜▥- -▥☞ 3부[덕원교→명월1교→덕두원2리 경로당→다리(9.95km 지점)→수레너미고개→묘1기→탁족 개울]를 보시려면 여기를 누르세요.☜▥-
-▥☞ 4부[탁족 개울→한백록 정문→방동1리 마을회관→방동대교→방동리 고구려 고분→신숭겸 묘역]를 보시려면 여기를 누르세요.☜▥-
-▥☞ 5부[솔밭 마실길→청솔교→양지말 노송쉼터→성주이씨 사우→서면마트→금산2리 정류장→춘천역]를 보시려면 여기를 누르세요.☜▥-
'▣강원·충청 도보후기☞ > ☆ 춘천 봄내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10522]'춘천 봄내길 3코스 석파령너미길 답사여행'을 다녀오다 - 5부 (0) | 2011.05.23 |
---|---|
[20110522]'춘천 봄내길 3코스 석파령너미길 답사여행'을 다녀오다 - 3부 (0) | 2011.05.23 |
[20110522]'춘천 봄내길 3코스 석파령너미길 답사여행'을 다녀오다 - 2부 (0) | 2011.05.23 |
[20110522]'춘천 봄내길 3코스 석파령너미길 답사여행'을 다녀오다 - 1부 (0) | 2011.05.23 |
춘천(春川) 봄내길 1, 2, 3, 4코스별 개념도 및 안내 (0) | 2010.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