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감동과 깨달음☞/☆ 동양고전

논어(論語) 명언 ㅈ ㅊ ㅎ

by 맥가이버 Macgyver 2005. 2. 21.
 

논어(論語) 명언 ㅈ ㅊ ㅎ    

 

자기가 나서고 싶으면 먼저 남을 내세워 주고 자기가 발전하고 싶으면 남을 먼저 발전시켜준다. 이것이 인자(仁者)의 태도이다. -논어


자기를 이해해 주지 않는다. 혹은 실력을 인정해 주지 않는다. 이것은 인생살이에 있어 흔히 있을 수 있는 일이다. 이럴 때 노여움이나 한스럽게 생각 말고 마음 편하게 스스로를 믿는 마음을 가지는 사람. 이런 사람이야말로 군자가 아니겠는가. -논어


자기보다 나이가 아래인 사람이라도 또 자기보다 지위가 낮은 사람에게서도 가르침을 받는 것을 부끄러이 생각하지 말라. 불치하문(不恥下問). -논어


자기보다 못한 자, 어리석은 자와 접할 경우 그것을 자기의 반성의 재료로 삼아야 한다. 그렇게 되면 자기보다 못한 자라도 스승으로 삼을 수가 있는 것이다. -논어


자기보다 신분, 나이, 학식이 낮은 자에게서도 듣고 배워서 어떤 비근한 일이라도 소홀하게 하지 않고 하루하루 발전해 간다. 나는 이렇게 공부하고 있다. -논어


자기의 새로운 설을 만들어 내지 않으며 옛 선현(先賢)의 학설을 존중하여 그 바른 사상을 널리 펴서 전한다. -논어


자기 자신에 대해서도 소탈하고 다른 사람의 행동에 대해서도 소탈한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중궁(仲弓)이 한 말. -논어


잘못은 피할 수 없는 것이다. 잘못도 인정이 지나쳐서 저지르는 경우가 있고 몰인정한 경우도 있다. 그 잘못의 방법에 따라서 그 사람의 본성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논어


장유(長幼) 붕우(朋友)는 서로 양보해야 한다. 스승에게 대해서도 물론이다. 그러나 인을 행하는 마당에서는 그 스승에 대해서도 결코 양보할 필요는 없다. -논어


장인은 일을 잘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 쓰는 도구를 날카롭게 잘 닦아야 한다. 훌륭한 인간을 뜻하고 수양하기 위해서는 현자(賢者)를 가까이 해서 배우고 인자(仁者)를 벗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논어


재부(財富)를 구해서 얻어질 수가 있는 것이라면 가령 말채찍을 잡는 천한 노력인들 나는 할 것이지만 사람에게는 제각기 천명이 있어 바란다고 해서 되는 것이 아니다. 차라리 내가 좋아하는 것을 추구할 것이다. -논어


저 자가 공자인가. 공자라면 나루가 있는 곳쯤은 알고 있을 만한데. 천하 주유(周遊)하는 그가 아닌가. 평천하(平天下)를 위해 주유(周遊)하던 공자가 문인 자로(子路)에게 나루가 있는 곳을 묻게 한 데 대해 장저(長沮)가 공자가 아직도 정치에 집착하고 있다고 생각하여 비꼬아서 한 말이다. -논어


적어도 도(道), 즉 인의도덕(仁義道德)의 수양을 뜻하는 자는 일상생활의 악의 악식을 부끄러워하는 자와는 친구로서 함께 도(道)를 이야기할 수가 없다. -논어


절약해서 쓰고 백성을 사랑한다. 정치를 하는 사람은 국민의 세금에 의해서 일을 하고 있는 것이다. 경비의 절약에 힘쓰고 국민이 낸 세금을 절약해서 적절하게 써야 한다. 거기에서 생긴 재정의 여유는 국민의 복리 증진에 힘써야 할 것이다. -논어


젊었을 때에는 혈기가 왕성하여 이성으로서는 감정의 억제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특히 남녀간의 색욕에 대해서는 특별히 자숙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장년이 되면 혈기가 강성해서 자기 주장이 세어진다. 다른 사람과 싸우는 것을 자숙해야 한다. 늙어지면 혈기가 쇠약해지면서 재물이나 명예욕이 강하게 된다. 과대한 욕망을 자숙해야 할 것이다. -논어


젊은 사람은 무섭다. 공부 여하에 따라서 장차 어떤 큰 일을 할는지 알 수 없다. 그러나 사십, 오십이 되어도 이름이 알려지지 않는다면 그런 사람은 무서울 게 없는 것이다. -논어


정(鄭) 나라는 국가가 혼란하여 그 음악이 음탕하다. 음탕한 시(詩)나 음악은 썩게 하고 나라를 위태롭게 하는 것이다. -논어


정도(正道)가 행해지는 것도 천명이고 정도가 없어지는 것도 천명인데 한 개인이 천하의 일을 어찌 할 수는 없는 것이다. -논어


정치라는 것은 바른 것을 행하는 데 있다. 정(政)과 정(正)은 동음 동의(同義). -논어


정치라는 것은 법이나 규칙만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 모름지기 덕으로써 다스려야 한다. 비유한다면 움직이지 않는 북극성(北極星)에 여러 별들이 따라오듯이 백성은 그 덕을 연모하여 위정자를 따라오게 될 것이다. -논어


정치를 하는 데 있어서는 조급하게 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사물을 급하게 처리하면 반드시 미흡한 사태가 생겨서 결국 달성하지 못하게 된다. 눈앞의 것에 구애되면 대국(大局)을 그르친다. 작은 이익에 마음을 빼앗기게 되면 큰 일을 이룰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논어


제사를 지낼 때 마치 거기에 신이 계신다는 마음가짐으로써 모셔야 한다. 형식적으로 끝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어떤 일이든 진정에서 우러나오는 마음으로 하라는 뜻. -논어


조정에서는 새해에 달력을 제후(諸侯)에게 나누어주고, 제후는 매달 초하룻날에 선조의 사당에 희생의 양을 바치고 그 달력을 백성에게 보여서 농사의 지침을 삼게 했다. 이것을 고삭의 희양(告朔之희羊)이라 한다. 그러나 공자 당시에는 이 일이 쇠퇴하게 되자 제자인 자공(子貢)이 형식적인 관습은 폐지하는 것이 좋겠다고 한 데 대해 공자는 "아니다. 내용은 필요에 따라서 다시 살아나는 것이다. 나는 그 형식은 없어지더라도 그것을 부활시킬 예(禮)가 없어지는 것을 애석하게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논어


중등 이하의 사람에게는 높은 지식을 일러주어도 소용이 없는 것이다. 사람을 가르치는 데는 배우는 사람의 정도에 따라서 조절해야 한다는 말. -논어


중요한 것은 절도 있는 몸가짐이다. 공손한 것도 좋은 일이나 너무 도가 지나치면 치욕을 받게 된다. 너무 굽실거리는 것은 공손한 것이 아니다. 유자(有子)가 한 말. -논어


지극한 덕(德)을 지닌 사람은 자기의 덕을 드러내지 않는다. 사람들은 그 덕을 들어 칭찬할 기회를 갖지 못한다. 공자가 태백(泰伯)을 칭찬한 말. -논어


지름길로 가지 않는다. 임시의 편리를 탐내어 공명한 것을 버리고 임시방편으로 눈가림만 해 나가게 되면 얼마 안 가서 막히게 된다. -논어


지식이 좁은 사람은 자기의 좁은 생각에 얽매여 아집에 사로잡히기 쉽게 된다. 학문에 의해 지식과 견문을 넓혀 유연한 정신 상태를 지니게 해야 할 것이다. -논어


지위를 얻지 못하는 것에 마음쓰는 것보다는 그 지위에 앉을 만한 실력을 쌓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논어


지위만 생각하고 직무를 소홀히 하는 자는 선비라 할 수가 없다. -논어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하고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한다. 지혜로운 사람은 머리도 물이 흐르는 것처럼 유동적이고 어진 사람은 움직이지 않는 산을 본받아 이해나 영욕을 위해 마음을 움직이지 않는다. -논어


진실로 참된 길을 구하는 자는 경우와 처지가 어떻게 변하든 간에 구도하는 즐거움을 변경하는 일은 없다. -논어

 

찻잔도 그릇이고 주전자도 그릇이다. 그렇다고 해도 찻잔은 찻잔만의 역할을 하며 주전자는 주전자의 기능만을 지닐 뿐이다. 군자는 이런 그릇이어서는 쓸모가 없는 것이다. 한쪽으로 편협되지 않고 전인적인 완성을 목표로 부단히 공부하고 수양에 힘써야 한다. -논어


처음 생각하는 것만으로서는 잘못될 수가 있다. 그렇다고 너무 생각이 지나쳐도 판단력, 실행력이 둔하게 된다. 두 번쯤 생각하는 정도면 아마 충분할 것이다. -논어


천리마는 물론 힘도 우수하지만 천리마가 천리마로 불리우는 것은 잘 성장한 덕 때문이다. 사람도 재능이나 수완이 필요하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갖추어야 될 것은 덕이라 할 수 있다. -논어


친구를 사귀는 데 있어 충고가 잦으면 사이가 멀어지게 된다. 친절한 것도 너무 도가 지나치면 오히려 상대에게서 귀찮음을 당하게 된다. 자유(子游)가 한 말. -논어


친구와 사귀는 데 있어서 근본적인 것은 신의를 지키는 것이다. 과연 나는 그 신의에 부족한 점은 없었는가. -논어


친구와 사귀는 일은 서로 익숙하게 되면 예의를 잃게 되기 쉽다. 오래 되어도 서로 상대방을 존경하는 사이가 되어야 한다. -논어


칠십이 되어서 자기가 하고 싶은 대로 언동을 해도 결코 그 정해진 규범을 벗어나는 일은 없었다. 종심(從心)은 70세. -논어


하늘은 아무 말이 없어도 춘하추동 쉬지 않고 운행하고 모든 생물은 하늘이 화육(化育)하는 은혜를 입고 있다. -논어


하늘의 죄를 받으면 빌 곳조차 없게 된다. -논어


하루 종일 내 옆에 있으면서 내가 무슨 말을 해도 반론 하나 하지 않는다. 솔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마치 어리석은 사람처럼 하고 있다. 그러나 마음속으로 내가 말하는 바를 전부 체득하고 있는 것이다. 공자가 제자 안회(顔回)를 평해서 한 말. -논어


학문을 하는 데는 넓게 어떤 것이라도 배우도록 힘쓰고 배워서 얻은 도(道)는 마음에 소중하게 간직하여 이것을 실행하도록 해야 한다. 자하(子夏)가 한 말. -논어


학문의 목적은 실행에 있다. 학문을 하는 자는 종종 공리공론을 주장하고 실무를 등한시하기 쉽게 된다. 실무를 떠난 학문은 참된 학문이 아니다. 인간이 해야 될 일을 성실하게 다하고, 그리고 여력이 있으면 그 여력을 가지고 학문을 해야 할 것이다. -논어


학문이나 기술 등에서 정도(正道)를 벗어난 것을 이단이라고 한다. 이단(異端)을 파고 드는 것은 얻는 것보다는 해가 많은 것이다. 새롭고 신기한 것을 좇는 것보다는 정도를 밟아 건실하게 공부하는 것이 성공에 이르는 참길이다. -논어


학문이 있어도 없는 것과 같이 실력이 있으면서도 없는 것 같이 겸허하고, 아무 이유 없이 남이 자기에게 잘못해도 따지지 않는다. 증자(曾子)가 안자(顔子)를 평한 말. 교는 싸움. 어울려서 따지는 것. -논어


한가하게 즐거워 보인다. 마음을 턱 놓은 모습이 아름다운 복숭아꽃처럼 요요한 모습이다. 공자가 집에 한거할 때의 모습을 제자들이 한 말. -논어


한 번 가면 다시 돌아오지 않은 것들은 이와 같은 것이라, 밤낮없이 멈추지 않고 흘러간다. 시간이 흘러 묵은 것은 지나가고 새것이 오곤 하는 것이 쉴 사이 없이 되풀이되는 것을 냇물이 흐르는 것에 비유해서 말한 것이다. -논어


한번 잘못한 실언(失言)은 사두마차(四頭馬車)로도 따라갈 수가 없다. 말을 할 때에는 조심하지 않으면 안 된다. 자공(子公)이 한 말. -논어


한 삼태기 흙만 쌓아올리면 산이 이루어질 텐데 중지하여 완성을 보지 못한다면 그 책임을 자기 스스로의 노력 부족에 있는 것이다. -논어


함께 말할 만한 사람인데도 그와 함께 말하지 않는 것은 사람을 잃는 것이 된다. 함께 말할 수 없는 사람인데 그와 함께 말하는 것은 말을 잃는 것이 된다. 지혜로운 사람은 사람도 잃지 않고 말도 잃지 않는다. -논어


호랑이나 들소 같은 맹수가 우리에서 나오거나 구옥 같은 보물이 궤짝 속에서 깨뜨려진다면 그 책임은 관리하는 자에게 있을 것이다. 이처럼 어떤 사람이 잘못 저지른 일이 있다면 그것은 그 사람은 보좌하는 사람의 책임이다. 공자가 계씨(季氏)를 보좌하고 있던 염유(有), 계로(季路)를 책망한 말. -논어

 

'▣감동과 깨달음☞ > ☆ 동양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용(中庸)  (0) 2005.02.22
맹자(孟子) 명언  (0) 2005.02.22
논어(論語) 명언 ㅅ ㅇ  (0) 2005.02.21
논어(論語) 명언 ㄷ ㄹ ㅁ ㅂ  (0) 2005.02.21
논어(論語) 명언 ㄱ  (0) 2005.02.21